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문화사 4 - 국가 1920~1960 유럽 문화사 4
도널드 서순 지음, 오숙은 외 옮김 / 뿌리와이파리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800년대에서 시작한 유럽문화사가 이제는 근대, 아니 현대에 접어들게 되었다. 처음에 인쇄매체인 책으로부터 시작한 첫권이 시작을 영상매체로 시작하는 4권이 되었다. 방대한 문화적 편력이지만, 가끔은 아는 사실과 새롭게 알게 된 사실들이 흥미를 자극한다.

 

문화에 관해서 영국과 프랑스가 패권을 지니고 있었는데, 어느덧 4권에 오면, 아니 1920년대에 오면 1차세계대전이후 미국의 패권으로 넘어가게 된다. 특히 영상매체인 영화에서는 미국의 패권이두드러지고, 이것은 지금까지도 변하지 않고 있다.

 

유럽이 이러한 미국 영화의 패권에 대항한 방법이 예술영화를 만드는 일이었고, 그것은 지금도 국제 영화제들을 통해 유지되고 있다. 즉, 유럽은 미국의 대중적인 영화에 도전하기보다는 자기들 나름대로의 기준을 지니고 영화라는 매체에 접근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1920년대부터 약 20년 동안 우리나라는 식민지였기에 제대로된 영화가 발달하지 못했고, 해방이 되고 난 다음에는 미국영화의 공세 앞에서 많은 부분을 내줄 수밖에 없었으며, 영화의 발전을 위해서 쿼터제를 도입했지만, 세계화의 물결 앞에 쿼터제도 많이 축소되어버렸지 않은가.

 

다만, 미국영화의 물결 속에서 영화기법들을 자연스레 익히게 되어, 우리도 이제는 미국 영화 못지 않은 영화기술들을 보유하게 되었고, 대작들은 미국영화에 밀리기도 하지만, 우리 영화로도 천만명의 관객을 동원하고, 한중일 합작영화를 찍는 등 우리영화를 외국을 대상으로 촬영하기도 하니, 이 책에서 나온 영화의 발달사를 우리나라 역시 따르고 있다고 봐야 한다.

 

즉, 이 책은 우리나라 문화를 보게 하는 거울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영화에 이어 책들은 여전히, 지금도 꾸준히 팔리고 읽히고 있으니, 더 말할 것도 없고, 음악 부분에서도 녹음 기술이 발달이 가수들을 유명하게 만들어 주고, 음악의 세계화를 이끌고 있다는 내용에서, 세계화는 1990년대에 나온 말이 아니라, 이미 근대화의 초기에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이 책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세계화가 문화에서는 자연스레 일어난다는 생각. 지금 우리나라 역시 한류열풍에 힘입어 우리의 음악을 세계에 알리고 있는 상태이니, 한 때 문화의 수입국에서 이제는 문화의 수출국이 되고 있으니, 그런 문화적인 힘을 계속 유지하려면 어떤 것들이 필요할지 이 책을 통해서 생각해 볼 수도 있다.

 

영화만큼 미국의 패권을 보여주는 분야가 만화 분야라고 한다. 만화 역시, 유럽은 변방에 머물고 있으며, 미국의 대중적인 만화를 번역, 번안하고 있는 상태라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즉 이 시대는 유럽문화라고 하지만, 유럽에서 건너간 이민자들의 나라인 미국문화가 유럽 문화를 오히려 선도하고 있는 시대라고 할 수 있는데...

 

여기에 언론들, 특히 일간지들을 다루고 있는 장은, 지금 우리나라의 상황과 왜이리도 비슷한지, 그들의 독자확보 경쟁이 지금 우리나라에서 자건거 신문, 상품권 신문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것과 비슷해서 실소를 자아내기도 하고, 라디오의 등장으로 사람들의 생활이 달라지기 시작하는 모습, 이것은 곧 텔레비전으로, 그리고 컴퓨터, 스마트폰으로 바뀌어갈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라디오로 교양과 교육을 담당하다, 정치적인 면까지 다루게 된 루즈벨트의 이야기는 지금 정치상황을 연상시켜, 참 세상은 빠르게 변하면서도 변하지 않는 것들이 있다는 생각을 지니게 한다.

 

우리와 가까운 기간이 이 책의 내용이다. 지금 우리를 규정한 대부분의 문화들이 이 때 활발해졌거나, 탄생했으니... 단지 유럽의 문화에 대한 내용이 아니다. 이런 문화들은 우리의 문화이기도 하다.

 

지금 시대와 가까울수록 더욱 흥미진진해진다. 그리고 생각할 거리가 많아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