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서교육, 스토리텔링을 만나다 ㅣ 도모생애교육신서 30
배철우 지음 / 예영커뮤니케이션 / 2014년 4월
평점 :
모든 공부는 독서로 통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독서교육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물론 공부의 끝은 실천이고, 실천을 하지 않고 자신의 머리 속에만 꽁꽁 가두어 놓은 지식은 지식이 아니다. 밖으로 나오지 않는 지식은 죽은 지식이고, 그러한 지식은 우리의 삶에 별 볼 일이 없다.
하여 우리가 독서라고 했을 때는 자신의 머리 속에만 숨어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으로 발현되는 읽기를 독서라고 한다. 독서는 그만큼 우리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과거를 현재의 우리와 연결해주고 있으며, 현재의 우리를 미래와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한 독서가 요즘은 자꾸 뒤로 밀려 가고 있다. 스마트폰 등등 첨단기기의 발달로 인하여 종이에 인쇄된 글을 읽는 이들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책도 e-북이라고 하여 전자책이 나와 종이를 만지는 감촉에서 벗어나 화면을 보는 쪽으로 이동하고 있는 중이기도 하고. 언제든지 그만 읽을 수 있는 환경으로 바뀌어가고 있어서 책을 진득하게 오래동안 읽는 이들이 줄어들고 있다.
이런 점이 독서가 점점 우리에게서 멀어지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 독서가 입시의 한 요소로 작용하면서, 억지로 읽어야만 하는 활동으로 전락하기도 했다. 그래서 책은 더 읽기 싫은 것, 하지만, 대학가기 위해서는 어떨 수 없이 읽어야만 하는 것으로 변한 감이 있다.
그래도 독서는 중요하다. 과거와 현재, 미래가 하나로 연결되어 살아갈 수 있게 해주는데, 또 차분히 자신을 성찰하는데, 지식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데 독서만큼 좋은 활동이 없다.
이 좋은 독서 활동, 어거지로 하는 것이 아니라 좋아서, 재미 있어서, 하고 싶어서 하는 활동으로 바꾸는 방법, 그것이 바로 스토리텔링과 독서를 연결시키는 것이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이야기 속에서 살아가고, 우리가 의식하든 의식하지 않든 이야기를 만들어 가며 살아가고 있다. 이런 이야기와 독서가 연결이 된다면 독서는 우리에게서 멀어지지 않고 우리의 삶과 늘 함께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 요즘은 독서교육에 스토리텔링을 접목하려는 움직임이 많이 있다. 이 책도 그러한 노력의 결과물이고.
우선 스토리텔링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주고 있다. 스토리텔링이 왜 중요한지, 의미는 무엇인지를 1부에서 이야기해주고 있다.
그 다음에 2부에서는 독서와 스토리텔링을 연결시켜 보여주고 있다. 수많은 스토리텔링 기법이 있으며, 그것이 독서와 연계되는 방법도 여러가지다. 우리가 이미 실천하고 있는 방법들도 많다. 하다못해 독서 감상문 쓰기 역시 독서와 스토리텔링이 만나고 있는 지점이 되니 말이다.
여기에 더 많은 다양한 활동들을 소개해 주고 있다. 나중에는 독서토론까지 나아가고 있는데, 이러한 점들을 학생들을 가르치는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고 적용하기 쉽게 정리를 해주고 있으며, 배우는 학생들도 이 책을 읽으며 독서에 스토리텔링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예를 들어주고 있다.
하여 우리가 그냥 독서후 활동이라고 하고 넘어갔던 많은 활동들이 모두 스토리텔링과 연결될 수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스토리텔링과 연결이 되면서 지루한 책읽기가 아닌 재미있는 책읽기, 의미있는 책읽기가 됨을 보여주고 있다.
독서에 스토리텔링을 적용하는 것은 창작된 이야기를 받아들이기만 하는 수동적 독서활동에서 벗어나 이제는 자신도 이야기를 만들어갈 수 있음을 깨닫게 하는, 그리고 이야기를 만들어가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학교에서 창작교육이 무시되던 때가 있었는데, 이제는 창작교육이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음을 본다.
이 책에서 보듯이 독서가 읽기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자기 나름의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곳까지 나아가고, 그것을 함께 공유하는 지점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점이 교육현장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제는 읽기와 쓰기가, 읽기와 말하기가 함께 하는 시대가 되었다. 그것이 바로 독서와 스토리텔링이 만나는 지점이기도 하다.
이 책에서처럼 독서와 스토리텔링이 만나면 좀더 효율적이고 재미있고 의미있는 독서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