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크리스 임피 지음, 이강환 옮김 / 시공사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이 궁금해 하면서도 아직도 풀지 못한 수수께끼 두 개.

 

죽음이란 무엇인가? 세상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결국 사람들은 탄생과 죽음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렇듯 이 질문들은 사람이 가질 수 있는 질문의 최대치이지만 반대로 가장 기본적인 질문이라고 할 수 있다. 

 

죽음에 대한 많은 책들이 나와 있지만 우리들은 정답은 없다고 생각한다. 마찬가지로 생명의 탄생이나 세상의 시작에 대해서도 많은 책이 나와 있지만 정답은 없다고 생각한다. 아니, 어쩌면 정답은 있지만, 아직 우리 능력으로는 정답에 다가갈 수 없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가장 기본적이고 근본적이 질문이면서도 대답을 할 수 없는, 또는 누구나 대답하려고 도전하고 있는 질문, 여기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매달려 왔던가.

 

이 책은 죽음이 아니라 탄생에 대한 탐구다.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 -우주까지 포함하여-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를 최근에 나온 과학이론을 총동원하여 알려주고 있다.

 

세상의 시작을 탐구하는 사람들을 위한 안내서라고 하는데, 그러기에는 너무도 많은 수학, 물리학, 천문학 지식들이 동원되고 있다. 이런 과학지식이 없는 사람은 도대체 뭔 얘기를 하는가 하고 읽다가 포기할 수밖에 없고, 또한 약간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도 이 책은 어렵다.

 

아니 어려울 수밖에 없다. 물리학이나, 수학이나 천문학이나 전공하는 사람들이 아니라면 누가 다시 공부하겠는가. 얄팍하게 고등학교 때까지 배운 지식으로 버티든지, 아니면 뭔 소리야 하면서 책을 덮든지 할 수밖에 없다.

 

교양인을 양성해야 한다고 하면서도 국민공통과정이라 할 수 있는 고등학교에서도 문과와 이과를 나누어 편중된 교육을 하고 있는 현실에서 문과생들은 과학분야에서는 문맹이 되며, 이과생들은 인문학 분야에서 문맹이 되고 있지는 않은지 반성해 보아야 한다.

 

이런 반성 속에서 책을 끝까지 밀고 간다. 어짜피 딸리는 과학지식으로 이 책을 비판할 생각은 하지도 못하고 있으니, 책의 내용을 조금이나마 이해해야지 하면서 읽는다.

 

우주로의 여행이 세상의 시작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이 말에서 이 책은 호기심을 자극한다. 우주는우리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넓은데, 이런 우주 여행이 우리의 근원으로 가는 길이라니...

 

가만 생각해 보면 그렇겠다 싶기도 하다. 이것은 우리가 지각할 수 있는 빛 때문이다. 빛의 속도가 대략 일초에 30만 킬로미터를 간다고 하니, 빛의 속도로 계산을 하면 100억광년 떨어져 있는 별을 우리가 관측한다는 사실은 100억년 전의 별을 보고 있다는 얘기가 되니 말이다.

 

이 책에서는 우주의 역사를 137억년 정도라고 하는데, 이렇게 멀리 떨어져 있는 별들에서 우리는 우주의 시작을 발견할 수 있고, 또한 그러한 연구가 진척되고 있다는 얘기를 우리에게 들려주고 있다. 우리가 직접 가지 않더라도 알 수 있는 길이 있다는 사실을 알려줌으로써, 빛보다 빠른 물질을 개발하지 못하고 있는 우리들에게 우주에 대한 관심을 포기하지 말 것을 은연 중에 강조하고 있다고나 할까.

 

엄청나다. 정말로 방대한 스케일이 책 속에 펼쳐지고 있다. 이 자그마한 나라에서, 그것도 서로 아웅다웅하면서 살고 있는 모습이 너무도 좀스럽게 느껴질 정도로.

 

단위 자체도 감이 잡히지 않을 정도로 크거나 작고. 우주의 크기는 무한대에 가깝다고 하고, 어떤 은하들은 빛의 속도보다도 더 빠르게 우리 은하로부터 멀어져 가, 나중에는 우리 은하밖에는 관측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말도 나올 정도니...

 

하늘을 본다는 것, 천문학을 공부한다는 의미가 아니더라도 방대한 우주에서 나란 존재는, 우리란 존재는 무엇인가를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는 것이리라.

 

우리의 무한한 상상력을 과학지식으로 조금씩 조금씩 채워나가려는 노력. 이것이 천문학자, 물리학자, 수학자들이 하고 있는 일이란 생각이 들고, 이러한 과학과 종교가 결코 배타적이 아님을 저자의 생활에서(그는 티벳 스님들에게 천문학을 강의한다고도 하고, 마찬가지로 스님에게 배운다고도 한다) 또 저자가 예를 든 목사이자 천문학자인 사람의 이야기에서도 배우게 된다.

 

과학에 문외한인 나같은 사람에게 이런 책은 좀더 나를 좀더 낮춰야겠다는 생각이 들게 한다는 점, 조금 더 겸손하게 이 세상의 존재들에게 다가가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는 점, 좀더 커다란 세상을 꿈꿀 수도 있어야 한다는 점, 우리의 눈에는 너무 큰 것도, 너무 작은 것도 보이지 않으니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한다는 점에서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한가지 이 책이 우주에 대한 안내서 역할을 한다면, 적어도 일반인들이 읽어야 한다고 한다면 이 책의 부록에 천문학이나 물리학의 전문 용어들을 해설해 주는 친절을 베풀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대부분의 일반인들은 켈빈 온도라는 말이나, 그밖의 다른 용어들에 친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책을 읽으면서 다른 참고자료를 뒤적거리는 일은 책에 집중하는 시간을 뺏어가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