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헬렌 켈러 - A Life - 고요한 밤의 빛이 된 여인
도로시 허먼 지음, 이수영 옮김 / 미다스북스 / 2012년 4월
평점 :
품절
헬렌 켈러 하면 장애를 딛고 성공한 사람이라는 말이 먼저 떠오른다. 사실 어렸을 때 읽었던 헬렌 켈러의 이야기에는 그 정도가 다이기 때문이다. 설리번이라는 훌륭한 선생님으로 인하여 글을 알게 되고, 그 때부터 자신의 장애를 딛고 훌륭한 사람이 되었다는 성공이야기.
장애는 극복될 수 없는 무엇이 아니다라는 살아 있는 예. 그게 다였다.
사실 설리번 선생에 대해서도 그냥 어렸을 때 헬렌에게 글을 가르쳐준 선생님 정도로밖에는 알지 못했다. 헬렌에 대한 지식은 여기에서 멈춰 있었던 듯하다. 짐승같던 헬렌이 사람이 되는 순간. 딱 거기까지.
커가면서 헬렌이 사회참여를 했다는 얘기까지는 알았다. 그가 사회주의에 공감했다는 사실도. 이것도 딱 여기까지. 장애를 가진 사람이 어려운 처지의 사람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일은 당연하다는 생각을 지니고 있었기에 헬렌이 사회주의에 공감했다는 말을 듣고는 그랬겠지가 끝이었다.
그만큼 헬렌의 삶은 내게는 피상적일 수밖에 없었다. 더 알려고도 하지 않았고...
그러다 읽게 된 이 책. 헬렌의 전 생애를 다룬 이 책은 헬렌에 대해서, 장애에 대해서, 그리고 교사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해 준다.
헬렌의 평전이라는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이 책의 주인공은 세 명이다. 한 명은 헬렌 켈러. 또 한 명은 앤 설리번 메이시. 그리고 마지막은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은 인물인 폴리 톰슨.
헬렌을 중심으로 둘을 좌우에 놓을 수가 있을까? 아니 어쩌면 이들은 헬렌의 삶에 좌우로 있지 않고 헬렌의 삶에 함께 있었던, 헬렌이라고 할 수 있는 사람들이었다.
앤 설리번으로만 알려져 있던 설리번 선생은 뒤에 메이시라는 성이 붙는다. 그가 유일하게 결혼하여 만든('얻은'이라는 말이 거슬린다) 성이라고 할 수 있는데... 늘 헬렌 켈러의 삶에서 뒤에만 존재했던 이 사람이 헬렌의 삶 내내 함께 했다는 사실이 놀라울 따름.
평생을 헬렌과 함께 살고 죽으면서도 헬렌의 삶을 걱정했던 사람. 그는 강인한 정신과 냉철한 지성으로 헬렌의 삶을 지배했다. 지배했다는 표현이 어색하다면 헬렌의 삶을 이끌었다고 해야 한다.
헬렌이 평생을 남들에게 드러내고 남들에게 인정받게 해주었던 사람. 그러나 자신은 헬렌의 뒤로 갈 수밖에 없었던 사람. 헬렌과 떨어진 삶을 생각도 하지 못했던 사람. 그는 헬렌과 함께 한 평생이 행복했을까? 때로는 그에게도 엄청난 갈등이 있었을테고, 헬렌으로부터 벗어나고 싶은 욕구도 있었을텐데...
헬렌의 내면까지도 다루어서 헬렌의 알려져 있지 않은 인간적인 모습까지도 우리에게 알려주겠다는 이 평전에서도 설리번의 이러한 내면적 갈등은 나타나지 않는다. 다만 짐작은 할 수 있을 뿐이다. 그에게도 인간적인 고되, 여성으로서의 삶에 대한 욕구 등이 왜 없었겠는가. 그럼에도 헬렌의 삶과 자신의 삶을 하나로 묶을 수밖에 없음을 인식하고(다른 말로 하면 헬렌이 자신의 도움이 없으면 살기 힘들 거라는 점을 알고) 헬렌과 평생을 함께 살아가야 했으니...
이 점은 폴리 톰슨에게도 그대로 적용이 된다. 앤 설리번이 죽은 뒤 폴리가 죽을 때까지 헬렌에게 앤 설리번의 역할을 했던 사람은 바로 폴리 톰슨이다. 죽어서도 헬렌과 앤과 함께 나란히 있는 그는 대부분의 헬렌 전기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럼에도 그는 헬렌의 말년에 앤 설리번만큼이나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이다.
이 책의 장점은 바로 이것이다. 그 당시 장애를 가진 여성이 사회에서 인정받는 길은 자신의 힘으로는 불가능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는 것. 헬렌의 성공에는 헬렌과 함께 한 사람들의 희생(?아마도 사랑이라고 해야 하겠지)이 있었다는 사실.
헬렌도 우리가 성녀로 알고 있지만, 그에게도 사람의 욕구가 충만했다는 사실. 그런 욕구를 자신의 생계를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기에 남에게 의존해서 많이 억눌러야만 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지금 장애인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에 대해서도 다시금 생각하게 하고... 우리가 장애 문제를 시혜의 관점에서만 접근해서는 안된다는 사실.
그들도 우리와 같은 욕구를 지닌 사람이라는 사실. 우리와 세상을 대하는 태도와 살아가는 방식이 다를 뿐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통합교육. 함께 하는 삶. 요즘 장애 운동에서 주장하고 있는 것들 아니던가. 이를 헬렌 켈러의 삶에서 찾아내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듯하다.
헬렌의 삶에서 신비주의를 걷어내고 있는 이 책은 오히려 그래서 헬렌의 삶이 소중하게 다가온다 그 노력이. 그 시대에 남에게 의존해서 삶을 살 수밖에 없지만 자신의 자리에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에 최선을 다한 헬렌의 삶이 더 감동으로 다가온다.
헬렌의 자신의 처지에서 힘든 사람들의 처지에 공감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들을 위해서 사회 전면에 나서기도 했다. 비록 남들은 헬렌에게서 그런 모습을 지우려고 했지만 말이다.
헬렌이 믿었다는 스베덴보리의 영성. 그것은 아마도 헬렌에게 평화를 가져다 주었을 것이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도 극복하게 했을 것이고,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지도 알려주었을 것이다.
적어도 영성에 대해서 고민을 하고, 믿음을 가진다면 막 살 수는 없을테니 말이다. 그것은 장애를 가진 사람이든, 아닌 사람이든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 책은 나에게 인간 헬렌 켈러를 알게 해주었다. 그리고 장애인을 대하는 태도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해주었고, 지금은 많이 나아진 듯하지만, 아직도 갈 길이 먼 장애 정책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해주었다.
좋은 책이다. 이런 평전이 필요하다. 한 사람을 성인으로 만들지도 않고, 그렇다고 약점만 나열하지도 않고, 그럼에도 이런 일을 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자신을 처지를 둘러 보라. 그리고 무엇을 할 수 있을지, 무엇을 해야 행복할지 생각해 보라. 이 책은 그 점에서 시작하라고 우리에게 말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