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도시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8
이탈로 칼비노 지음, 이현경 옮김 / 민음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탈리아 작가하면 오로지 단테만을 알고, 사상가라고 해야 기껏 마키아벨리라든가 그람시만 알고 있는데, 칼비노라는 이 작가는 처음 듣는 이름이고, 이 작가의 이 작품 역시 내게는 생소한 작품이다.

 

이런 생소한 작품을 골라든 이유는 단 하나. 정기용 때문이다. 정기용의 "사람, 건축, 도시"에서 이 책을 인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는 이 책이 상당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고 했다. 그가 그렇게 말했다면 한 번 확인해 볼 필요는 있는 셈.

 

그것도 건축학 책이 아닌 소설이라는데... 소설은 현실에서 있음직한 일을 작가의 상상력을 통해 표현해낸 작품이라고 할 수 있고, 유토피아 소설과 디스토피아 소설들도 존재하고 있으니, 그가 작품 속에서 도시를 어떻게 형상화해내고 있는지 확인해 보고 싶은 욕구가 생겼다.

 

다행히 책은 구하기 쉬웠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이 구비되어 있는 도서관이 많았기 때문.

 

책은 우리에게 "동방견문록"으로 잘 알려진 마르코 폴로와 원나라 세조라고 불리는 '쿠빌라이 칸'의 대화 형식으로 되어 있다. 마르코 폴로가 쿠빌라이 칸에게 자신이 여행해 온 도시들을 설명해주는 내용으로 작품이 이끌어져 가고 있다.

 

그런데 각 도시마다 제목을 달고 있는데 어떤 도시는 '기호'로, 어떤 도시는 '이름'을, '눈'을 '죽은 자들'을,  '하늘'을, '교환'이라는 제목을 달고 있으며, 어떤 도시들은 '숨겨진'이나 '지속되는'이라는 수식어를 달고 있다.

 

즉 온갖 도시들의 변주가 작품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셈인데.. 지금 우리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도시는 148~150쪽에 걸쳐 있는 '지속되는 도시들1'의 레오니아이다. 새로움을 위해서 날마다 나오는 쓰레기들을 처분해야 할 공간을 마련하고 있는 도시... 엄청난 쓰레기 산으로 둘러싸인 도시. 그렇게밖에 존재할 수 없는 도시. 그 도시가 바로 레오니아인데... 이는 아마도 우리나라 또는 전세계의 대도시를 연상하게 하는데, 이 도시는 우리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를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마르코 폴로는 이처럼 다양한 도시들에 대해 이야기해주고, 칸은 이 도시들에 대해서 듣고 또 자신의 생각을 말한다. 그리고 지도책을 보면서 수많은 도시들을 찾기도 한다. 이렇게 지도책을 넘기던 칸이 마지막으로 하는 말은 다음과 같다.

 

  칸이 말한다.

"최후의 상륙지가 지옥의 도시일 수밖에 없다면 모든 게 부질없는 짓이지. 바로 그곳에서 강물이 나선형으로 점점 더 좁게 소용돌이치며 우리를 빨아들이고 말 테니." (207쪽)

 

칸은 수많은 도시들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결국 우리는 이런 도시들의 생활에서 지옥만을 발견할 수 있을 거라는 자책을 한다. 인간이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기 위해서 건설한 도시들이 인간의 삶을 옥죄고 우리는 거기서 벗어나지 못할 거라는 두려움을 이야기한다.

 

급격히 산업화를 이룬 우리나라는 농촌은 낙후된 곳, 그래서 농촌의 도시는 사라져야 할 도시라는 생각을 하였고, 사람들은 새로 생기는 도시로 모여들기만 했다. 그러나 그것은 결국 뫼비우스의 띠처럼 돌고도는 상태에 불과했다.

 

어느 곳이 하나 하나 독립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도시는 연결되어 있음을, 우리는 도시들에게 길을 잃기도 하지만 결코 그 도시를 벗어나지 못함을... 그래서 칸은 결국 우리 인간이 도달하는 지점이 바로 지옥이 아니겠는가라고 말하는 것이다.

 

여기에 마르코 폴로는 이렇게 대답한다. 결국 지옥은 바로 이곳이 아니겠는가 하고. 칸이 아무리 화려한 도시, 화려한 왕궁에서 호사스러운 권력을 누리고 살지만, 칸이 살고 있는 이곳도 지옥에 다름 아니라고... 이 지옥을 벗어나는 방법에는 두 가지밖에 없다고. 

 

  그러자 폴로가 대답한다.

  "살아 있는 사람들의 지옥은 미래의 어떤 것이 아니라 이미 이곳에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날마다 지옥에서 살고 있고 함께 지옥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지옥을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 방법은 많은 사람들이 쉽게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지옥을 받아들이고 그 지옥이 더 이상 보이지 않을 정도로 그것의 일부분이 되는 것입니다. 두 번째 방법은 위험하고 주의를 기울이며 계속 배워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즉 지옥의 한가운데서 지옥 속에 살지 않는 사람과 지옥이 아닌 것을 찾아내려 하고 그것을 구별해 내어 지속시키고 그것들에게 공간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207-208쪽) 

 

지옥을 벗어나는 방법은 지옥을 잊을 정도로 지옥에 침윤되어 버리던지... 아니면 지옥 속에서 지옥이 아닌 것을 찾아내어 그것이 지속될 수 있도록 노력을 하던지... 그것밖에는 없다고 한다.

 

도시 속에 찌들어 살면서 다른 것을 보지도 생각지도 않고 그 때 그 때 시간에 쫓기듯, 또 공간에 쫓기듯 살면 그건 첫 번째 해결방법을 택한 것이리라.

 

그렇지 않고 지금 자신이 살고 있는 도시를 관조할 수 있게 된다면, 그 관조를 통해 자신의 위치와 다른 것들을 살필 수 있는 여유를 갖게 된다면 두 번째 방법을 책한 것이 되리라.

 

그리고 우리가 어떤 방법을 택해야 하는지는 우리 스스로도 잘 알고 있지 않은가. 여기에 대한 답을 굳이 할 필요가 있는가? 없다. 그래서 작가는 폴로의 마지막 말로 작품을 맺고 있는 것이다.

 

정기용으로 인해서 읽게 된 책인데... 순식간에 읽힌다. 보이지 않는 도시들을 머릿속으로 그려보면서 읽는 재미도 있고, 또 여기에 나온 도시들이 우리가 살고 있는 어느 도시와 연결이 되나를 생각해 보는 재미도 있다.

 

마지막으로는 우리는 어떤 도시에서 살아야 하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는, 정말로 우리가 살고자 하는 도시는 '보이지 않는 도시'지만,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존재하지 않는다는 얘기는 아니라는 사실, 그래서 보이지 않는 도시를 볼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함을 생각하게 해준 책이라는 의미를 전달해주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