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스티븐 호킹의 역사 - 자서전
스티븐 윌리엄 호킹 지음, 전대호 옮김 / 까치 / 2013년 9월
평점 :
절판


호킹의 모습은 휠체어에 앉아 있는 모습. 그리고 뒤틀어진 몸밖에는 떠오르지 않는다. 루게릭병이라는 근육이 위축되는 희귀병을 앓고 있는 그. 21세에 발병했다고 하니, 참 오래도 되었다. 보통 사람들은 루게릭병에 걸리면 얼마 살지 못하던데... 1942년생인 그가 2013년인 지금까지 살아 있다. 이것은 단순한 경탄을 넘어 그가 우리에게 무언가를 주고 있다는 이야기로 받아들여야 한다.

 

그렇게 살아남아 우주론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고(잘 모르겠는데, 이 책의 해설에 보면 호킹의 복사이론은 우주론에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한다) 많은 사람에게 희망을 준 그는, 그가 말하는 '무경계'에 살고 있는 인간인지도 모른다.

 

그는 말한다.

 

'나의 장애는 나의 과학 연구에서 심각한 걸림돌이 아니었다. 오히려 어떤 면에서는 장점이었던 것도 같다. 나는 학부생에 대한 강의나 교육의 의무를 지지 않았고 지루하고 따분한 각종 위원회에 참여하지 않아도 되었으므로 오롯이 연구에 몰두할 수 있었다.

  동료들에게 나는 일개 물리학자일 뿐이지만, 대중에게 나는 어쩌면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과학자일 것이다.'(152쪽)

 

그렇다. 그는 바로 자신의 삶에서 경계를 없애버린 사람이다. 그가 연구하고자 하는 것과 같이. 그런 경계없음에서 그는 자신의 능력을 마음껏 발휘했으며, 그런 그를 사람들이 사랑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그가 쓴 자서전이다. 엄밀히 말해 그가 썼다고 말하지는 못하겠다. 그는 팔을 움직일 수 없으므로. 그러나 현대과학의 도움을 받아 그는 자신의 생각을 남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도 그는 무경계인이라 할 수 있다.

 

그가 전문적인 학자들만이 이해할 수 있는 책이 아니라, 일반인들도 이해할 수 있는 책을 쓰고자 했고, 또 그렇게 낸 책이 우리가 알고 있는 "시간의 역사"인데...이 책은 세계에서 많은 판매를 이룬 책이기도 하다고 하는데.. 이 책에서는 그는

 

'내가 장애를 딛고 이론물리학자가 되기까지의 흥미로운 사연이 책의 판매에 도움이 되었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많은 사람들은 "시간의 역사"를 사서 책장 안이나 탁자 위에 진열만 해놓고 읽지 않는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나는 그런 사람들이 있다고 확신한다. ... 반면에 적어도 일부 사람들이 내 책을 애써 읽었다는 것만큼은 확실히 안다.'(125쪽)

 

이렇게 그는 자신의 처지를 확실히 인식하고 있지만 거기에서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을 포기하는 이유를 찾지는 못한다. 오히려 어려운 책임에도 불구하고(아무리 대중적으로 책을 썼다고 하더라도 우주를 다루고 있는, 그것도 제목이 "시간의 역사"인 책이 쉬울 리가 없다) 읽은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에 감사하고 자랑스러워 하고 있다. 이것이 호킹이 지닌 장점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는 이 책의 마지막을 이렇게 장식하고 있다.

 

'내가 우주에 대한 우리의 지식에 무언가를 보탰다면, 나는 행복하다.'

 

그는 가정으로 말했지만, 우리는 사실로 말할 수 있다. 그는 우주에 대한 우리의 지식에 무언가를 보탰다고.

 

스티븐 호킹이라는 사람에 대해서 자신이 쓴 책이기 때문에 호기심을 가지고 읽기 시작한 책인데... 분량도 얼마되지 않아 금방 읽을 수 있다. 앞부분에서는 호킹의 성장과정에 대한 이야기라서 쉽게 읽을 수 있는데, 뒷부분으로 가면 그가 루게릭병에 걸린 이후에는 우주론, 또 물리학 분야로 들어간 이야기를 하고 있기에..이해하기 어려운 대목이 여럿 나온다.

 

특히 과거로의 여행이 가능하냐는 타임머신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그를 세계 최고의 물리학자 중 하나로 만들어준 블랙홀 이야기는 구체적인 내용을 이해할 수가 없다. 다만 그가 그런 문제를 가지고 고민을 했고, 이는 아직도 풀리지 않은 문제라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그는 시간 여행은 불가능할 거라고 말했는데...

 

'설령 미래에 어떤 다른 이론이 발견된다고 하더라도, 시간여행은 영원히 불가능하리라고 나는 생각한다. 만일 언젠가 시간여행이 가능해진다면, 지금 우리 곁에는 미래에서 온 관광객들이 넘쳐날 것이다.'(142쪽)

 

상식적으로도 시간 여행은 불가능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여기에 중첩되어 있는 과거-거기, 미래-거기가 있다는 생각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시간 여행이 가능하다는 얘기는 공간의 중첩이 가능하다는 얘기가 되는데.. 무슨 홀로그램처럼 공간이 존재할 수 있을까? 그렇다면 그 공간에 존재하는 인간도 홀로그램처럼 존재하게 되나? 아니면 시간-공간이 하나의 쌍으로써 무수히 존재한다고 해야 하나? 하는 여러가지 생각이 드는데...

 

다행히도 호킹은 우리가 '타임머신 지평을 통과하여 타임머신에 진입하려는 사람이나 우주선은 복사(輻射) 번개에 맞아 흔적도 없이 파괴될 것이다.(140쪽)'라고 하니, 여기에 대한 생각은 더이상 하지 않기로 하자.

 

제대로 이해하지도 못하고 읽었던 "시간의 역사" 그러나 이 책은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와 더불어 내가 우주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그리고 스티븐 호킹은 사람은 어떤 상태에서도 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으면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을 할 수 있다는 예로서 나에게 존재했었고. 앞으로도 그렇게 존재할 것이겠지만.

 

그의 자서전인 이 책에도 나와 있지만 루게릭병은 근육은 망가뜨려도 뇌는 망가뜨리지 못한다고.. 그가 생각하는데는 아무런 지장도 없다고.. 그래서 그의 삶은 경계가 없는 삶이라고. '무경계'란 말은 경계가 없다고 말하기보다는 경계가 너무도 뚜렷한데, 그 경계 위에서 이 쪽 저 쪽을 다 볼 수 있는 상태라는 말로 해석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