벗들과 옥천에 갔다 왔다. 옥천하면 안티 조선 운동과 정지용이 떠오르는데... 이문구가 쓴 글에서 옥천에 관한 일화를 읽은 적이 있다. 그 때 그렇지. 그럴 수 있지 하면서 참 인상 싶었는데... 박용래 시인과 옥천에 얽힌 사연.

 

  1973년 8월 며칠경엔가 있은 일이었다. 시인 이 아무개가 자기의 고향이 좋다 하여 작가 유광우 씨와 함께 옥천을 가다 말고 대전에 머문 날이었다. 우리 일행은 차시간에 늦어 막차를 놓쳤으므로 대전에서 하룻밤을 묵어올 수밖에 없었다.

  나는 저녁 어스름에 밀려 온종일 삶던 더위가 그음하려 하자 목촉교 옆의 허름한 탁배기집으로 박시인을 불러 모셨다. 내가 초면인 유씨, 이씨를 인사시키자 박 시인은 무슨 바람이 불어 옥천같이 빼어난 고장을 다 둘러보게 되었더냐고 여간 기특해하여 마지 않았다. 이에 힘입었는지 이씨는 시키지도 않은 옥천 지방의 산수를 자랑 삼아 덧거리하였다. 그러자 박 시인은 대번에 이씨를 겨누어보며 '산 좋고 물 좋은 것은 어느 두메나 일반인데 시인이 고향을 쳐들면서 어떻게 물경풍치만을 떠들 수 있는가. 그런 것은 관광객에게 맡기고 시인이라면 모름지기 자기 고을이 배출한 시인부터 기리는 것이 마땅하지 않은가'라고 바로잡아준 다음,

 "내가 옥천을 기억하는 건 오로지 시인 정지용을 낳은 땅이기 때문이오."

  하며 찻잔을 들어 서운한 마음을 가시려고 하였다. 나와 유씨가 숙연히 고개를 숙일 때였다. 물정 모르는 이씨가

  "그런가요? 나는 정지용이가 우리 게 사람인 줄도 몰랐네......"

  하며 새퉁스런 소리로 두런거렸다. 박 시인의 결곡한 성미를 알고 있던 내가 이제 큰일났구나 싶어 민망한 낯을 둘 데 없어하던 순간이었다. 바람벽에서 벼락 치는 소리가 터지면서 박 시인의 성난 음성이 귓전을 갈겼다.

  "야, 이문구, 너 정말 한심하구나. 너는 이런 거밖에 친구가 웂네? 정지용이 제 고향 선배인 줄두 모르는 이런 무녀리두 시인 명색이라고 하냥 댕기는겨? 이런 것도 사람이라구 마주 앉어 술 마시네?"

 

이문구, 이문구의 문인기행, 에르디아,2011년.  93-94쪽에서.

(이 이야기는 신경림의 "시인을 찾아서" 1권 박용래 편에도 나온다.)

 

정지용을 모르는 시인이라. 아니 알았는데, 그가 자신의 고향 출신이라는 사실을 모랐던 시인. 그 시인이 박용래 시인에게 당한 일화. 아무리 시대가 어려워도 한국에서 배출한 위대한 시인은, 특히 자신의 고장 사람이라면 알아야 한다는 것.

 

정지용이 누구인가? 교과서에서 늘 배우던 '청록파'시인들을 시인으로 등단하게끔 추천해준 그 인물 아니던가. 그러니 일반 사람들은 검열이라는 어려운 시절에 정지용을 몰랐다 하더라도 명색이 시인이라고 자처한다면 정지용을 알아야 하지 않겠는가. 이것이 박용래 시인의 뜻이었으리라.

 

그런데 내가 도착한 옥천은,

 

넓은 벌 동쪽 끝으로 /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 / 얼룩백이 황소가 /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정지용, 정지용 전집, 민음사, 1992년 2판 6쇄 46쪽 '향수' 1연

 

시인이 그렇게 그리워한 그 고향엔 이미 넓은 벌도 없었고, 휘돌아 나가는 실개천도 없었으며(단지 현대식으로 크게 만들어놓은 개천만이 있었다), 게으른 울음을 우는 얼룩백이 황소도 없었다.

 

하여 나에게 옥천은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 그리던 고향은 아니러뇨'(정지용 '고향' 1연)라고 읊던 정지용의 마음과 비슷하게 다가왔다.

 

옥천에 도착해서 정지용 생가로 가기 위해 신호를 기다리고 있을 때, 앞의 건물에 커다랗게 붙은 현수막은 옥천이 낳은 또 한사람의 서거를 기념한다는 그런 내용을 담고 있었다.

 

옥천이 그러한가?

 

박용래 시인에게 옥천은 정지용을 낳은 곳으로 기억되지만, 내게 옥천은 언론의 민주주의를 실현하려고 했던 곳, 안티 조선 운동을 벌였던 곳으로, 여기에 정지용의 고향으로 남아 있었는데, 정지용과는 별 상관도 없는, 또다른 인물의 이름이 현수막에서 나에게 보여지다니.. 씁쓸한 감정.

 

그래서 지금까지 가보지 못했던 정지용의 고장인 옥천을 큰맘 먹고 벗들과 함께 찾았는데, 초장부터 기분이 별로였다고 할까.

 

여기에 점심으로 먹었던 '구읍할매묵집'은 '구읍'이라는 이름과 '할매'라는 이름에 걸맞지 않게 한옥이 아니라 양옥 건물이었으니, 그것도 상가 건물이었으니, 근처에 있던 한옥집들과 대조되고, 햐, 이거 내가 생각한 옥천과는 좀 다르구나 하는 생각이 들고 말았다.

 

그럼에도 정지용 생가, 그 아담한 모습에, 그 앞에 흐르는 개천에 시인이 왜 '향수'를 노래했는지, 왜 '고향'을 그리워했는지, 고향의 변모를 서러워했는지 알 수 있었고, 정지용 문학관이 다른 문학관에 비해 그다지 떨어지지 않음에도 입장료를 받지 않았다는 사실이 어떻게 운영되나 하는 걱정이 들기도 했지만 좋았다고나 할까.

 

여기에 정지용 문학을 보여주는 한국 시의 역사에서 빼놓기 쉬운 인물인 백석, 오장환, 이용악을 함께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 좋았고, 그리고 입구에 전시해놓은 정지용 문학상 수상 시들도 좋았다고 할까.

 

한국시에서 한 획을 그은 정지용. 그를 한 때 정O용으로 배웠던 적도 있었는데, 이제는 당당히 정지용이라고 하고, 그를 기리는 문학상도, 문학제도 있으니... 시인은 가도 그의 시는 남아 있고, 그의 시정신은 남아있다고 해야 하나.

 

시인이 다른 어떤 인물보다 더 기억되는 사회, 그리고 시인과 마을이 하나로 기억되는 사회, 그런 사회가 바로 문화 사회 아닐까.

 

언론의 민주주의를 실현했던 옥천, 그리고 정지용이라는 위대한 시인을 배출한 옥천. 그 옥천, 나중에 시간이 나면 천천히 '향수길'을 걸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