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의 교사는 어떻게 가르치는가 - 교실을 리드하고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 52가지 수업 매뉴얼
더그 레모브 지음, 구정화.박새롬 번역 및 감수 / 해냄 / 201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읽으며 최고의 교사는 제갈공명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제갈공명이라고 한 이유는, 교사들이 교실에서 학생들과 만나는 수업 현장에서 하나하나 모든 것을 통제할 수 있고,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고 이 책에서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명이 적벽대전에서 한 일을 생각해 보라. 조조의 생각과 행동을 꿰뚫고 그에 대한 대비를 한다. 마치 부처님 손바닥 안의 손오공처럼, 조조는 공명에게 완전히 속해 있었다. 공명이 지닌 그런 자세... 전지전능이라는 말로 표현할 수도 있지만, 전지전능이 신의 경지에서 이루어지는 일이라면, 공명은 분석과 종합을 통한 예측을 했다고 할 수 있다.

 

최고의 교사들도 마찬가지다. 교사들은 신이 될 수 없지만 수업 현장에서 공명처럼은 될 수 있다. 학생들의 상황을 한 눈에 파악하고, 어떻게 하면 학생들을 이끌 수 있을까를 알고 있는 교사이기 때문에, 최고의 교사는 곧 공명이다.

 

그게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핵심이 아닐까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최고의 교사가 되는가? 그것은 교사들이 수업을 잘 할 수 있는 기법을 익히면 된다는 것이다.

 

교육을 철학으로만 할 수 없으니, 철학을 뒷받침할 수 있는 기법을 익히고 그것을 수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어야만 좋은 수업을 할 수 있게 된다는 말이다.

 

그래서 이 책의 부제가 '교실을 리드하고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 52가지 수업 매뉴얼'이다.

 

사람들은 교육에서 전략과 기법을 혼동하는 경향이 있는데, 전략이 교육철학에 해당한다면, 기법은 수업에서 행하는 행동, 태도 등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전략이 구체적인 행동으로 나타나지는 않지만, 기법은 구체적인 행동으로 나타나 눈에 보이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지은이는 '위대한 가르침은 예술이다' 라고 하면서 '위대한 예술품은 부지런히 연마하여 익힌 기술의 결과'(5쪽)라고 한다.

 

그런 기술에 대해서 명확하게 인식해야 한다고 하면서 용어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그가 말하는 전략과 기법에 대해서 보자.

 

교사와 같이 가르치는 직종에서는 대개는 '전략'이라는 용어를 많이 활용하는 경향이 있음에도, 흔히 가르치는 수단들을 가르칠 때 '전략(strategies)'이 아닌 '기법(techniques)'이라고 칭한다. 내가 생각하기에 '전략'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정보를 주는 식의 일반화된 접근 방식이라면, '기법'은 보다 구체적이고 특정한 방식을 말한다. - 9쪽

 

하여 기법은 누구나 익히고 연습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식을 말한다. 수천 수만 가지의 기법이 있을 수 있어서 자신에게 맞는 기법을 찾아 몸에 익히는 일이 필요하다고 한다.

 

이런 과정을 책을 끝맺는 부분에서 다시 한 번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교육을 예술에 비유한 까닭은 가르치는 일이 어렵고 신중함과 수완이 필요하며, 기법을 익히는 데도 일정한 기술과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책에는 학교가 직면한 여러 문제 상황을 변화시키고 학업 성취 격차를 감소시킨 교사들의 지혜가 종합되어 있다. - 297쪽

 

그렇다면 이 책의 장점은 무엇인가?

 

교육에서 요즘은 학생들을 중심에 놓고, 배움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이 책은 교육의 중심을 교사에 놓고, 가르침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배움을 유발하는 것조차도 교사의 가르침이라는 얘기다. 학생들이 어떻게 배움에 이르게 할지를 최고의 교사들은 기법으로써 이끌어 낼 수 있다는 말이다.

 

배움과 가르침이 상반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이 책이 시대에 뒤떨어진 이론에 불과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책은 시대에 뒤떨어진, 오로지 교사를 중심에 놓고, 교사의 기술만을 강조하는 책은 아니다.

 

아무리 배움을 중심에 놓더라도 교사의 역할이 있으니, 최소한 교사가 교실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익혀야 한다는 주장이니, 어느 정도 받아들일 것이 있다.

 

물론 산업시대의 학생들처럼 엄격한 규칙, 관리 등을 이야기하는 장면이 거슬리기는 하나, 거슬리는 부분은 건너뛰면 되는 것이고, 아무리 좋은 기술이라도 자신의 체형이나 기질, 성향에 맞지 않으면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많은 기법들을 나열하는 것은 그 기법들 중에 자신에게 맞는 기법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하기 위해서 이다.  그러니 이 책이 무의미한 것은 아니다.

 

적어도 수업 현장에서 교사 자신에 맞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고, 그것을 강화할 수 있으니 말이다. 그것의 중심은 물론 학생의 배움에 가 있어야 하지만 말이다.

 

52가지나 되는 기법들이 나와 있고, 그 기법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이 되어 있어서, 그 기법을 당장 실험해 볼 수는 있다. 또 자신의 방식으로 몇 가지 기법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게 이 책의 장점이다.

 

배움과 가르침이 양립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가르침은 배움을 유발하고, 다시 배움이 가르침을 유발한다면 교육은, 아름다운 예술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교육을 예술로 만드는 교사, 바로 제갈공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