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지털 치매 - 머리를 쓰지 않는 똑똑한 바보들
만프레드 슈피처 지음, 김세나 옮김 / 북로드 / 2013년 3월
평점 :
책의 뒷표지에 자극적인 문구가 실려 있다.
"미쳤군! 학교에서 전자 교과서를 사용한다고?"
우리나라에서 모든 학교에 디지털 교과서를 사용하겠다는 발표를 한 지가 얼마 지나지 않았다. 또 어떤 나라에서는 학생들 개개인에게 노트북을 지급하는 일을 목표로 삼고 있기도 하다.
하긴 전자 교과서가 도입이 되면 자연스럽게 학생 개개인은 노트북이나 아니면 다른 전자기기를 지닐 수밖에 없다.
이것이 미래 교육의 모습이라고 한다.
한 때 유행했던 말, '유비쿼터스'가 학교 현장에서도 적용이 되기 시작한다고 봐야 하는데...
디지털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들이 있다. 또한 디지털 매체의 사용에 대해서는 찬반 연구가 있기도 하다.
여기서 우리는 어떤 입장에 서야 하는가?
디지털 시대를 비판하는 사람은 산업혁명 초기의 '러다이트 운동'을 하는 사람처럼 시대의 흐름을 읽지 못하는 사람일까? 아니면 산업혁명의 부작용을 미리 읽어내고 다른 대안을 마련하는 사람일까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정해야 한다.
여기에 "디지털 치매"란 책이 나왔다. 사회가 점점 컴퓨터에 익숙해질수록 사람들의 뇌는 점점 치매에 가까워진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 책.
사람의 뇌는 퇴화를 할 수밖에 없는데, 이런 퇴화의 속도는 정신의 높이에 반비례한다고 한다. 그러니까 정신의 높이가 높은 사람은 뇌의 퇴화, 즉 치매에 걸릴 확률도 그만큼 준다는 얘긴데, 정신의 높이는 디지털로는 이룰 수 없다는 주장을 한다.
독일을 중심으로 여러가지 연구자료들을 가지고 디지털이 결코 우리의 정신적 능력을 높여주지 않는다는 주장을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고 있다.
한 가지 놀란 점은 이 '디지털 치매'라는 말을 우리나라에서 먼저 사용하기 시작했다는 점. 그만큼 우리나라 사람들도 이러한 디지털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었다는 점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에서 가장 앞서서 초고속 인터넷망을 건설했으며, 국민들 개개인들이 휴대전화(스마트폰)를 지니고 있고, 이것도 모자라서 모든 학교에 전자기기를 도입했으며, 이제는 교과서마저도 디지털 교과서를 쓰겠다고 하고 있으니... 놀랄 수밖에.
마치 사람들이 충치에 잘 걸리니 수도물에 불소를 넣어서 충치를 예방하자는 주장이 생각났는데, 어떤 위험성이 있는지 충분히 검토도 하지 않고 좋다고 알려지면 추진하려고 하는 그 모습, 과연 이것이 전문가들의 모습인지.
전문가라면 쉽게 하지 못할 일이지 않나 싶은데...
이러한 디지털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멀티태스킹이 가능해졌다고 우쭐했었는데, 이런 멀티태스킹은 오히려 정신의 높이를 낮추는 일을 한다고 이 책에서 주장하고 있으니, 다시 생각해 볼 일이다.
깊이 생각하지 않더라도 지금 우리나라는 게임 중독이라는, 다른 말로 하면 컴퓨터 중독이라는, 스마트폰 중독이라는 현상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지 않은가. 이를 단지 미디어 사용교육으로 무마하려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 책을 보라.
그런 미디어 교육은 아무런 효과도 발휘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친절하게 알려주고 있지 않은가. 인간의 다양성이, 인간의 복잡성이 디지털이라는 0과1로 조합될 수 없다는 사실을, 오히려 우리의 몸은, 우리의 정신은 아날로그라는 사실을 이 책은 알려주고 있다.
이 책에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말을 인용하고 있는데, 그 말은 다음과 같다.
"정신은 생각이 선택한 색깔을 드러낸다." (361쪽)
그렇다. 디지털은 오히려 생각을 하지 못하게 하고, 우리 정신의 높이를 낮추는 역할만을 할 뿐이다. 그러니 디지털에 익숙한 세대들의 정신은 어떠하겠는가... 정말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미쳤군! 학교에서 전자 교과서를 사용한다고?"
이런 말이 나오지 않도록 무엇이 정말로 사람을 위한 것인지, 무엇이 나를 위한 것인지 생각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의 마지막에는 우리의 정신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일상생활에서 우리들 누구나 할 수 있는 방법.
명심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