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민의 기생충 열전 - 착하거나 나쁘거나 이상하거나
서민 지음 / 을유문화사 / 2013년 7월
평점 :
참 말하기 거북한 단어다. 긍정적인 의미로 쓰이기 보다는 부정적인 의미로, 특히 지저분하다거나, 병과 관련된 말과 함께 쓰이는 단어니, 기생충이라는 말은 자주 쓸 수가 없다.
그런데 기생충을 연구하는 학자라니... 나는 기생충을 의대에서 연구하는 줄 몰랐다. 생물학과라든지, 아니면 수의학과 정도에서 기생충학을 배우는 줄 알았는데, 아니란다.
우리나라에서 기생충학은 의대에서 시작했다고 한다. 의대에서 시작했기에, 기생충학이 사람들을 치료하는데 도움을 많이 주었겠지만, 반대로 의학이 발달하고 환경이 좋아지는 현대에 들어서는 기생충학을 공부하는 사람이 많아지지 않아, 또 대학에서도 교수를 채용하지 않아 앞으로 20년이 지나면 과연 의대의 한 분야로 살아남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한다. (42-44쪽)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 기생충학은 꼭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지저분하다고 여겨지던 기생충을 연구한다는 것 말고도, 기생충과 인간은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이고, 우리들 건강의 많은 부분이 기생충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 인간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기생충에 대해서 우리는 너무도 무지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과 기생충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기생충에 대해서 일반인들이 읽을 만한 책이 별로 없다는 깨달음에서 이 책을 썼다고 하는데...
기생충이 지저분해서 읽기에 거부감이 있는 사람은 기생충 부분을 빼고 이 책의 1부만 읽어도 된다. 기생충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읽으면 적어도 기생충학이 필요하다는 생각은 할테니 말이다.
기생충에 대한 거부감에도 한 번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사람은 계속 읽으면 된다. 2부에서는 '소화기계에 사는 기생충'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데, 요충, 회충 등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기생충들에 대해서 설명해주고 있다.
이들 소화기계에 살고 있는 기생충들은 우리에게 치명적인 위협을 주지 않는 것들이고, 오히려 우리의 면역체계를 강화해주고 있기도 하다는 점을 알 수 있게 된다.
3부에서는 '조직을 침범해 사는 기생충'을 다루고 있다. 이 친구들은 좀 위험하다. 우리의 생명에도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이 어떻게 우리 몸 속에 들어오는지 그 경로를 아는 일은 중요하다.
감염 경로를 안다면 조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날것을 좋아하는 우리나라 사람들, 이 기생충들을 조심해야 한다. 역시 알아야 예방할 수 있다.
4부에서는 '뇌에서 사는 기생충'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뇌에서 산다. 이거 좋을 리가 없다. 조심, 조심 하는 수밖에 없다. 특히 말라리아 같은 경우는 아직도 제대로 된 백신이 없다고 하니 조심해야 하는데, 이들은 특히 모기나 파리에게서 감염되는 경우가 많으니, 조심할 것.
5부에서는 '기타. 우리 몸 이곳저곳에서 사는 기생충'을 알려주고 있다. 폐디스토마나 회선사상충, 주혈흡충 같은 기생충은 아주 위험하고 우리가 조심해야 한다고, 그리고 영화로 많이 알려진 '연가시'같은 경우는 아직까지 사람에게 감염된 경우는 없으니, 영화는 영화로 즐겨야 한다는 것까지 많은 것을 알려주고 있다.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또는 우리가 알아야 할 기생충들에 대해서 쉽게 잘 설명해주고 있다. 감염경로라든지, 치료법이라든지, 조심해야 할 사항들, 그리고 그 기생충들의 특징까지 쉽게 쉽게 설명해주고 있어서 징그럽다고만 생각하고 있었던 기생충들에 대해 친근감까지도 느끼게 해주는 책이다.
물론 그렇다고 기생충에 친근감을 느낄 수는 없겠디만, 이렇게 서민과 같이 기생충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있기에 우리들이 좀더 나은 생활을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기생충은 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니, 우리의 식생활습관이라든지 생활습관 등을 돌아보면 충분히 기생충으로 인한 질병은 예방이 가능할 듯하니, 기생충에 대해서도 기본적인 지식은 알고 있어야 한다.
그 점에서 이 책은 제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