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야자키 하야오 반환점 1997∼2008 ㅣ 미야자키 하야오
미야자키 하야오 지음, 황의웅 옮김, 박인하 감수 / 대원씨아이(단행본) / 201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출발점에 이어 반환점이다. 이 책이 반환점이라는 제목이 어울릴지는 모르지만, 이미 하야오는 원로 대우를 받는 감독 아니던가, 그가 아직도 할 일이 많다는 점에서는, 또 하고 싶어하는 일이 많다는 점에서는 반환점이라고 해도 될 듯하다. 아직도 현역으로, 하긴 감독은 죽을 때까지 현역이다. 그들에게는 '전(前)'이라는 말이 붙지 않는다. 활동하고 있으니 말이다. 올해 또 하나의 작품이 나오기도 할 예정이니... 이런 말하기가 뭐하지만 한참 뒤에야 '종착점'이라는 제목을 단 책이 나올 듯하다.
이번에는 "모노노케 히메(원령공주)","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하울의 움직이는 성", "벼랑 위의 포뇨"라는 네 가지 제목을 달고 나왔다. 이 넷은 출발점 이후 그가 만든 영화 제목이기도 하다. 순서대로 그가 한 말들, 그가 쓴 글들을 엮었다고 보면 된다.
글로 묶일 것을 생각하지 않고 '문필가라면 짧은 문장을 쓸 때에도 언젠가 책이 될 것을 각오하고 있겠지만 나는 그런 각오도 없습니다.'(431-432쪽)라고 했으니, 이 책에는 그 때 그 때 하야오의 진심이 섞인 말들이나 글들이 모여 있다고 보면 된다.
그렇다는 얘기는 그가 의식하든, 의식하지 않든 그의 내면에 있는 풍경들이 우리에게 드러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는 얘기인데... 이 책을 읽으면서 그가 어떤 자세로 영화를 만들었는지(그는 애니메이션이라는 말보다는 영화라는 말을 쓴다. 애니메이션 하면 영화보다는 한 단계 낮은 급으로 보는 인식이 있는데, 그를 피하기 위해서도 또 실사 영화든, 그림 영화든 영화임에는 틀림없다는 생각에 여기서는 영화라는 말을 쓴다) 짐작할 수 있다.
우리는 단지 짐작만 할 뿐이다. 그의 글이 그를 다 드러내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근거 역시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야자키 하야오 자신도 자신에 대해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이렇게 과거의 문장이나 발언이 모인 것을 보면 그곳에 있는 사람이 진짜 미야자키 하야오인가 하면, 그건 나도 절대 보장은 못 합니다.'(432쪽)
뭐, 사람이 단일한 요건으로 이루어진 존재는 아니고, 사람이라는 존재는 도대체 어떤 존재인지 알 수 없을 때가 더 많은, 그렇게 많은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이들이 때와 장소에 따라서 다 다르게 나타나기 마련이니, 우리 역시 미야자키 하야오는 이런 사람이다라고 단정할 수 없다. 아니 단정해서도 안된다. 그렇게 단정하는 태도가 얼마나 많은 독단을 낳았고, 갈등을 낳았는지 잘 알고 있지 않은가. 복합적인 존재, 그를 인정하는 태도. 이것이 바로 이 책을 읽으면서 지니게 되는 태도이지 않을까 한다.
책 아무 곳이나 손이 가는대로 펼쳐 본다. 그의 사상을 엿볼 수 있는 부분들이 도처에 있다. 그 부분들을 다 살펴볼 필요는 없으니...
사람도 짐승도 나무도 물도, 모두 동등하게 살아갈 가치를 지니고 있어요. 그러니까 인간만 살아가지 말고 짐승에게도 나무에도 물에도 살아갈 장소를 주어야 한다는 겁니다. 그런 사상이 일찍이 일본에는 있었습니다.
이번 영화 [모노노케 히메]는 그런 사고방식으로 만들려고 했기에 꽤 번거로운 일이 되어버렸어요. 이제 다 만들었는데 어떤 작품이 됐는지, 저는 아직도 잘 모르겠습니다. (40쪽)
아이들이 세상의 입구에 서는 유치원과 초등학교를 바꾸어야 합니다. 지금 아이들이 움직이지 않으니, 먼저 움직이게 할 필요가 있어요. 유치원에서 입구를 옥상과 밑에서 양쪽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합니다. 운동장에서 언덕길을 기어 올라가면 위에 있는 입구로 들어올 수 있죠. (146쪽)
이렇게 앞이 보이지 않는 시대에 태어나는 아이들한테 "참 대단한 때에 태어나버렸구나"라고 말하고 싶어지지만, 역시 "잘 태어나줬다"란 마음이 강하니까요. "축하해"나 "어서 와"같은, 그런 마음이 솔직한 마음입니다. 그리고 이 힘든 현실세계와의 사이에 어떻게 다리를 놓을지, 간단히는 다리를 놓진 못하겠죠. 그래도 역시 아이들한테 "태어나서 다행이다"라고 말할 수 있는 영화를 만들 수밖에 없어요. 그렇게 할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323쪽)
영화 만들기에 최선을 다한다. 특히 아이들이 볼 수 있는 영화, 보고 싶어하는 영화, 좋아하는 영화를 만든다. 그래서 아이들이 변할 수 있다면 더욱 좋고, 단, 그가 만든 영화를 수십 번씩 반복해서 보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때에만 보는 아이들이면 더욱 좋다고 한다.
이런 생각이 그에게서 영화를 만들도록 하는 힘이 되기도 하지만 또한 미술관을 운영하는 힘이 되게도 하지 않을까 한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미술관. 정돈되어 있는 미술관이 아니라, 무언가 뒤죽박죽이 되어 아이들 스스로 체험하고 만들어갈 수 있는, 스스로 얻어갈 수 있는 미술관을 꿈꾸는 사람. 그래서 부모들도 하여금 미술관 내에서는 사진촬영을 하지 못하도록 한 사람.(3부가 하울의 움직이는 성이지만, 이 영화에 관한 이야기는 없다. 이 3부에서 중심을 이루는 이야기는 미술관 이야기다. 이 미술관을 만드는 이야기. 미술관에서 상영하는 영화에 관한 이야기. 제목이 좀 바뀌었으면 더 좋았을 듯하다)
영화에 관한 이야기를 주로 하고 있지만 그 내면에는 아이들이 중심에 서 있다. 미래를 현재에 살아가는 사람들, 그 사람들이 바로 아이들이기에 그들이 좋아하는 영화를 만들고 싶다는 사람. 그 사람이 바로 미야자키 하야오다.
그가 앞으로도 아이들이 꿈을 가질 수 있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영화를 만들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