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의 배움은 어떻게 깊어지는가 - 배움의 공동체 수업 실천서
이시이 쥰지 지음 / 살림터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배움의 공동체' 참 좋은 말이다. 일본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지만 사실 배움을 중심에 놓고 보면 배움은 공동체의 행위가 될 수밖에 없다.

 

자고로 배움에는 공동체가 필요하고, 배움은 일방적이지 않고 상호 협동적일 수밖에 없는데... 배움에는 나를 중심에 놓되, 남도 나와 같은 존재라는 사실을 늘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로부터 교육에는 '배움'이 중심에 놓였다. 그리고 이런 배움은 홀로 하지 않고 함께 했왔다. 동양 고전이라는 논어의 시작이 '배움'에서 시작하는 사실만 보아도 우리가 얼마나 배움에 중심을 두어왔으며, 이를 교육의 중심에 놓고 있었는지를 알 수 있다.

 

그런데 어느 순간 '배움'은 멀리 사라져 버리고 '교육'만이 남게 되었다. 이것도 '가르침'으로 남지 않고 단순한 전달로 남게 되었으니... 교육이 사라져가고 있다는 한탄이 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교실 붕괴, 학교 붕괴. 이런 말이 유행하던 시절이 있었고, 지금은 교권 붕괴라는 말이 많이 나돌고 있는데, 이 교권 붕괴를 마치 학생인권조례 탓인양 말하는 무리들이 있는데... 본말이 전도된 말일 뿐이다.

 

교권이 붕괴된 이유는 단순하다. 배움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아니, 배움만이 아니라 가르침도 사라졌기 때문이다.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기능만이 학교에서 살아남아 있기 때문에 교권은 더이상 존중받아야 할 무엇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 다시 배움을 살리자고, '배움으로부터 도주하는 아이들'(배움의 공동체를 널리 퍼뜨리고 다니는 일본의 사토 마나부 교수의 책 제목)을 배움에 머무르게 하자고 하는 노력이 바로 배움의 공동체다.

 

배움의 공동체가 어디에서 뚝 떨어져 우리에게 다가온 것이 아니라 이미 예전부터 존재하던 배움의 모습을 현대에 맞게, 그것도 학교라는 공간에 맞게 구성한 것이 바로 배움의 공동체 모형이다.

 

이를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받아들여 광범위하게 시도했고,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둔 학교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단지 표면상의 성공이 아니라 진정한 성공은 아이들이 배움을 즐기는 모습으로 나아가고, 단지 학교만이 아니라 자신의 일생을 통해서 배움을 추구하는 자세를 지니게 하는 것인데...

 

베움의 공동체를 표면상 모습만 받아들였다가는 예전에 했던 열린교육이나 협동학습처럼 일회성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일회성으로 끝나게 하지 않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한데, 무엇보다도 현장에서 수업을 하는 교사들의 노력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배움의 공동체가 도입된 지 10년이 되어 가는 것 같은데... 이런 실천 속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드러나게 되었고, 배움의 공동체가 형식에만 치우치는 경우도 생기기도 했을텐데... 이런 경험을 미리 한 일본에서 배움의 공동체 모형이 실제 학교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운영되어야 하는지, 교사들은 어떻게 배움의 공동체 수업을 이끌어가야 하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책이 바로 이 책이다.

 

경험을 바탕으로 왜 가르침이 아니라 배움이어야 하는지, 어째서 협동해야 하는지, 일제식 수업보다는 모둠별 수업이 더 효과적인지, 그냥 아이들의 대화만으로 끝나는 수업이 아니라 교사가 어떻게 개입해야 하는지, 여기에 학생들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려주는 점프는 어떻게 해야 일어나는지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주고 있는 책이다.

 

다만 수업의 과정에 대해서만 이야기하고 있지 평가에 대해서는 이야기하지 않고 있다는 한계가 있는데... 우리나라는 수업의 과정과 평가가 맞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이 경우에 대한 고민이 있지 않으면 배움의 공동체 모형도 정착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다.

 

배움을 통해 아이들의 사고는 깊어지고 서로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자세를 만들어갈 수가 있는데.. 이것이 우리나라처럼 시험이라는 제도가 떡 가로막고 있다면 결국 배움의 공동체는 성적을 올리는 한 수단이 될 뿐이지 진정한 배움을 추구하는 모형이 되지는 못할 위험이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이런 시도는 신선하다. 아이들에게 무언가를 전달해야만 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아이들 스스로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는 수업을 할 수 있다는 사실. 그것만으로도 참 기분좋게 한다.

 

이것이 단지 일본에서만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잘 운영되고 있는 학교가 있다는 사실은 입시경쟁이 치열한 우리나라에서도 배움의 공동체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에서도 언급했듯이 배움의 공동체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그런데 우리나라 교사들이 노력을 안하는가? 아니다. 우리나라 교사들의 수준은 세계 어느 나라에 비해서도 떨어지지 않는다.

 

우리나라 교사들은 우수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 이런 우수한 능력을 지닌 교사들이 오로지 지식을 전달하는 역할만 한다는 것이 더 우스운 일이다. 그럼에도 그렇게 운영이 된 것은 교사들이 연구할 시간을 다른 업무로 빼앗았다는 얘기밖에 안된다.

 

교육을 살리고 싶으면, 학생들이 서로서로 돕는 배움을 만들어가게 하려면 정말로 교사들이 교육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그런 다음에야 학생들과 교사들이 배움의 공동체를 만들어갈 수 있다.

 

학생들 스스로 배움을 일으키고, 학생과 교사들 간에도 배움이 일어나고, 교사들 사이에서 배움이 일어나며, 학교와 지역사회, 학부모들 사이에서도 배움이 일어나게 하기 위해서는 참 많은 것들이 필요하겠지만, 우선 이렇게 학교 현장에서 교실에서 이런 식의 수업을 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일본도 우리만큼 입시의 중압감이 큰 나라인데도 이런 교육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것을 보면 우리나라도 충분히 가능하다. 멀리 볼 필요도 있지만 실천은 늘 가까이서부터이니...

 

교육의 중심은 가르침이 아니라 배움이다. 이걸 명심하는 사람, 그런 사람들이 교육을 책임지는 자리에 있어야 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knulp 2014-04-07 22: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배움의 공동체를 실천해보고 싶기는 한데...결국 엄두가 나질 않아 잠시 미뤄두고 있습니다. 아무튼 근래 들어 옳은 가르침이란 무엇인지 고민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