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감사원이 감사를 해서 문제가 많다고 발표를 했더니, 감사원 발표를 어떻게 다 믿냐는 반박이 있기도 했다.

 

감사원의 기능이 감사를 주로 하는 곳이고, 감사란 잘한 것보다는 잘못된 것을 찾아내어 그것을 고쳐가게 하는데 의미가 있는데, 그런 감사원의 감사결과를 놓고도 정치적이니 아니니 하는 소리나 하고 있는 현실은 참으로 답답하다.

 

녹색평론 이번호는 특집이 4대강이다. 4대강에 대해서 많은 글을 실은 것은 아닌데, 4대강에 대해서 좌담을 한 내용을 실어서 4대강 사업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하고 있다.

 

국민들이 심정적으로 4대강은 잘못된 사업이라고 생각하고, 감사원 결과도 그렇게 나왔으며, 4대강 사업의 결과로 수질이 좋아지기는커녕 오히려 더 나빠져서 '녹조라떼'라는 말이 유행하기도 했으니, 이 4대강 사업은 실패한 것이 분명하다.

 

홍수조절도, 수질개선도 되지 못하고 오히려 강의 생태계를 파괴해버린 그 사업으로 인해 엄청난 돈만 낭비하고 말았는데.. 단지 돈만 낭비했다면 그거야 복구하면 그만이지만, 4대강 사업으로 인해 망가진 강, 그리고 강 주변의 논들, 들판들...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 등은 어떻게 보상을 할 것인가.

 

그것이 보상이 가능하기라도 한가? 삶의 뿌리를 송두리채 흔들어놓고도 아무렇지도 않게 그것은 꼭 필요한 사업이라고 하는 사람들에게, 그것은 잘된 사업이라고 하는 사람들에게, 지금 경인운하를 가보라고 얘기하고 싶다.

 

경치가 좋은 것도 아니고, 수질이 좋아진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배로 물품을 많이 실어나르지도 않고, 관광객도 없는, 직선으로 쭉 정비된 그 경인운하.

 

이는 환경재앙이다.

 

그런데 4대강 사업은 이보다 더 하다. 이 강들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강들이기도 하기 때문이지만, 그 강에 얽힌 삶들이 너무도 많기 때문이다.

 

그렇게 삶을 망가뜨려 놓고도 반성하기는 커녕, 그것이 잘된 일인양 떠들어대는 사람이 아직도 있다는 사실이 부끄럽기만 하다.

 

이번 호에서 한 4대강에 대한 좌담 내용을 읽으면 4대강 사업이 우리에게 어떤 재앙으로 다가오게 되었는지를 알게 된다. 그리고 그에 대한 해답도.

 

해답은 참으로 명쾌하고 단순하다. 그냥 보를 무너뜨리면 된다. 그리고 강 가에 쌓은 콘크리트 제방을 해체하면 된다. 그 다음에는 그냥 강에 맡겨놓으면 된다.

 

강은 힘들게 힘들게 자신의 모습을 복원할 것이다. 그것이 자연이다.

 

길재가 읊었다는 시조... '산천은 의구한데, 인걸은 간 데 없네'라는 말처럼, 자연은 우리 인간보다도 훨씬 길게 그 자리를 지킨다. 우리는 자연이 제 자리를 찾아갈 수 있게 그냥 내버려두면 된다.

 

인위가 사라진 곳에 자연이 비로소 자리를 잡는다.

 

그런 생각이 들게 하는 이번 호다. 여기에 후쿠시마.. 참 질기게도 인정하지 않는 그 재앙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고, 요즘은 계속 '기본 소득'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다. 그럼에도 아직도 '기본 소득'이 사회적인 논점으로 떠오르지 않는 건, 우리의 복지는 아직도 먼 곳에 있다는 생각이 들게 한다.

 

하나하나, 흐트러지려는 나를 잡아주고 있다. 글들을 읽으며 요즘을 다시 생각한다.

 

절망의 시대... 희망을 노래해야 한다고... 그런 말이 다시금 생각나게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