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 위의 소설들 - 소설과 영화 사이 사이 시리즈 5
송기정 지음 / 그린비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때는 소설의 세기였고, 한 때는 영화의 세기였다. 소설이 많이 퇴조해서, 문자언어의 쇠퇴를 걱정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럼에도 아직도 소설은 문학 장르에서 대표적인 장르로 군림하고 있는데, 그 이유 중의 하나로 영화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영화가 소설을 축출해서 소설이라는 문학 장르가 사라질 거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텔레비전의 등장이 영화를 몰아내지 못했듯이 영화 역시 소설을 몰아내지는 못했다.

 

오히려 요즘에는영화가 소설을 살려주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 나온 영화와 소설의 관계만 보더라도, 박범신의 소설 "은교"는 영화로 만들어진 다음에 더 유명해졌으며, 공지영의 소설 "도가니"와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도 영화로 만들어진 다음에더 유명해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영화가 소설의 판매를 촉진하는 경우로 작용하였다고 볼 수 있는데... 물론 소설과 영화가 내용이 똑같지는 않더라도(사실 똑같으면 안된다. 영화나 소설이나 둘 다 서사장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표현방식에는 확연히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소설의 내용을 그대로 따르려고 했다가 영화를 망친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환기하기 바란다) 영화를 본 사람은 소설을 읽고 싶어 하며, 소설을 먼저 읽은 사람은 영화를 보고 싶어한다.

 

자기가 알고 있는 사실이 어떻게 변형되어 표현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싶은 욕구도 있을테고, 나라면 저렇게 표현하지 않았을텐데, 또는 와 저렇게 표현할 수도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는 기회로 삼고 싶은 욕구도 있을테니 말이다.

 

하여 최근에는 영화와 소설이 서로 넘나들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추세를 기반으로 영화와 소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연구하는 책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서사장르라는 공통점에서 시작하여 어떤 점에서 차이가 나는지, 소설은 설명이나 묘사가 충분히 작품을 이끌어간다면, 영화는 대사나 인물의 표정, 행동으로 작품을 이끌어나간다든지, 그런 차이에서 작품이 어떻게 변형이 되는지, 소설이 어떻게 영화로 창조적 탄생을 하는지 연구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그 결과물이 책으로 나오는데... 이 책도 그 중의 하나다.

 

1부는 프랑스 소설을 중심으로 영화로 표현된 경우, 소설이 영화에 어떻게 변용되어 나타나는지, 또 같은 영화라고 하여도 감독에 따라서 나타나는 차이점은 무엇인지를 연구하고 있다.

 

특히 라클로의 "위험한 관계"라는 소설이 영화로 많이 창작되었는데, 그 중에서 외국영화 두 편과 우리나라 영화 "스캔들"을 비교 대상으로 삼아 영화와 소설의 차이, 그리고 비슷한 점 등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 책의 저자가 "위험한 관계"란 소설이 인간의 보편적인 욕망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에 세계 각국에서, 또 시대를 넘어서 영화로 표현할 수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듯이, 인간의 보편적인 모습을 담은 소설은 어디에서나 어느 때나 영화로 만들어질 수 있겠다.

 

즉, 소설은 소설로서 끝나지 않고 다른 장르로 변형, 변용되어 자신의 존재를 계속 확대재생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려면 특수한 경우를 통해서 인간 삶의 보편적인 면을 포착하고 표현해내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부에서는 이청준의 소설을 예로 들고 있다. 이청준의 소설이 영화로 많이 만들어졌는데, 그 중에서 "이어도","서편제","벌레 이야기"를 들고 있다.

 

이 중에 "벌레 이야기"가 "밀양"이라는 제목으로 바뀐 것 말고는 모두 이청준의 소설 제목을 그대로 사용하여 영화를 만들어내었으며, 각 영화는 감독의 표현방식에 따라 조금씩 소설과 다른 모습을 지닌다고 한다.

 

물론 소설과 영화가 똑같을 수 없고, 또 똑같아서도 안된다. 하여 영화는 소설의 주제의식을 빌려온다든지, 인물들을 빌려온다든지, 갈등 상황을 빌려온다든지 하지만, 표현방식에서는 영화 장르의 특성과 감독이 하고자 하는 의도를 충분히 살려 창조적 변형을 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가끔 소설을 그대로 따라가려다 실패한 영화가 얼마나 많은지... 영화감독은 소설을 기반으로 하지만 영화라는 토대 위에 서 있기에 영화라는 장르를 늘 의식하면서 소설을 변형해야 한다는 사실... 그것이 소설도 살고 영화도 살 수 있는 길이라는 것을, 우리나라 소설인 이청준의 소설을 영화로 만든 작품들을 예로 들면서 잘 설명해내고 있다.

 

영화에 관심이 많은 지금. 소설은 영화에 많은 이야기 거리를 제공해주고 있다. 그런 이야기 기러들을 바탕으로 창조적인 재구성, 창조적인 표현... 그것이 바로 소설과 영화의 관계가 아닌가 한다.

 

이런 창조적인 관계맺음이 잘 되었을 때 영화와 소설은 서로 상생하는 관계로 자리매김을 할 것이다.

 

이 책에 예를 든 "서편제"처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