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다리로 서 있는 새 리토피아시인선 22
임강빈 지음 / 리토피아 / 2004년 6월
평점 :
품절


세상은 늘 어지럽다. 

그래서 세상을 알기 위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노력을 했던가. 얼마나 많은 답들을 내놓았던가. 그런데도 세상은 아직도 어지럽다. 

이런 어지러운 세상에, 조그마한 돌멩이를 던지는 일. 그게 시를 쓰는 일이다. 그 조그만 돌멩이가 일으키는 파장에 마음을 맡기는 일, 그게 시를 읽는 일이다. 

이런 상황을 임강빈 시인은 이렇게 파악하고 있다. 마음이 간다. 그래 수긍이 인다. 

조용한 수면에/돌을 던진다/풍덩 하는 소리가 크다/파문이 인다/돌 하나로 시작되는/TV동화 <행복한 세상>/짤막한 이야기/밖으로 밖으로 원을 그린다/이 잔잔한 울림          -TV동화 전문 

시는 이처럼 잔잔한 울림을 준다. 이 울림이 마음에서 마음으로 건너가 사람들 마음을 따스하게 한다. 이런 따스함 이는 바로 임강빈 시인이 말하는 이러한 사랑이다. 

오랜 사랑은/빙점(氷點) 언저리에서 머물다가/손을 잡아주는 일이다/따스하게 감싸주는 일이다-사랑 3연 

시는 우리를 채근하지 않는다. 그냥 우리 곁에 있다가 어느 순간 우리의 마음이 우울할 때, 우리의 손을 잡아준다. 그 따스함이 어지러운 세상을 견디게 해준다. 

그래서 시는 가난을 극복하게 해준다. 물질적인 가난이야 어찌할 수 없지만, 그 물질적 가난을 우리가 해결해야 하겠지만, 물질적 풍요만으로는 우리의 행복은 찾을 수 없다. 물질적 가난을 해결하고, 정신적 가난까지 해결한다면 세상은 더욱 아름다운, 살만한 곳이 되어 있을 것이다. 

가난은 죄가 아니라고 하지만 / 어찌 넉넉함에 비하랴 / 어지러운 세상을 살아간다 / 시린 나무 등에 업히는 찬 바람 

가난은 춥다 / 불을 지펴도 / 여전 썰렁하다 

이 가난에서 벗는 날은 / 파릇파릇 새싹이 / 시가 되는 날이다 / 시가 부자 되는 날이다. 

 - 가난 전문

이 시집에는 유년시절을 그리워하는 내용부터 나이들어감이 여유로움으로 변하는 내용까지 다양하게 시들이 펼쳐져 있다. 머리 속으로 이 시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 하는 난감함은 없다. 마음으로 받아들이면 된다.  

젊은 사람부터 나이 든 사람까지 아무나 아무 때나 손에 들고 읽으면, 이 시는 호수에 던져진 작은 돌멩이처럼 우리 마음에 잔잔한 파문을 일으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