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다. 더위가 기승을 부리던 여름도 어느덧 지나가고, 아침 저녁으로는 서늘한 기운이 있다. 이 서늘한 기운은 열정들이 결실을 맺는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푸른 녹음을 자랑하던 잎들도 이제는 자신의 색을 바꾸기 시작하여 계절의 흐름에 따르기 시작한다. 이런 가을, 결실의 계절이라는 가을은 열정이 식는 계절이기도 하고, 차갑게 얼어붙는 겨울을 예비하는 계절이기도 하다.

 

이 가을, 누구에겐 결실의 계절이 아니라 떨어짐의 계절로 다가올 수도 있을텐데... 그러나 이것이 끝이 아님을, 언젠가는 다시 혹독한 겨울이 지나고 봄이 옴을 우리는 알 수 있으니...

 

어느날 차를 몰고 출근하는 길에 라디오에서 들려오는 노래 하나.

 

윤도현의 '가을 우체국 앞에서'

 

계절에 맞게 마음에 싸하니 들어와 박히는 노래. 이 노래를 들으며 이 노래를 김현성이 만들었음을, 그리고 김현성이 시에 곡을 붙여 노래로 부르고 있음을 떠올렸으며, 더불어 김광석이 부른 그 유명한 노래 '이등병의 편지'도 김현성이 만들었음을 떠올리고, 오래 전에 사놓고 읽어보았던 그의 시집을 다시 읽어봐야지 했었다. 그의 시집 제목이 "가을 우체국 앞에서"였다.

 

주말을 맞아 다시 펼쳐본 그의 시집에는 이 두 노래의 가사가 들어있고, 역시 시에 곡을 붙이는 사람답게, 자기 시에 곡을 붙였는데, 이렇게 좋을 수가 있다니... 이 두 노래의 가사는 이 시집에 시로 실려 있다. 무엇이 먼저인지는 모르겠지만, 다른 시들도 마음 속으로 들어와 콕콕 박힌다. 감수성이 예민한 사람이구나, 참 마음이 순수한 사람이겠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그는 낙엽을 보고서도 이렇게 시로 썼다.

 

(앞부분 생략)

 

돌아갈 곳을 모르는 사람은 슬픈 일만 있는 법.

흙 속으로 스며들어 흙이 된다는 것은

삶을 아릅답게 사는 것.

 

봄이 오면 나무는 말하리라.

죽음으로 끝난다는 말은 사람들만의 얘기일 뿐

다시 나는 푸른 잎사귀들은

지난 가을 노을에 붉게 물들었던

아름다운

죽음이었다.

(김현성, 가을 우체국 앞에서, 아선미디어. 2001년 초판. '흙으로 가는 길' 부분. 106-107쪽)

 

지금은 가을. 떨어지는 낙엽에게는 죽음이겠지만, 그 죽음은 죽음으로 끝나지 않고 다시 새로운 삶으로 탄생하는 순환의 과정임을 시에서 노래하고 있다.

 

어둠의 시절도 어둠이 지속되지 않음을 우리는 이 시를 통해서, 또 계절의 순환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역사를 공부하는 이유도 지금을 역사의 흐름에서 파악하기 위해서이기도 하니까...

 

권불십년(權不十年)이라고 했다. 모든 권력은 돌고 돈다. 한 때의 권력에 일희일비할 필요가 없다. 길게 역사의 흐름으로 보면 된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우리가 지닌 순수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가끔은 시를 읽을 일이다. 현재가 탁하다고 나까지 탁할 필요는 없으니까.

 

하여 나는 이 가을에 겨울을 건너뛰고 따뜻한 바람이 불어오는, 이 가을이 예비한 봄을 생각하련다. 봄을 생각하며 내 맘을 추스리련다.

 

이 시집에는 마음에 와닿은 시가 많은데, 그 중에 하나만 인용하면 지금 이 시대에 필요한 사람, 아니 우리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이런 사람이지 않을까 싶은 시 한 편.

 

오래된 주전자

 

오래된 주전자에서

새 물이 끓는다.

겉모습은 찌그러지고 여기저기 긁혔지만

언제나 뜨겁게 몸을 달굴 줄 안다.

세상을 제대로 산 사람이라면

온몸이 긁히고 찌그러져 있다.

밥을 저의 땀으로 얻은 사람은

눈물이 몸을 얼마나 뜨겁게 할 수 있는지를 안다.

눈물이 웃음으로 될 수 있는 사람은

제 몸이 찌그러지고 긁혀도

언제나 세상을 뜨겁게 달굴 줄 안다.

 

김현성, 가을 우체국 앞에서. 아선미디어. '오래된 주전자' 전문. 97쪽.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