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녀 - 궁궐에 핀 비밀의 꽃, 개정증보판
신명호 지음 / 시공사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선지자들이 또는 예언자들이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곳에서는 큰 인정을 받지 못한다는 말이 있다. 그만큼 그들의 모습이 신비에 가려지지 않았기때문이다. 무릇 선지자란 신비함에 감싸여 있어야 하는데, 그들은 일반사람들과 함께 생활했던 보통의 사람이라는 인식이 더 강했기 때문이다. 이를 왕에게 적용하면 왕은 어느 정도 신비에 싸여 있어야 한다. 왕이 신비한 존재로 남아있기 위해서는 왕의 소소한 일상을 아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과 쉽게 만나면 안된다. 그들이 일상적으로 만난다면 왕의 일거수일투족이 낱낱이 드러날 테고, 그렇다면 왕도 신비한 존재가 아닌, 우리와 다름없는 보통사람이라는 인식이 들어 왕이 통치하는데 문제가 생기게 되기 쉽다. 지금처럼 지도자가 국민들에 의해 선출되지 않고, 다른 사람과는 다른 혈통, 다른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되었던 그 시대에는 말이다. 

 

이런 이유로 궁녀에 대한 기록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런 기록을 남긴다는 사실 자체가 왕의 일상을 공개적으로 드러내는 일이고, 이는 왕의 신비한 모습을 벗겨내는 일이니, 거의 역모에 가깝기 때문이다. 하여 천년을 넘는 궁녀의 역사가 우리에게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고, 간헐적으로 왕조의 멸망이나, 또는 반역사건과 관련이 있는 궁녀의 기록을 통해서만 알려지게 되었다고 한다. 

 

궁녀란 제목만 보면 무슨 왕조 비사(秘史)나 야사(野史)라는 생각이 들기 쉬우나 이 책은 그러한 비사나 야사가 아니라, 궁중의 문화 중에서 궁녀에 중심을 둔 미시사라고 해야 한다. 역사에서 예전에는 커다란 사건 중심이나 인물 중심의 서술이 중심을 이루었다면 최근의 역사서에서는 작은 일, 소소한 일상생활의 변화 등을 중심으로 서술하는 경향이 있는데, 무려 천 년을 넘게 존재했던 집단에 대한 기록이 거의 없다는 사실은 부끄러운 일이리라. 그만큼 궁녀에 대해서는 연구하기도 힘들었다는 얘기가 되기고 하고.

 

이 책에서도 나오지만 궁녀에 대한 선행 연구는 조선말기, 더 정확하게는 대한제국 말기에 궁녀 생활을 했던 사람들의 증언을 토대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그러나 증언이란 어느 정도의 사실과 어느 정도의 과장이 있게 마련이고, 또한 인간의 기억이란 자기 중심적으로 내용을 엮어가기 마련이어서, 증언을 뒷받침할만한 다른 자료들을 보충해야지만 정확한 역사가 재구성 될 수 있다.

 

그래서 이 책의 저자는 이러한 증언도 참조하지만, 다양한 역사 기록들을 찾아 궁녀에 대한 종합적인 역사 서술을 하려고 하고 있다. 물론 궁녀도 삼국시대, 고려시대의 궁녀에 대한 역사 서술을 하려고는 하지 않는다. 이들에 대한 자료는 현재 구하기 힘든 실정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비교적 자료를 찾을 수 있는 조선시대에 한정해서 궁녀에 대한 종합 서술을 한다. 궁녀에 대한 종합 역사서라 할만한다. 그렇다고 역사를 전공한 사람들만이 읽을 수 있도록 학술적인 내용으로 꽉 차 있는 책은 아니다. 오히려 일반 사람들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알려지지 않았던 궁녀들의 삶에 대해, 이 책은 "궁궐에 핀 비밀의 꽃"이라는 수식어를 붙이고 있다. 이들은 꽃은 꽃이되, 다른 사람들의 눈에 띄는 꽃이어서는 안된다. 이들은 오직 한 사람, 아니면 자신이 모시고 있는 사람(왕, 왕비, 대왕대비, 세자, 세자빈, 후궁 등)에게만 보이는 꽃이어야 한다. 보이는이 아니라, 보여야 하는, 그래야만 같은 궁녀라도 조금이라도 좋은 자리로가는 그런 꽃이었다고 한다. 이런 꽃이 남의 눈에 띄고, 남에게 가려 한다면 이는 있을 수 없는 행동, 역모와 같은 행동으로 취급되어 극형에 처해지는 꽃이었다고 한다. 단지 그들의 신비를 유지하기 위해서.

 

좋게 말하면 궁녀는 공무원이라고 할 수 있다. 정규직, 특히 거의 종신직 공무원이라고 할 수 있어서 가난한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궁녀가 되기도 했다는 사실, 특히 상궁이 되면 경제적인 면에서는 남부럽지 않게 지낼 수 있다는 사실이 이들에게 위안이 되기도 했으리라. 다만 다른 모든 것을 포기해야 하고, 또 소위 말하는 줄을 잘못 서면 목숨을 잃는 경우도 허다했다는 사실이 마음에 걸리지만.

 

궁녀의 조직과 하는 일, 그리고 직급, 월급, 또 역사적으로 이름이 알려진 궁녀, 궁녀들을 선발하는 방법, 궁녀들이 어떤 계층에서 많이 들어왔는지 등을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주고 있다. 그래서 한 시대 상당한 세력을 지니고 있었던 궁녀라는 집단에 대해 객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해주고 있다. 마지막에 궁녀의 성과 사랑까지. 우리가 우리나라 최고의 성군으로 이야기하는 세종이 여자들에게만은, 특히 궁녀들에게만은 얼마나 가혹한 군주였는지를 보여주기도 하고, 반대로 이들은 경제적으로는 어느 정도 안정을 이루었을지는 모르나 사람으로서의 존엄한 생활은 거의 힘들었으리라는 사실을 생각하게 해주었다고나 할까.

 

이제는 사라진 궁녀. 그러나 이러한 집단이 완전히 우리 사회에서 사라졌다고는 할 수 없다. 분명 존재하지만 공식적으로 언급이 되지 않는 존재, 그들의 삶에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함을 이 책을 통해서 느낄 수 있지 않을까.

 

신비가 걷힌 왕은 일반 사람들과 다를 바가 없다. 아니, 일반 사람보다도 오히려 더 못한 존재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왕의 신비를 도와주는 존재, 그 존재가 바로 궁녀를 비롯한 궁궐에서 일하던 사람들 아니었을까. 그 때는 왕이 신비를 돕기 위해 이들의 기록이 존재하면 안되었겠지만, 이제는 이들도 역사 속에서 당당하게 복원되어 자기의 자리를 찾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그런 작업을 이 책이 해주었다고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