뭘 해도 괜찮아 - 꿈을 찾는 진로의 심리학 사계절 지식소설 8
이남석 지음 / 사계절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뭘 해도 괜찮아"

 

정말 어린이들에게, 청소년들에게,, 청년들에게, 장년들에게, 노년들에게 이런 말을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물론 이 책의 표지에 나와 있는 '나쁜 짓은 빼고'라는 고양이의 말을 명심하고.

 

진로에 대해서 교육 당국이 관심을 가지고 전국적으로 '자유학기제'라는 것을 실시하고 있다.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적어도 한 학기는 시험이 없는 학기로 정하고, 그 기간에 자유로운 체험들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제도이다.

 

시험에서 아이들을 해방시킨다는 의미도 있지만, 그 기간에 다양한 경험을 해봄으로써 자신의 진로를 탐색해 나가는 시간을 가지라는 의미가 더 강하다.

 

그래서 학교에서는 다양한 경험을 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계획하느라 고민이 많다고 들었는데, 내년에는 전국적으로 모든 중학교에서 실시된다고 하니, 과연 사회적 기반이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이것이 가능할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그러나... 이 책에 나와 있듯이 이렇게 우려를 하는 것은 해보지도 않고 머리 속으로 이미 결과를 예측하고, 자신을 가두는 행위일지도 모른다.

 

머리 속에서 문제점을 생각하는 것은 좋다. 문제점을 생각했으면 그러면 여기서 어떻게 해야 하나 하는 생각으로 나아가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부터 해결해 나가려고 해야 한다.

 

이런 모습을 보이는 것이 어쩌면 학생들에게 가장 좋은 진로교육일지도 모른다.

 

학생들이 살아가면서 숱한 어려움에 처할텐데, 그 때마다 "나는 안 돼."라고 좌절하고, 더 이상 나아가려 하지 않게 학교 교육을 통해 그런 어려움에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직접 보여주는 교육. 그것만한 진로 교육이 어디 있겠는가.

 

이 책은 학생들의 진로 교육에 관한 책이다. 진로 교육에 관한 책인데 딱딱한 이론서가 아니라, 소설 형식으로 썼다. 그래서 한 편의 이야기를 읽듯이 잘 읽힌다.

 

주인공인 태섭이의 변화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벌어지는 일들을 통해서 자연스레 따라가게 된다. 따라가면서 그렇구나, 이렇게 생각하면 더 좋구나, 이렇게 진로 교육을 하면 좋겠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진로 교육이 단지 진학 교육이나 직업 교육이 아닌, 자신의 삶을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살아가게 하는 교육이며, 그때 그때 자신의 삶에서 행복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교육이어야 함을 이 책을 통해서 더 잘 알 수 있어서 좋았는데...

 

진로는 아스팔트가 딸린 평탄한 직선으로 이루어진 고속도로와 같지 않다. 진로는 산 속으로 난 꼬불꼬불한 작고 앞이 잘 보이지 않아 걸어가면서 옆도 보고 뒤도 보면서 가야 하는 오솔길이다.

 

그 오솔길은 목표보다는 가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낀다. 길을 가는 순간, 멈춰 선 순간, 가로막고 있는 장애물을 치우는 순간, 개울을 건너는 순간, 또 모퉁이를 돌아서 새로운 풍경이 보이는 순간 순간들이 모두 즐거움이다.

 

그 길이 바로 진로이고, 진로는 결과가 아니라, 목표가 아니라 과정이다. 성공이라는 목표를 지워버리고 그 자리의 즐거움을 알게 하는 교육, 그것이 진로 교육이다.

 

공부 스트레스를 받던, 친구들과의 경쟁을 생각하던 태섭이 자신의 진로를 찾아가는 과정, 일종의 성장소설이라고 할 수 있지만, 성장소설의 형식을 빌린 진로 탐색에 관한 책이다.

 

그래서 이 책은 읽는 자체가 재미있다. 책의 형식이 곧 지은이가 말하고자 하는 진로 교육과 일치한다.

 

구체적이고 단계적인 계획을 말해주지 않는다. 그것은 이 책에서 바람직한 진로 교육이 아니라고 이미 나와 있으니, 그냥 자신이 할 수 있는 일, 좋아하는 일을 무작정 해보라는 것으로 정리하고 싶어지게 진로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성공은 실패의 어머니' 라는 말... 자신이 원하지 않은, 또는 자신이 의도하지 않은 성공은 실패를 부른다는, 반대로 자신이 하고자 했으나 실패한 일들은 곧 성공의 어머니가 된다는... 자신의 인생을 능동적으로 사는 사람에게는 실패가 당연한 일인데, 그 실패는 실패가 아니라 성공이라고 말하고 있는 이 책.

 

다른 한 편으로 생각해보면 너무도 당연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다. 또 그 뻔한 소리야? 할 수도 있지만, 그래도 이 책을 끝까지 읽게 하는 힘은 고등학교 1학년 생을 주인공으로 삼아, 그들이 하고 있는 고민, 그들이 할 수 있는 고민이 생생하게 표현되어 있다는데 있다.

 

그냥 주인공을 따라 읽어가면 아마도 청소년들은 자신의 진로에 대해 자연스럽게 생각하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진로에 대해서 한 번쯤 고민해 본 학생들이라면 이 책을 읽으면서 한 발 더 나아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진로, 진로 하는 이 시대... 이런 진로에 관한 책, 읽고 이야기해보면 참 좋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