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수리 시편 - 심호택 유고시집
심호택 지음 / 창비 / 2011년 1월
평점 :
유고시집은 유고라는 말 때문에 늘 마음이 찡하다.
시인이란 자신이 할 말을 가능하면 줄이는 사람들인데, 그 말들조차도 생존에 하지 못하고 남겨놓았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에.
마음 속에 있는 그 많은 말들을 고르고 고르다 내놓아야지 내놓아야지 하다가 결국 내놓지 못하고 만 상태. 그걸 발견하여 내는 시집. 유고시집.
유고시집으로 유명해진 사람이 세 명이 있다. 내게는.
한 명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애창한다는 "서시"의 주인공 윤동주, 또 한 명은 남성적인 시를 썼다는 "광야", "절정"의 이육사, 그리고 또 한 명은 죽지 않았음에도 죽었다는 생각으로 친구들이 시집을 냈던 "귀천"의 천상병.
이들이 우리나라 시사에서 어느 위치를 차지하는지는 누구나 알고 있을리라 생각하기에 더 얘기할 것이 없고.
심호택의 시집 "하늘밥도둑"을 잘 읽었던 기억이 있고, 어, 이분이 벌써 세상을 떴나 하는 생각에 그의 유고시집을 사서 읽게 되었는데...
이 유고시집은 그가 시골에 내려가 살고 있는 이야기와 어린 시절 이야기라고 보면 된다.
시편들이 다들 따뜻하다. 한 폭의 산수화, 풍경화를 보는 듯하다. 아니면 우리네 삶이 오롯이 들어있는 풍속화를 보는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하고.
특히나 이 시들은 다들 쉽다. 읽고 이해하기가 쉽다. 아니 이해한다기보다는 그냥 느낄 수 있다. 그렇게 시들이 쉽게 쓰여졌다. 하긴 자신이 시골에서 자연스럽게 살아가는 모습을, 그리고 유년시절을, 그 때의 일들과 삶을 시로 쓰는데, 어려운 단어들을 쓸 이유가 없긴 하겠다.
마음이 따뜻해지는 시. 그런 시들. 그가 우리에게 마지막으로 남겨준 선물이란 생각이 든다.
그의 시 중에 절로 웃음이 벙그러지게 하는 시 한 편
선생의 형님
모르는 것 없으면
그게 선생인데
농부는 사양한다
국졸이라 선생 자격 없다고
형님으로 모신다니
그는 한자랑이다
혀가 곧을 때나 꼬부라졌을 때나
아 글쎄!
개울 건너 선생님이 자기를
형님으로 부른다고
이날까지 육십 평생
자기가 이렇게 대단한 줄
처음 알았다고
심호택, 원수리 시편, 선생의 형님 전문, 창비, 4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