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말콤 엑스 -상 - 제3세계총서 1
알렉스 헤일리 지음 / 창비 / 1978년 7월
평점 :
절판
"검은 것이 아름답다."
이 말은 흑인들이 백인들에 대한 대항 이데올로기로서 만들어진 말이다. 흑인들을 비하하는 세상에서 흑인들 자신이 아름답다는 사실을 깨닫게 하는 이 말처럼 좋은 말이 있을까.
과학이 발전하면서 우생학을 잘못 도용하여 인종간에 우열을 나누는 경우도 꽤 있었고, 그러한 우생학을 바탕으로 유색인종은(세상에, 그렇다면 백인은 유색인이 아닌지...) 열등하다는 주장을 했고, 또 그렇게 대우를 했다.
그런 차별 대우가 언어에도 녹아 있어, 흑인들은 니그로라는 말로, 또는 혼혈임을 나타내는 말로 쉽게 지칭이 되었으며, 그들이 가질 수 있는 직업도, 살고 있는 지역도 모두 차별을 받았다.
아주 오래 전, 중세 시대의 이야기? 아니다. 이것은 현대의 이야기이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민주주의가 발전했다는 미국에서 일어난 일이다.
이러한 차별을 철폐하기 위해 일어선 사람들이 있는데, 우리에게 알려진 사람으로는 미국인으로 마틴 루터 킹 목사와 말콤 엑스가 있다.
킹 목사는 평화주의자로, 노벨 평화상을 받은 사람으로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는 연설로 우리에게 너무도 잘 알려져 있고, 세계적으로 존경을 받고 있는 사람이지만, 말콤 엑스는 우리의 기억에서 잊혀진 사람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만큼 그의 전기를 구해서 읽기도 쉽지는 않다. 킹 목사가 계속 간디와 더불어 조명을 받는 것에 비하면 말콤 엑스는 자신이 한 일에 대한 합당한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 이유는 두 가지다. 그에 대한 오해와 그의 종교.
그는 이슬람교도다. 젊은 시절 온갖 방황을 거쳐(이런 방황이 사실은 그가 흑인이라는 사실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그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구조적인 문제라는 사실. 이것을 인식해야만 사회는 변할 수가 있다. 그는 학창시절 뛰어난 성적을 거둔 학생이기도 했다. 그렇지만 흑인이라는 이유로 장래 희망에 대한 무시를 견딜 수 없어 자신의 피부색에 맞는 동포들을 찾아 할렘으로 간다. 이 할렘에 거주하는 동안, 그는 밑바닥에서 경험할 수 있는 모든 것을 경험했다고 해야 한다.) 감옥에서 맞이하게 되는 이슬람.
그것은 그에게 구원의 빛이었다. 그 빛을 향해 그는 앞으로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나아갔으며, 그러한 그를 언론들은 과격하다, 증오를 빚는 사람이다고 말하기 시작했다.
1960년대 언론을 누가 장악하고 있었는가? 그것은 바로 백인이다. 하여 말콤 엑스는 증오는 바로 백인들이 만들어낸 것이며, 자신은 그러한 증오를 없애기 위해서 노력한다고 주장을 한다. 그 증오를 없애는 방법, 그것은 흑인의 권리를 되찾는, 흑인의 본래 모습을 되찾는 것이라는 주장, 이 주장이 백인게에는 또다른 증오의 모습이었으리라.
게다가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는 미국이지만, 미국인들 대부분이 기독교인인 나라에서 이슬람을 믿는 말콤 엑스는 이미 이단이라고 할 수 있다.
기독교의 목사로 어느 정도 인정을 받은 킹 목사와 그가 다른 점이다. 요즘 이슬람에 대한 인식을 보라. 아마 그 때도 다르지 않았으리라.
하지만 그도 그를 이슬람으로 이끌었던 종교지도자와의 갈등으로 그 단체에서 정권(권리를 중지당함)을 당한다. 그 후 그는 다른 단체를 이끌게 되는데, 이것이 흑인과 흑인의 갈등으로 보이게 되는 소지를 남기게 된다.
백인에 대한 증오가 있었던 말콤은 성지 순례를 통해 인종간의 갈등을 어느 정도 극복한다. 그는 이제 흑인만을 위한 운동이 아니라, 사람을 위한, 즉 사람에게는 피부색이 중요하지 않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렇게 한 단계 나아간 말콤의 의식이 사회운동으로 정립되기에는 활동 시기가 너무 짧았다. 곧 그는 암살을 당하기 때문이다.
만약 그가 더 오래 살았다면 인종을 넘어선 더욱 폭넓은, 인종을 초월한 평화주의자가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두 권으로 되어 있는 오래 된 책.
다시 읽으니 참으로 흥미롭다.
사회의 바닥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 헤어날 생각을 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이 말콤 엑스의 이야기는 희망을, 가능성을 줄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사회가 사람을 나락으로 내쳤더라도, 깨어있는 사람은, 그 사회의 모순을 파악하고, 사회를 바꿀 수 있는 힘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 그러한 깨어있는 사람이 결국 사회를 바꾸어 간다는 사실. 이를 말콤의 이야기를 통해서 알게 된다.
그의 삶은 정말로 바닥에서 시작했으니 말이다.
진흙에서 핀 연꽃. 그 연꽃은 사회 변화의 상징이다.
많은 책 중에 창비 판으로 읽었는데, 다시 활자를 현재에 맞게 고쳐서 재출간하면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어려운 시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