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평선. 땅과 하늘이 만나는 곳. 다른 말로 하면 땅의 끝. 그리고 새로운 공간의 시작.

 

지평선에 서 있다는 얘기는 지금까지 걸어온 길에서 다른 곳을 바라본다는 이야기가 된다. 다른 곳으로 비약을 하기 위한 장소. 그곳이 바로 지평선이다.

 

'지평선에 서서'는 굳이 이렇게 하늘과 땅이 만나는 곳에 서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이지 않아도 된다. 지평선을 땅으로 해석해도 된다.

 

땅에 서 있다는 것은 곧 현실에 발을 디디고 있다는 얘기다. 현실, 그것은 바로 우리 삶이 이루어지는 공간이고, 이러한 공간 중에서 근원적인 공간으로 시인은 '밭'을 들고 있다.

 

'밭'은 우리가 발을 딛고 있는 공간이자, 우리의 삶을 유지하게 해주는 공간이고, 우리의 노동력으로 달라지는 공간이다.

 

이 시집은 "지평선에 서서"란 제목을 달고 있지만, 밭시 연작이라고 봐도 된다. 1부가 밭시의 연작으로 되어 있고, 밭에서 시인은 온갖 생명을 발견하고 있기 때문이다.

 

'밭'

 

어느 사이 우리는 이 밭에서 얼마나 멀어졌던가. 텃밭이라고 하여 도시에서도 요즘은 밭을 일구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우리네 삶의 일부분에서 멀어져 가고 있는 것이 바로 '밭'이다.

 

'밭'과 멀어질수록 우리는 땅과 멀어지고 땅과 멀어질수록 척박한 삶을 살아가게 된다. 아무리 과학기술이 발전해도 결국 우리의 삶을 지탱해주는 것은 땅이다.

 

그런 땅을 투기의 대상으로 여기는 사회는 전망이 밝지 않다. 땅은 투기의 대상이 아니라 '살림'의 대상이다.

 

그래서 시인은 '밭'에서 시작한다. 밭은 이곳과 저곳을 가르는 공간이자 이어주는 공간이고, 삶의 종착점이자 출발점이다.

 

지금 온갖 추상적인 말들이 난무하고 있다. 이 말들 중에서 밭만큼 진실한 말이 어느 말인지 찾아야 한다.

 

살림의 말, 그 말은 바로 '밭의 말'이다. 그런 말을 하는 사람, 그런 사람이 우리 곁에 있어야 한다. 우리는 그런 사람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밭'을 아는 사람, 그를 시인은 농부라고 한다. 그런 농부는 우리 시대의 성자다. 시를 보자.

 

무신론자

- 2000년 밭詩 20

 

그는 종교가 없다

그는 기독교도 불교도 모른다

마호메트를 아느냐고 물으면

아이들이 먹는 무슨 과자냐?고

머리를 긁적, 오히려 묻는다

 

하지만 그는 하늘을 우러러보고

땅을 향하여서는 경배한다

 

물사마귀 한 마리도 함부로 죽이지 않는다

 

그는 농부다.

 

김준태. 지평선에 서서. 문학과지성사. 1999년. 31쪽

 

이렇게 밭과 어울리는 사람. 그는 농부다. 성자다. 우리는 모두 농부다. 그런 농부들, 그런 사람들. 그 사람들을 시인은 '도서관'이라고 부른다. 누구든 세상의 모든 것을 지니고 있는 귀하디 귀한 존재...

 

동학의 인내천(人乃天)을 이야기하지 않더라도 사람은 모두 하늘이다. 그 하늘과 같은 존재, 바로 밭이다. 그리고 밭에는 모든 것이 있다. 그러므로 사람은 밭이고 하늘이고 도서관이다.

 

사람의 몸을 노래함

 

사람은 누구나

하나의 무진장한 도서관이다

장서량이 수천만 권을 넘는

사람의 육신은 그리고 저마다

별빛을 머금어 반짝이는 영혼은

아무도 허물어뜨릴 수 없는

지상과 하늘 사이 불켜진 도서관이다

오오 읽어도 읽어도 바닥이 나지

않는 사람의 따스한 몸과 그의 눈물

너무나도 벅찬 기쁨과 숨결의 드높음!

혹은 깊음이여 낫 놓고 ㄱ자도

모르는 어린아이에서부터 죽음을 앞둔

노인에 이르기까지 사람은 누구나

모두 수천만 권의

장서량을 내장한

도서관이다.

 

김준태, 지평선에 서서. 문학과지성사. 1999년. 8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