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뇌의 원근법 - 서경식의 서양근대미술 기행
서경식 지음, 박소현 옮김 / 돌베개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이야기라고 하지만, 사실은 삶에 대한 이야기다.

 

그림을 통해서 세상을 보고, 읽고 삶에 대해서 이야기하면서 도대체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나를 끊임없이 되묻고 있다.

 

서경식은 디아스포라라는 말을 쓰기도 했다. 이산이라고 해석이 되기도 하는, 이방인의 삶이라고 할 수 있는 그런 말.

 

그는 일본에 살고 있다. 국적은 한국이다. 그의 형 둘은(서승과 서준식이다) 우리나라에 유학왔다가 고문을 받고 감옥 생활을 오래 했다.

 

조국에 공부하러 왔다가 간첩이라는 오명을 뒤집어 쓰고 억울한 옥살이를 몇십 년동안 한 것. 그러니 이런 형들을 보면서 그는 자신의 뿌리뽑힘에 대해서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자신은 어디에도 정착하지 못하는 뿌리뽑힌 사람이라는 생각이 어쩌면 그를 미술에 관심을 두게 했는지도 모르겠는데... 미술 중에서도 특히 현실의 모습을 느끼게 해주는 그림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 책은 주로 독일 미술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있다. 물론 뒷부분에 가면 고흐도 나오고, 살라사르라는 과테말라 사진가도 나오지만, 주요 부분은 독일의 작가들이 그린 그림을 찾아가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독일의 작가들 중에서도 당시의 현실을 그린 작가를 그는 좋아하는데, 그가 말하는 좋은 예술이란 아름다운 예술이 아니라 현실을 끊임없이 환기시켜 나를 생각하게 하는 작품이라고 한다.,

 

그러니 그는 미술비평가들이 좋다고 하는 작품을 찾는 것이 아니라 작품에서 현실과 나를 발견하게 하는 작품들을 찾아 다닌다. 그런 그림에서 그는 자신을 보고 자신이 처한 현실을 인식하며,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찾는다.

 

그가 찾은 작가들을 보자. 그는 1부에서 독일 작가, 그 중에서도 통일이 되기 전의 독일에서는 볼 수 없었던 작가를 찾아가는데, 그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에밀 놀데'다.

 

나치 독일에 협력하기를 거부하고, 독일 내에서 망명 생활을 한 사람. 끝까지 자신의 그림을 그린 사람. 그의 그림을 찾아가는 것을 시작으로 전쟁의 참화를 그린 '오토 딕스'라는 작가를 찾아가고, 그 다음에는 나치에 의해 학살된 '펠릭스 누스바움'을 찾아간다.

 

이들은 모두 나치에 의해 '퇴폐미술'로 낙인찍힌 작가들이 되고, 이 낙인은 우리나라로 바꾼다면 독립운동을 고취한 그림을 그린 불령선인 정도가 될 것이다.

 

그림의 미학적인 면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그림들에 나와 있는 현실과 사상, 그리고 서경식이라는 개인에게 다가오는 의미가 이들을 찾아가게 하고, 그 그림들에서 떠날 수 없게 한다고 할 수 있다.

 

이 그림들은 단지 서경식만을 떠나지 못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아직도 국가보안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분단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도 의미있게 다가온다는 생각이 든다.

 

책에 나와 있는 몇몇 그림들만으로도 아직도 우리에게는 진행 중인 일이 이 그림들에 나와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니 말이다.

 

이런 점에서 좋은 예술이란 무엇인가 하고 질문을 다시 하게 된다. 아도르노의 그 유명한 말을 빌려 이 책에서도 이야기하고 있지만, 과연 '아우슈비츠 이후에도 시가 가능한가?'라는 질문에 그럼에도 시는 쓰여져야 한다고 하는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예술을 봐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겉보기에 아름다운 작품이 아니라 실제로 사람들의 마음에 충격을 주는 작품, 삶과 작품이 일치하는 작품, 그런 작품들이 좋은 작품이 아닐까?

 

그러므로 서경식은 사람됨과 작품을 구분하지 않는다. 그에게 작품은 곧 사람됨이다. 그런 작품들이 의미가 있는 것이다.

 

이 책의 제목이 되는 '고뇌의 원근법'은 결국 자신의 삶을 끝까지 밀고 나가는 작가들이 좋은 작품을 남길 수밖에 없다는 얘기로도 들린다.

 

그래서 고흐에 관한 대담이 이 책에 실린 것이리라. 원근법을 끝까지 밀고 나가 원근법을 넘어선 사람이 고흐라면, 고흐의 그림은 고흐의 전생애가 담긴 그림이라는 얘기가 되겠다.

 

그러니 고흐의 특별한 생애가 그의 그림에 관심을 끌게 한다기보다는 그의 치열한 삶의 모습이 그림 속에 나타날 수밖에 없음이, 그 고뇌가 나타나고 있음에 사람들이 가까이 다가갈 수밖에 없다고 하는 편이 좋겠다고 말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아직도 그는 디아스포라의 삶을 살 수밖에 없으리라. 요즘 일본 사회의 모습을 보면. 마찬가지로 우리 사회도 변하지 않았으니, 그가 독일 미술에 관해 관심을 가지고 그 미술 속에서 우리들의 모습을 보았던 것이 여전히 우리에게 의미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렇게 치열하게 세상을 직시하면서 자신의 작품세계를 개척해 나갔던 작가들. 우리에겐 좀 낯설지만 에밀 놀데, 오토 딕스, 펠릭스 누스바움이라는 사람을 알게 되었고, 그들의 그림을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이 책이 나에게는 의미가 있다.

 

우리에게 민중미술이 역사화되었다(6쪽. 책을 펴내며에서)고 서경식은 말하고 있지만, 아니다. 우리에게도 민중미술은 아직도 진행형이다.

 

이 책에 나온 세 명의 독일 작가가 겪었던 일들을 아직도 우리 민중미술계에서는 겪고 있다. 그래서 이 책이 더 의미가 있다.

 

이 책은 도대체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지금 우리가 추구해야 할 아름다움이란 도대체 무엇인가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이 책으로 이 세 형제의 책은 적어도 한 권씩은 다 읽었다. 모두 다 좋은 책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