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두 ㅣ 문학과지성 시인선 342
오규원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8년 1월
평점 :
제목부터 낯설다. 두두라니. 이게 무슨 뜻? 국어사전을 찾아본다. 표준 국어대사전에는 이런 감탄사라고, 돼지 등을 쫓을 때 내는 소리라고 되어 있다. 이건 아니겠지. 시집을 펼쳐 본다. 시집 속에 뜻이 나와 있겠지.
그런데 시집 어디에서 '두두'는 없다. 제목인데, 제목에 관한 내용이고, 제목이고 없다. 이런 2부는 '물물'이다. 뭐야 이거...
오규원 하면 날이미지시밖에 생각이 나지 않는데...제목에서 막히다니.
아니다. 답은 오히려 간단한데 있다. 늘 그렇듯이.
책의 뒷표지에 뜻이 나와 있다. 이런 이런...
두두시도(頭頭是道) 물물전진(物物全眞):모든 존재 하나하나가 도이고, 사물 하나하나가 모두 진리다. 이렇게 되어 있다.
그래서 1부는 두두, 2부는 물물이다.
결국 이 시에 나오는 모든 사물들, 이미지들은 도이고, 진리이다. 아니 우리 삶에서 도이고, 진리 아닌 것이 없다는 얘기다. 그 얘기를 하고 싶었나 보다. 시인은.
그런데, 우리는 굳이 이런 글자에 매일 필요가 없다. 시는 우리가 읽기 나름 아니던가. 시는 이렇게만 읽어야 한다고 누가 그러겠는가. 그러니 그냥 읽으면 된다.
처음 시집을 펼치니 시인의 말이 눈에 확 들어온다. 아니 마음에 확 꽃힌다. 시인이 수목장을 선택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에 그러한가. 아니면 이 구절이 그냥 마음에 다가오는가. 시들을 읽기 전에 시인의 말을 시처럼 받아들이다니...
시인의 말
한적한 오후다
불타는 오후다
더 잃을 것이 없는 오후다
나는 나무 속에서 자본다
시인은 지금 나무 속에서 자고 있다. 그 점이 이 시인의 말을 더 마음으로 받아들이게 하는지도 모른다. 게다가 이 시집의 시들은 거의 다 짧다. 짧아서 이게 진짜 시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한다.
마음 깊은 곳을 울리기보다는 한 번 읽었을 때 장면이 눈에 그려지면서 그냥 따스해진다. 마치 봄날의 햇살처럼, 그리고 봄날의 바람처럼.
1부 '두두'에 실린 시들의 제목 대다수가 '~와/과~'로 되어 있다. 하나가 단독으로 나오지 않고, 무엇인가를 대동하고 나온다. 마치 혼자서는 세상을 살 수 없다는 듯이. 세상은 이렇게 여럿이 함께 묶여 구성되어 있다는 듯이.
그리고 시 내용은 해설에서도 말하고 있듯이 동사로 구성되어 있다. 제목은 명사, 내용은 동사. 제목을 내용을 통해 드러내보여주고 있다고 볼 수 있고, 그런 보여줌을 통해 우리는 작은 소품들을 보는 듯한 인상을 받게 된다.
마치 이철수의 판화그림을 시로 만나는 느낌이랄까. 이 두두에 실린 시편들이 참 따스하다. 그냥 한 편 한 편 넘기면서 마음이 봄햇살을 받는 것처럼 따스해진다. 그냥 읽으면 된다. 오규원 자신이 말했듯이 어떤 의미를 찾으려 하지 말고, 시를 시로 읽어가면 우리는 존재와 마주하게 된다.
그 존재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는 그대로의 존재로 의미 있다는 사실을 깨달으며, 나를 그 존재들 사이에 갖다 놓는다. 그러면 된다.
시를 읽으며 나를 세상의 존재들과 병치시키는 행위, 그 병치를 통해, 도에 이르는, 참에 이르는 그런 경지를 꿈꾸게 된다.
아니, 시를 읽는 순간만큼은 그런 경지에 도달한다. 그것이 이 시집이 우리에게 주고 있는 의미다.
4월이 가고 있는 지금. 오규원의 이 시를 본다.
나무에서 생년월일이 같은 잎들이
와르르 태어나
잠시 서로 어리둥절해하네
4월 하고도 맑은 햇빛 쏟아지는 아침
- 4월과 아침 전문
밖을 보니 이 시처럼 생년월일이 같은 잎들이 와르르 태어나 있다. 바람에 이들이 서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이들은 햇빛에도 그리고 달빛에도 서로 서로 빛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