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신시대에 대한 논쟁, 그리고 NLL에 대한 논쟁, 인혁당 재건위 사건에 대한 논쟁,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논쟁...

 

정말 이번 대선은 미래에 대한 이야기보다는 과거에 대한 이야기가 더 많다.

 

검증이라는 이름으로, 네 과거는 이랬다... 어쩔래? 하는 모양.

 

물론 과거를 묻어버릴 수는 없지만, 과거에 매달려서도 안된다.

 

과거를 이야기하는 것은 미래를 제대로 기획하기 위해서이다. 과거로 끄집어내리기 위해서가 아니다.

 

현재는 과거를 바탕으로 하고 있고, 과거와 현재는 미래를 배태하고 있다고 한다면, 과거에 대한 철저한 공부는 필수적이다. 과거를 무시하고 넘어갈 수 없을 뿐더러, 과거는 과거일뿐이라고 할 수도 없고, 또 과거를 과거로 내버려두자고 할 수도 없다.

 

하지만 마찬가지로 과거에 넌 이랬으니까 앞으로도 이럴 거야, 네 과거는 이랬어, 너는 그런 사람이야 하고 규정짓고 새로움을 찾으려는 노력을 하지 않으면 그것도 문제다.

 

우리가 과거를 이야기하는 이유는 지금 이 자리에서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이다. 이 점을 명심해야 한다. 그래서 과거는 과거로, 즉, 역사는 역사로서 철저하게 공부해야 한다. 검증해야 한다.  과거에 대한 공과는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 그냥 두루뭉수리하게 넘어가서는 안된다.

 

그런데.. 도대체 역사가 뭐지? 역사란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이라는 단재의 말도 있고, 역사란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란 E.H.카의 말도 있는데...

 

과거가 어떤 실체로 존재한다기보다는, 지금 여기에서 관계 속에서 만들어지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데... 그래서 이 관계를 통해 만들어지는 과거를 알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사실(이게 참 어렵다)에 대해서는 공통의 인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

 

 

 

 

 

 

 

 

 

 

 

 

 

 

지금... 대통령이 되겠다고 나온 유력한 세 명의 후보들... 기본적인 사실들에 대해 공통된 인식을 갖고 있을까? 만약 갖고 있지 않다면, 우리의 과거에 대한 공통된 인식과 누가 가장 가까울까 그 점을 생각해야 하지 않을까?

 

기본적인 사실들에 대해서 거의 기사식으로 정리해놓은 책.

 

강준만의 "한국현대사산책" 난 40년대부터 80년대까지 읽었는데... 이 시대에 대한 공통인식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우선은 가장 문제가 되는 60-70년대에 대해서 기본적인 사실을 알고, 그에 대한 공통인식을 갖춰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