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들레 90호가 왔다. 한 해에 6호씩 발행이 되는 이 책이 벌써 90호란다. 곧 100호가 되겠다. 90호 동안에 우리 교육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들을 했는데... 이 가운데 실현이 된 것도 있을테고, 여전히 진행 중인 것도 있을테다.
이번호는 특집이 "초록은 동색?"이다.
초록은 동색이라? 왠지 '우리가 남이가?'란 말이 연상되는 제목이다.
많은 차이를 무화시키고, 하나로 귀결시키는 언어, 집단성, 통일성, 단일성의 언어라고 해야 하나?
그런데, 이런 제목을 단 이유는, 그래선 안 된다는 말을 하고 싶어서이지 않을까 싶다. 같은 집단 내에서도 이질적인 존재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는 알고 있지 않은가?
하다못해 새누리당에서도 그들의 이념적 편차가 심할 것이고, 이들이 추구하는 목표도 다를 것이라는 생각. 또 정책마다 자신의 생각이 다르다는 생각. 그러면서도 당의 지도에 따라 일사분란하게 움직이기도 하는 현실.
역시 초록은 동색인가?
힘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가끔은 서로 다름을 묻고, 하나인 것처럼 행동할 때가 있다. 그런데... 더 큰 힘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다름을 인정하고, 그 다름을 통해 목표를 추구해나가는 것이다. 그 때는 거역할 수 없는 힘이 생긴다.
이번 호에서는 대안학교에서의 다름들을 이야기하고 있기도 하다. 대안학교 교사들이라고 하여 모두가 똑같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들은 초창기에 많은 갈등을 겪고, 그것을 극복해가는 과정에서 대안교육 15년을 이끌어왔다.
그럼에도 최근에 들어온 새내기 대안학교 교사들과 초창기 대안학교 교사들은 다름을 느끼기 시작했으며, 그 다름이 불거지고 있다고도 한다.
이게 문제인가?
다름이 불거지는 것은 문제가 아니라, 바람직한 현상 아닐까?
이 책의 어떤 글에서도 있다시피 진화의 방향은 다양성 아니던가? 생물들이 살아남기 위해서 한 가장 최선의 일이 종의 다양성 아니던가? 그렇다면 다양한 주장이 펼쳐지는 현상은 바람직하고, 권장해야 할 사항이다.
대안학교들에서 다름이 불거지고 있는 것은 대안학교가 그만큼 더 진보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말이 될 것이고, 교육적 실천의 다양성은 교육이 좋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말이 되기고 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사회에서 다양한 목소리가 들린다는 것은 그 사회가 민주 사회라는 얘기이고, 이 사회는 그러한 다양성을 바탕으로 더 좋은 사회가 될 가능성이 있다는 이야기가 되기도 한다.
다양성을 막으려는 시도는, 오히려 진화의 방향에 역행하는 일이기에... 교육 현장을 단일화하려는 그러한 시도들은 교육 발전의 방향과 정반대로 나아가는 것이고, 사회의 다양한 목소리를 종북이라는 이름으로 막으려 하는 것은 사회 발전의 방향을 가로막은 일이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일은 다름을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다름을 통해 자신을 바라보는 일이지 않을까 싶다.
갈등이 문제가 아니라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이 문제다. 갈등의 원인을 파악하고, 그 해결방법에 대해서 다양한 논의들을 거쳐 가장 바람직한 방향으로 해결해 나가려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오로지 '초록은 동색'이라고, 한쪽으로만 규정하고 대화를 하지 않으려는 자세가 문제가 된다.
민들레 90호. 이번 호는 바로 '초록은 동색'이라는 말을 통해 우리 사회의 소통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다름을 인정해야 하나가 될 수 있음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