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어놓기와 건강
페니베이커 / 학지사 / 1999년 3월
평점 :
품절


지금은 너무도 당연한 말처럼 들리는 이 말이, 예전에는 과학적으로 의학적으로 입증이 되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설마 하는 의문도 있었고, 입증되지 않은 사실은 믿을 수 없다는 말도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이라는 말이 인정이 되고 있고, 스트레스는 면역체계를 파괴해서 우리의 건강을 해친다는 사실이 의학적으로 증명이 되었다. 또한 스트레스는 자신의 감정을 억제함으로써 더 심해지니, 감정을 억제하는 일은 우리의 건강에도 적신호로 작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패니베이커의 책은 이런 방면의 고전이라 할 수 있다. 지금은 거의 입증이 된...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의 유용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프로이트의 정신의학을 지금은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인다고 해서 프로이트의 책을 읽을 필요가 없다고 이야기 하지 않듯이 패니베이커의 이 책도 여전히 읽어야만 하는 책이다.

 

마음을 털어놓을 때는 말로 할 때도 있고, 글로 할 때도 있는데, 이 둘은 거의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는데, 그는 이를 맹신하지는 않는다. 적당한 정도가 좋다는 얘기다. 왜냐하면 어려운 얘기를 듣는 사람의 감정이 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감 능력, 이것이 인간이 지닌 능력인데, 계속 안 좋은 이야기를 들으면 그 듣는 사람의 감정 상태 역시 깨지기 쉽다는 것이다. 그럴 때는 끊어야 한다고...

 

서로 감정이 상하지 않을 상태에서 관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이것이 상담의 기초가 된다는 사실을 명심한다면 우리는 서로 듣고 말하는 관계가 얼마나 우리의 감정을 풀어주고, 더불어 우리의 건강까지 챙기게 되는지를 알게 된다.

 

말하기가 힘들다면 쓰기를 하면 된다. 조용한 공간에서 자신의 힘듦과 대면하고 이를 글로 옮긴다면 어느 정도 거리를 두게 되고, 성찰을 하게 된다고.. 그런 성찰을 통해서 자기치유를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된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다만 글쓰기를 할 때 주의할 점도 이야기해주고 있는데, 글쓰기를 현학적으로 한다든지, 분노만 표출한다든지 하면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얘기도 하고 있어서, 여러모로 참조할 사항이 많다.

 

또 큰사건을 겪은 도시에 사는 사람들이 직면한 문제에 대해서도 이야기하는데, 어째 이것이 지금 우리나라의 상황에 딱 맞게 나왔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큰 사건을 겪은 사람들은 사건이 일어난 직후에는 이 사건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들을 한다. 그들은 이렇게 이야기를 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데, 문제는 4주가 지난 다음부터다. 이 때부터는 너무도 많은 이야기를 들어왔기에 다른 사람들은 사건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싶어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건 당사자들에게는 그 사건이 아직도 남아 있어서, 그들은 누구에겐가 털어놓고 싶어하는데, 털어놓을 사람이 없다. 그런 상태... 마음이 억압을 받는다. 스트레스가 쌓인다. 건강이 상한다. 이게 문제라고 한다.

 

사건이 일어나고 4주 동안은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전문가들도 가서 이야기를 듣고 치유에 힘을 쏟는데, 4주가 지나면 전문가들도 사람들도 잊고 만다는 사실... 정작 그들에게는 4주 뒤에 더 필요한 일인데 하지 않아서 문제가 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아, 그렇구나. 지금 우리나라도 이제부터가 진짜 시작이구나. 지금부터가 전문가들이, 또는 다른 사람들이 해야 할 일이 많은 시기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그래, 지금부터 시작이다. 그 점을 명심하자.

 

또 이런 구절이 있는데.. 정말 마음에 와 닿았다.

 

학습을 자극하기 위한 것이라면 객관식 시험은 법으로 금지되어야 한다. 적극적으로 정보를 통합하는 것을 증진시키는 주관식 시험이 치러져야 한다. 263쪽

 

전국민의 지능을 자극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시험제도에 대한 전면적인 개혁이 있어야 한다는 것. 점차 쓰기 능력을 잃어가는데, 이는 자신을 성찰하는 능력을 잃어가는 것. 그래서 우리는 쓰기에 대한 생각을 다시 정립해야 한다는 것. 이것이 우리의 건강을 유지하는 비결이라는 것. 명심하자.

 

참 많은 생각을 하게 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