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을 찾는가 - 전혀 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바꾸는 대안 노벨상 수상자들 이야기
게세코 폰 뤼프케 & 페터 에를렌바인 엮음, 김시형 옮김 / 갈라파고스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제목을 처음 보았을 때 루쉰이 생각났다. 그 절망의 시대에 희망을 품고 살았던 사람. 자신이 할 일이 무엇인지 찾아, 묵묵히 밀고 나갔던 사람. 그의 말이라고 하는 이 말

 

희망이란 본래 있다고도 할 수 없고, 없다고도 할 수 없다. 그것은 마치 땅 위의 길과 같은 것이다.

본래 땅 위에는 길이 없었다. 걸어가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그곳이 곧 길이 되는 것이다.

 

그렇다. 세상에 길이 처음부터 길이 아니듯이, 희망도 처음부터 희망이 아니다. 희망은 절망을 딛고, 앞으로 나아갈 때 나타나게 된다. 그것도 천천히. 그러나 꾸준히, 쉬지 않고, 사라지지 않고.

 

제목이 "희망을 찾는가"다. 물음표가 찍혀 있지 않다. 그래서 "너 희망을 찾고 있니? 그렇다면 우릴를 봐."라고 하는 듯하다. 너는 지금 이 시대에 절망하여 좌절에 빠져 있지 않고, 이 시대에서 더 나은 세상을 꿈꾼다면 그것은 희망을 찾는 것이다. 희망을 찾는다면, 이미 그 희망을 찾아 떠난 사람들의 길을 바라보라. 그리고 그 길로 함께 가라. 그렇다면 그 길은 이제 갓 난 작은 길에서 여러 사람들이 함께 갈 수 있는 큰길이 될 것이라고 하는 듯하다.

 

대안 노벨상, 바른생활상이라고 한다. 처음, 이 책에서 바른생활상이 본래는 노벨상으로 주어지길 바랐다는 사실을 알았다. 윅스퀼이라는 사람이 이 세상에 희망을 주는 사람에게 노벨상 중에서 생태학상이라는 하나의 상을 더 만들어 주면, 자신이 그 비용을 대겠다고 했다. 그러나 노벨상 위원회는 이 제안을 거부했고, 더이상 망설이면 안된다고 생각한 윅스퀼은 대안 노벨상인 바른생활상을 만들어 수여를 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벌써 몇 십년이 지난 얘기다. 이 상 덕택에 바른생활상을 탄 사람들의 활동이 알려지기 시작해 희망의 길이 생기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이 중에는 노벨상을 탄 사람도 있지만, 아직까지도 잘 알려지지 않은 사람도 있다. 그만큼 주류 세계와는 거리를 두고 있다는 얘기다. 그렇다고 이들의 활동이 그냥 묻혀지지는 않았다. 이것이 윅스퀼이 상을 만들어 수여한 이유이기도 하다. 상을 받은 사람들은 언론의 주목을 받게 되고, 그의 활동은 사람들의 관심을 자연스레 끌게 된다. 그렇게 하다 보면 함께 하는 사람들이 생기기 시작하고, 세상은 조금씩 바뀌어가기 시작한다.

 

여기서 이 책에 나오는 사람들 이야기를 하나하나 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다만 이들은 각자의 자리에서 자기들만의 방식으로 길을 만들고 있다는 사실은 기억해야 한다. 이들이 만든 길들이 서로 연결이 되면 우리는 더 많은 희망의 길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런 희망의 길들을 연결하려는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는 얘기를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 해주고 있어서 위안이 되기도 하고.

 

세상을 한 번에 바꿀 수 없다면 천천히 바꾸면 된다. 우공이산이라는 어려운 말을 생각할 것도 없이 우리나라 속담 중에서 "낙숫물이 바위를 뚫는다."는 말을 생각해 보면 된다. 그 여리고 여린 물방울들이 한 방울 한 방울, 한 방울, 한 방울... 계속 바위에 떨어진다면 결코 뚫리지 않을 것 같았던 바위에도 어느 순간 구멍이 나게 된다. 그것이 바로 희망의 역할이다.

 

루쉰이 말한 길도 이와 같다. 처음 시작이 어렵지 시작을 하면 함께 하는 사람들이 생긴다. 함께 하는 사람들이 생기면 희망이 현실이 된다. 그래서 우리는 안된다는 부정적인 생각보다는 할 수 있다는, 아니 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사례들을 많이 접해야 한다. 긍정적인 사례들을 자꾸 접하다보면 우리도 할 수 있다는 생각이, 해야만 한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하게 된다.

 

이탈리아의 사상가인 그람시는 전면전인 기동전보다는 국지전인 진지전을 준비해야 한다고 했다. 자신들의 참호를 파고, 그 참호를 중심으로 조금씩 조금씩 넓혀가는 진지전. 진지전은 빠른 시간 내에 끝나지 않는다. 그래서 인내심을 가지고, 희망을 가지고 길게 바라보아야 한다. 이 진지들이 서로 연결이 될 때 헤게모니를 장악할 수 있고, 헤게모니를 장악하게 되는 순간, 희망을 현실로 바꿀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다.

 

지금 세상에 희망이 있는가라는 질문을 하지 말자. 희망은 있다. 그것을 우리가 찾아야 한다. 그래서 제목이 "희망을 찾는가"다. 희망을 찾는다면 이미 절반의 성공이다. 시작을 했으니 말이다. 그렇다면 희망을 찾는다면, 희망을 찾아 이미 길을 내기 시작한 사람들의 뒤를 따르면 된다. 이들의 뒤를 무작정 따르기만 하란 얘기가 아니다. 이들처럼 길을 낼 수도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그들의 뒤를 좇기만 하는 모습이 아니라, 자신이 처해 있는 상황에서 자신에 맞게 길을 내는 일, 그것이 바로 뒤를 좇는 일이다. 그것이 희망을 찾는 일이다.

 

희망을 찾는가. 보라. 이미 희망의 길을 가는 사람들이 있다. 이 책을 보면 희망은 늘 우리에게 있음을 알 수 있다. 힘을 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