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가의 우연한 시선 - 최영미의 서양미술 감상
최영미 지음 / 돌베개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모두가 예술가이었던 시대에서, 특정한 누군가만이 예술가가 되는 시대.

 

이것을 발전이라고 부를 수 있을지 몰라도, 많은 사람들에겐 예술에서 멀어지게 되는 계기가 된다.

 

모두가 예술가이었던 시대, 예술가는 전문가로서 인정을 받지 못했는데, 예술가로서의 자의식을 지닌 사람이 예술가라는 특정한 직업군으로 등장한 이후...

 

그들의 자긍심이 클수록 사람들은 예술에서 멀어지기 시작했다.

 

그렇게 멀어진 예술을 다시 사람들에게 다가오게 하는 사람들, 그들 역시 예술가다.

 

고수는 고수를 알아보는 법.

 

시인들은 특히나 예민한 감수성으로 다른 예술을 느낀다.

 

그 느낌들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기 위해 글을 쓴다.

 

글로 자신의 느낌을 다른 사람에게 알린다.

 

잔잔한 호수에 물결이 퍼져 나가듯, 시인이 들려주는 그림에 대한 이야기가 우리들 마음 속에 파문을 남긴다.

 

하나의 물결을 이룬다. 그 물결이 바로 우리를 다시 예술에 가까이 다가가게 한다.

 

이 책은 시인인 저자가 우연히 대학원에서 미술을 전공하고, 그림에 대해서 글을 쓴 결과물을 모은 책이다.

 

이미 많이 보았던 작품들도 있지만, 시인만이 느끼고 이야기해주는 그림도 있어서 어렵지 않게, 그러나 색다르게 글을 읽을 수 있다.

 

그림을 보면서 시인의 글을 읽는 즐거움도 느낄 수 있고, 또 그림에서 이런 감정을 느낄 수 있구나 하는 점도 깨달을 수 있고...

 

어떤 그림을 보더라도 나만의 방식으로 보아야 함을 다시 생각하게 되고.

 

그냥, 그렇게... 글과 그림을... 즐겁게... 감상할 수 있는 책이다.

 

화가의 우연한 시선이 우리의 시선과 마주칠 때, 우리의 마음에서는 불꽃이 일기도 하니, 예술에 대한 불꽃은 우연히 일어날 수도 있음을 이 책을 통해서 느껴 보시길...

 

바로 작가의 말처럼, 우리는 감수성이 실종된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데, 감수성은 우리가 반드시 되찾아야 할 우리의 마음이라는 사실을 명심할 것.

 

예술 작품을 감상한다는 건 무엇보다도 감수성의 문제이며, 인간은 자신이 경험하지 못한 세계는 결코 진정으로 느낄 수 없습니다. ('작가의 말'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