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마음을 만지다 - 시가 있는 심리치유 에세이
최영아 지음 / 쌤앤파커스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시인이기 때문에 시를 쓰는 것인지, 시를 쓰기 때문에 시인이 되는 것인지 하는 질문이 있었다. 참으로 심오한 질문이기는 한데,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없다. 왜냐하면 시인이 아니더라도 시를 쓸 수 있으며, 시를 쓰면서도 시인이 아니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시는 무엇일까? 도대체 왜 우리들은 시를 쓴다는 시인들을 특별한 사람 취급할까? 이렇게 된 데는 우리나라 문학교육이 한 몫을 하기도 했다는 생각이 든다.

 

사실, 학교 다닐 때 시교육 수업을 생각해 보면 도대체 뭔 소린지도 모르는 시들을 온갖 표현법부터 상징적 의미까지 쪼갤 수 있는 데는 모두 쪼개 놓고 보았고, 또 시란 아무나 쓸 수 없는 무슨 특별한 종류의 문학처럼 여기도록 배워왔다.

 

도대체 왜 시가 그래야 하지? 이 시가 내 인생에 무슨 의미가 있을까?를 고민하는 수업은 전혀 없었다. 요즘은 시를 시로써 감상해야 한다는 교사들도 많아졌고, 그러한 수업을 하는 사람도 있지만, 학생들은 여전히 시를 어려워 한다. 시는 여전히 국어 시험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시를 통해서 치유를 한다고? 오히려 병이 걸리지 않고? 하는 의문을 가질 수 있다. 학창시절의 경험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분명이 시는 치유의 효과를 발휘한다. 어느 순간 시는 마음 속에 다가온다. 어, 이 시가 이랬어? 이 시가 내 맘을 이렇게 잘 아네... 하는 순간이 있다. 그 순간, 우리는 시인이 된다. 그리고 그 시를 다시 읽는 순간, 소리내어 낭송하는 순간, 시인이 쓴 시를 우리가 또다시 쓰게 된다.

 

이 책에서는 이런 순간을 이렇게 말한다.

 

  시도 누군가에게 읽히기 전에는 하나의 관념에 지나지 않는다. 누군가 그것을 큰 소리로 낭송할 때 그에게로 가서 완결된 한 편의 시로 재탄생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우리는 시인의 진액이 녹아 있는 고통과 희열의 잔을 시인과 나누어 마신다. 그리하여 낭송하는 자도 더불어 시인이 되는 것이다.

  시 낭송은 이처럼 가만히 한 자리에 머물러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시인의 시선과 흔적을 따라 시를 체험해보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관찰자의 입장에서 벗어나 시와 삶의 행복한 일치를 맛볼 수 있게 된다. 시를 낭송해보면 그냥 눈으로 읽었을 때는 눈치채지 못했던, 행간 깊숙이 숨어 있는 시인의 마음을 한순간에 낚아챌 수 있다. 그 시를 쓴 시인과 말을 주고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231쪽

 

한 번 시를 낭송해 보라. 시에는 어떤 시를 불문하고 음악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낭송을 하는 순간 우리에게 어떤 운율을 부여한다. 우리가 어떤 가락을 느끼고 그 가락이 온몸을 울리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시의 내용이 아니다. 시를 읽는 동안 그 소리들의 울림이 가슴을 울리고 머리를 울린다. 그 울림을 온몸으로 느끼는 순간, 일상의 자신과는 다른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여기에서 치유가 시작된다.

 

이미 시를 낭송하는 순간, 나는 나에게서 거리를 두고 시인의 눈으로 나를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시인의 말이 내 가슴에서 울리고 나를 울리고 내 영혼을 울린다. 그런 울림으로 나는 나에게서 있던 슬픔, 우울, 고통 들을 바라볼 수 있는 눈을 지닐 수 있게 된다.

 

보이지 않던 것을 볼 수 있게 해주는 힘을 시는 지니고 있다. 아니 시가 지니고 있다고 하기보다는 이 책의 지은이가 계속해서 강조하고 있듯이 낭독되는 시가 그런 힘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시는 낭송해야 한다. 소리내어 읽어야 한다.

 

지금 우리는 자신의 말을 소리내어 말하고 듣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기계에 대고 하는 소리는 소리내어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일방적으로 뱉어내는 소리에 불과하다. 내가 말하고 듣는다는 것은 일방적인 뱉어냄이 아니라 내 맘 속에 받아들이고 그것을 다시 한 번 성찰할 수 있다는 말이다.

 

시 낭송은 시를 내 맘 속에서 받아들이고, 그것이 울림을 통해 다시 나에게로 돌아오는 과정을 거치게 한다. 그러한 과정 속에서 내 맘은 어느 정도 치유가 된다.

 

시에서 멀어진 시대... 그러나 시대가 험할수록 시를 읽어야 한다. 시를 읽어야 험한 세상을 조금이라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나 자신이 부드러워질 뿐만 아니라 세상도 부드럽게 할 수 있는 일... 그것이 바로 시가 지닌 힘이고, 시를 낭송하는 우리들이 지닌 힘이다.

 

이렇게 시를 낭송할 때 우리는 자연스레 시인이 된다. 그런 시인들이 많아지면 세상은 더욱 밝아진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나 혼자만 있는 공간에서 조용히 시를 낭송해 보았다. 내 목소리가 내 가슴을 울리고, 그 울림이 내 머리까지, 내 영혼까지 울리는 경험을 한 책읽기였다.

 

시, 저 멀리 고고하게 혼자 떨어져 있는 존재가 아니다. 우리의 마음 속에 함께 있는 존재다. 시를 가까이 하자. 가끔 시를 소리내어 읽어보기도 하자. 마음이 편안해지고 따뜻해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