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평에 있는 이효석 문학관과 이효석 생가, 그리고 이효석 문학의 숲을 갔다 왔다. 어제.

 

세상에 가는 길에도 차를 보고, 한참을 달리고, 오는 길에도 차를 보고 한참을 달리고 이효석 문학의 세계를 보는데는 3분의 1도 채 되지 않았으니...

 

이효석이 그렇게 만나기 힘든 사람이었던가.

 

예전에는 교과서에서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을 쉽게

배웠고, 또 그의 수필 중에서 '낙엽을 태우면서'도 배웠는데...

 

메밀꽃은 이미 다 져서 추수가 되었고, 11월의 바람은 쌀쌀했는데...

 

그가 남긴 족적은 문학관이라는 이름으로, 문학의 숲이란 이름으로 남아 있으니...

 

생가 근처 식당에서 메밀 막국수를 먹는 맛도 좋지만, 그의 문학세계를 단지 순수문학으로만 치부하고 말기도 아쉬우니...

 

한 때 동반자 작가였던 그. 이후 순수문학으로 돌아서고, 그의 순수문학의 백미라 할 수 있는 메밀꽃 필 무렵이 탄생했으니...

 

장돌뱅이의 애환을 이리도 시적으로 표현해낼 수가 있다니..

 

왼손잡이가 유전이냐 아니냐라는 별 의미 없는 논쟁을 일으키기도 했던 작품인데... 과학적인 진실보다는 문학적 진실에서 이 작품을 읽으면 동이가 허생원의 아들일 거라는 추측이 자연스러워야 하는데...

 

어느덧 이런 작가들의 단편소설은 교과서에서나 볼 수 있게 되었고, 수험생들에게나 시험용으로 읽히고 있지는 않은지...

 

교과서에 나오는 소설, 중학생이 또는 고등학생이 꼭 읽어야 할 소설이라는 제목을 달지 않고, 예전 작가들의 주옥같은 단편들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문고판으로 다시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

 

예전에는 문고판들이 싼 값으로 다양한 작품을 읽게 해주었는데...

 

내 젊은 시절 삼중당 문고, 을유문고, 서문문고, 한마당문고, 계림문고, 박영문고, 정음문고, 범우문고 등이 얇은 지갑에도 불구하고 책을 읽을 수 있게 해주었는데...

 

이들 문고본으로 얼마나 많은 책을 읽었으며, 좋은 단편들, 그리고 좋은 글들을 읽었는지...

 

지금, 범우문고는 아직도 존재해서 책을 많이 내고 있지만 다른 문고들은 많이들 사라지고 있으니... 비싸고 두꺼운 책으로는 명작이라고 할 수 있는 단편들이 우리에게 접근하기가 쉽지 않은데...

 

이효석조차도 점점 잊혀지고 있지 않은가. 요즘 학생들이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을 과연 쉽게 이해할 수 있을까? 그 정서를 느낄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메밀꽃 필 무렵을 재현해 놓은, 그리고 본문을 돌에 새겨놓은 이효석 문학의 숲에서조차 학생들은 글은 읽지 않고 그냥 건성건성 지나치고 있으니 말이다.

 

허생원의 삶은 지금 힘들게 살아가는 노점상들의 모습, 또는 비정규직들의 모습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텐데... 허생원과 함께 가는 동이는 바로 지금 2대 8사회를 살아가는, 88만원 세대라 일컬어지는 우리나라 젊은이들의 모습이라고 할 수도 있는데...

 

단지 과거의 소설이 아니라, 지금 우리의 삶과도 연결될 수 있다는데 좋은 작품이 있는데...그런 생각을 했으면 좋겠는데...

 

이효석의 문학세계를 찾아갔다 오면서 그가 나귀와 함께 느릿느릿, 자연의 서정을 느끼며 걸었던 길을 우리는 자동차로 씽씽 달리며, 차가 막힌다고 투덜대고 왔으니... 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