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 들어온 인문학 - 사람과 세상이 담긴 공간, 집을 읽다 푸른들녘 인문교양 2
서윤영 지음 / 들녘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과 세상이 담긴 공간, 집을 읽다' 라는 글이 책 표지에 작게 적혀 있다.

 

'집'이라고 했지만 '집'으로 대표되는 건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 것이고, 따라서 이 책은 건축에 대해서 인문학적으로 접근했다. 지은이의 말에서 이렇게 말한다.

 

이 책을 통해 집과 건축의 사회적인 측면을 보다 자세히 들여다보고자 합니다. (7쪽)

 

사람을 사회적 동물이라고 하듯이, 건축 역시 사회적 존재이다. 그러므로 사회를 떠난 건축은 있을 수가 없고, 사회와 사람을 더 잘 알도록 해주는 학문이 인문학이라면, 건축은 단순한 공학이 아니라 인문학일 수밖에 없다.

 

이 책은 크게 2부로 구성되어 있다. 집 안과 집 밖

 

집 안은 우리가 사는 집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주고 있다. 우리나라 중산층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아파트에 대해서 먼저 이야기하는데, 좁은 공간에 많은 사람들이 몰려 왔을 경우 자연스레 이런 공동주택이 나올 수밖에 없음을, 로마시대와 산업혁명 시기, 그리고 우리나라 경제개발 시기를 들어서 이야기해주고 있다.

 

아파트라는 현 현상에 대해 이야기를 한 다음에 왜 우리 한옥이 사라지게 되었을까를 이야기해주고 있는데, 역시 시대적인 변화와 한옥의 쇠퇴가 맞물려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가 밀집하면서 한옥의 주재료인 나무를 구하기도 힘들어졌을 뿐만 아니라, 화재에 취약하다는 이유로 건설을 막는 경우가 많았다는 것.

 

여기에 일제시대로 넘어가면서 양옥이 우리 사회에 침입했다는 것. 그런데 양옥은 식민지의 유산일 뿐이라는 것을 영국이나 프랑스가 식민지 시대에 어떤 형식으로 집을 지었는지를 설명하면서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집의 종류에 대해서 설명한 다음에 우리가 살아야 할 집에 대해서, 어째서 이렇게 집을 얻기가 힘들어졌는지, 역사시대에 들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정착민의 생활을 했는데, 이제는 거의 유목민의 생활로 돌아가고 있는 현상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결국 경제라는 얘긴데, 경제에 따라서 이동이 결정되고, 이러한 이동의 양상에 따라서 주거문화가 달라지니, 지금 엄청나게 오른 집값으로 내집 마련의 꿈이 점점 멀어져가고 있는 이 때 효과적인 주택정책, 또는 주거정책이 무엇일지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함을 이 책을 통해서 느낄 수가 있다.

 

단지 임대주택을 늘린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님을, 최근 임대주택과 아닌 주택 사이에 일어나는 갈등을 보면, 임대주택을 많이 짓는 것이 능사가 아님을 알 수 있으니, 머리를 맞대고 좋은 해결책을 찾을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부인 집 밖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집 말고 다른 건축물에 대해서 이야기를 한다.

 

대표적인 건축물로 종교적인 건축물, 왜 절은 동향이고, 성당은 서향이며, 궁궐은 남향인지에 대해서 종교적인 역할이 작동하고 있음을 설명해주고 있다. 빛의 처리에 관한 문제이기도 하고, 신성에 대한 문제이기도 하다는.

 

여기에 감시라는 문제를 들어서 건축의 구조를 이야기하고, 또 감시의 대표격 건물로 세 가지를 들고 있다. 물론 이 때 감시는 통제라는 말로 바꾸어도 무방하다.

 

감옥, 병원, 학교. 이 세 쌍동이는 모두 벤담이 말한 '판옵티콘'에서 나왔다고 한다.

 

다음은 보여주기, 즉 과시해서 구매를 유발하는 건축이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무슨무슨 '엑스포'이고, 백화점이며, 모델하우스다. 이것에 대해서 무슨 설명이 더 필요하겠는가. 이미 우리 자신도 이들의 전시에 포로가 되어 있지 않은가.

 

마지막인 역사적으로 남은 건축물들인데... 무엇이 역사 속에서 남아 우리 후손들의 감탄을 자아낼지는 두고보아야 알 일이다.

 

건축이라는 것이 특정한 사람들만 하는 일이라는 인식이 많고, 또 현대처럼 세분화된 전문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는 시대에서는 건축에 대해서 알려고 하지 않는 경향이 더 많다.

 

자신이 살고 있고, 또 자신의 생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건축임에도 나 몰라라 하고, 남에게만 맡겨놓고 있는 상태는 바람직한 상태가 아니다.

 

적어도 12년의 교육을 거의 모든 사람이 받는 우리나라에서 자신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건축에 대해서 생각하고 알게 하는 교육이 과연 이루어지고 있는지...

 

교과목은 세분화되었는데, 정작 나와 관련있는, 내 삶을 이어가게 해주는 교육이 되고 있는지...

 

12년 동안 교육을 받았는데, 자신이 살고 있는 곳의 의미도 모르고, 또 자신의 손으로 먹을거리를 해결하지도 못하고, 무엇하나 제 손으로 만들지도 못하는 교육을 받고 어른이 되는 이런 현실에서, 그래도 참고서적만으로라도 이런 책을 소개하는 시간이라도 있었으면 좋겠다.

 

이 책은 어른들보다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쓴 책이니 말이다. 청소년들에게 자신들의 주변을 둘러보라고... 주변에 보이는 건축에 대해서 생각해 보라고, 지금 청소년이 있는 바로 그 공간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어떤 기능을 지니고 있는지 알아보라고 하는 책이니, 적어도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수학, 영어에 매달리기보다는 이런 책을 읽을 시간을 주었으면 좋겠다.

 

건축은 곧 삶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