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중과 공자 - 패자의 등장과 철학자의 탄생 제자백가의 귀환 2
강신주 지음 / 사계절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자백가의 귀환 2권이다. 이제부터는 본격적인 제자백가의 사상을 이야기한다. 그런데 처음에 관중을 이야기한다. 관중 부분을 읽으면서 서양 산업사회가 막 대두하던 시기, 엄청나게 많은 사회사상가들이 생각나고, 결국 혁명을 성공시킨 레닌이 생각났다. 성공한 사람. 그는 다른 모든 사상가들의 선망의 대상이 된다. 그래서 다음 사람들은 그를 계승하거나 극복하려고 한다.

 

1. 제자백가에 왜 관중이 나오는가?

 

관중이 제자백가 시리즈 제일 앞에 나온다. 의외다. 관중이라 함은 관포지교의 주인공으로, 그냥 우정의 대명사로 생각하고 말기 때문이다. 오히려 이러한 관중을 보아준 포숙을 대단한 사람으로 여기기도 하는데...

 

이 책에 의하면 관중은 어지러운 세상에서 처음으로 자신의 뜻을 펼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이 모신 사람을 춘수시대의 패자가 되게 만든 사람. 그러면서 자신의 정치적 역량을 다 펼친 사람이다.

 

이 덕분에 관중은 춘추전국시대 많은 학자들의 역할 모델이 된다. 다들 관중을 꿈꾸었으나, 관중처럼은 되지 못했기에, 관중은 제자백가를 다루는 이 책에서 맨 앞에 자리를 잡을 수밖에 없다고 한다.

 

즉, 관중을 계승하거나 넘어서려는 노력들이 제자백가들의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2. 관중에 의한 국가주의의 탄생

 

그렇다면 관중은 어떤 사상을 지니고 있었는가? 강신주에 의하면 관중은 자신의 겪은 현실체험을 정치사상으로 승화시키고 완성시킨 사람이다. 나와 남을 객관적으로 볼 줄 알며, 이상적이 아닌 현실에서의 정치를 이해했던 사람. 그래서 그는 백성(여기서 백성은 귀족층을 의미한다)만이 아닌 민중을 발견한 사람. 민중을 국가의 힘으로 전환시킨 사람이다.

 

이러한 압도적인 힘을 바탕으로 현실정치에서 다른 나라들을 굴복시키고, 제나라 환고을 패자로 모시게 만드는 사람이다. 그는 주어야 받을 수 있다고 하면서, 힘을 바탕으로 무조건 누르지 않고, 우호적인 자세로, 주변국들이 또 민중들이 자발적인 복종을 하게 만들었다고 한다.

 

이 민중들의 자발적인 복종이 바로 국가주의의 시초가 된다. 이 때부터 우리는 국가주의가 탄생했다고 볼 수 있고, 국가라는 개념이 우리들 삶에 깊숙히 들어오는 계기가 된다.

 

국가는 모든 사람의 삶을 통제하는 기구인데, 이를 억압적기구로 인식되지 않고, 이데올리기적 기구로, 합의와 동의하에 자발적인 복종을 유도하는 기구가 된다. 이런 국가가 삶에 들어오면 사람들은 국가를 벗어나는 사유를 할 수 없고,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치게도 된다.

 

관중은 처음으로 이 일을 해낸 사람. 그래서 제자백가들의 귀감이 되는 사람. 그를 계승하려든, 극복하려든 말이다.

 

 

3. 공자는 핵심 사상은? 

 

관중이 왕을 중심으로 민중까지 아루르는 국가를 꿈꾸고 건설했다면, 공자는 민중은 배제하고 있다. 그리고 예가 중심이 되는, 즉 주나라의 예를 다시 회복하는 목적을 지니고 자신의 사상을 전개해나간다고 한다.

 

우리는 공자의 핵심사상을 인으로 알고 있다. 모든 사람에 대한 사랑. 그것이 인이고, 이로인해 공자가 예수나 부처와 같은 반열에 든다고 생각을 하고 있다.

 

하지만 강신주는 아니라고 주장한다. 이 책에서 그가 주장하는 공자의 핵심사상은 예이다. 그것이 주나라의 예.

 

강신주에 의하면 이 때 한자어에서 사람을 의미하는 인은 귀족을 나타내며, 백성을 의미하는 민은 민중을 의미한다고 한다. 그래서 인민이라고 했을 때에야 모든 사람이 된다고 하는데, 공자는 인과 민을 철저히 구분하고, 민은 사람으로 대하지 않았닥 한다. 

 

도를 함께 할 수 없는 소인에 불과한 존재들일 뿐이다.

 

그러면 귀족 중심의 예는 보수적일 수밖에 없고, 예를 실현하지 않는 사람은 사람 축에도 끼지 못하니, 이는 왕을 전복시킬 수 있는 힘을 발휘하기도 한다고 한다. 사람들 자신이 예를 회복했을 때 비로소 이상적이 나라가 실현된다고 했으니, 그의 주장이 서로 권력을 잡으려 한 춘추시대나 전국시대 때 뜻을 펼치기는 어려웠으리라.

  

 

4. 왜 공자의 학파가 주류가 되었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대에, 공자의 학파는 주류 학파가 되었고, 나머지 학파들은 이단이 되었다. 이는 국가주의의 확립과도 관계가 있다. 한 나라로 통일이 되었을 때, 이제는 안정이 필요하다. 변혁이 필요없는 시대에는 예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는 간단히 말하며 제 자리를 알고, 제 자리에 맞는 행위를 하라는 규범이 아니던가? 모든 것에 제자리가 있다는 사상, 그 자리를 지켜야 훌륭한 인간이라는 사상은 하나의 국가로 통일되어 있던 나라에서 통치자들에게 유용한 사상이 되리라.

 

그러니 공자의 사상이 후대에 올수록 힘을 발휘할 수밖에 없었으리라. 그런데 왜 춘추전국시대에 사라지지 않았을까? 이때 공자의 사상은 개에게나 주어버려도 될 사상이었을텐데 말이다. 이를 강신주는 귀족계급이 공자의 사상을 지지했다는 데서 찾는다.

 

왕에게는 쓸모없고, 또 자신의 존재를 부정할 수 있는 사상이지만, 귀족계급들에게는 자신들의 행위를 정당화하고, 또 언제든지 권력을 잡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상이기 때문이란다. 자신들이 예를 지켰다면 예를 지키지 않는 군주를 몰아낼 수 있는 근거, 그게 바로 공자의 사상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예를 보면 그렇게 예에 관한 논쟁이 많았던 것일지도 모른다. 자신들의 정권을 유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말이다.

 

국가주의의 확립으로 철저한 신분제를 유지하면서, 신분에 맞는 예를 구현하는 사회, 이를 공자의 사상에서 찾았기에 공자의 사상은 주류로 남을 수 있었다고 본다.

 

 

5. 우리는 이들의 사상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나?

 

결국 관중에게서 시작된 국가주의의 탄생이 공자에게서 확립되었다고 나는 강신주의 책을 읽으면서 정리하였는데, 이 근거를 관중의 끝부분에서 강신주는 아나키즘을 언급하고 있으며, 공자의 사상을 귀족들의 예로 정리한데서 찾는다.

 

관중은 시혜라는 탈로 국가의 억압을 가리는데 성공했는데, 사람들은 자신들이 자유를 빼앗긴 줄도 모르고 자발적으로 국가에 복종하게 되었으며, 이는 공자의 예를 통해 더욱 확고하게 굳어지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들의 삶과 철학을 통해 다른 세상을 꿈꾸기 위해서는 어떠해야 하는가를 찾아야 한다.

 

최근 복지국가의 논의에 빠져, 국가주의에 대한 문제제기를 뒤로 미루고 있는 경우도 있으며, 사회의 혼란을 이야기하면서 예를 부활시켜야 한다는 논의도 있는데...

 

우리의 자유는 우리의 철저한 성찰을 통해서만이 찾아질 수 있다는 사실, 이 사실을 이 책을 통해서, 관중과 공자를 통해서 재확인해야 하지 않을까 한다.

 

이 책의 관중 부분을 읽으면서 김수영의 푸른하늘을 이라는 시가 생각났다. 진정한 자유란 자신의 생명을 걸고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내야 한다는 사실, 이걸 포기하는 순간 우리는 목민에게 길들여지는 가축으로 전락한다는 사실을 말이다. 그것이 국가권력이든, 예라는 올가미든.

 

른 하늘을 제압하는/노고지리가 자유로웠다고/부러워하던/어느 시인의 말은 수정되어야 한다.

 

 

 

자유를 위해서/비상하여 본 일이 있는/사람이면 알지/노고지리가 / 무엇을 보고/노래하는가를

어째서 자유에는/피의 냄새가 섞여 있는가를

 

혁명은/왜 고독한 것인가를/혁명은 / 왜 고독해야 하는 것인가를

김수영, 푸른하늘을. 전문

 

 

이제 출간될 3권에서는 국가주의가 발현되는 모습을 손자와 오자를 통해서 이야기한다고 한다.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