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 교육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책이라서 정기구독을 하고 있지만...
이번에는 상상, 학교를 넘다!라는 기획이 있다.
우리 집 주변에는 다섯 개의 학교가 있는데... 초등학교 둘, 중학교 둘, 고등학교 하나. 참 이들 학교는 건물부터, 종치는 것, 아이들이 입은 교복까지 상상을 불허하고 있다. 왜 다들 똑같은지...
학교를 상상하라.
학교라는 개념이 이미 고정된 무엇으로 다가와, 우리는 학교를 상상하면, 기존의 학교 틀에서 많이 벗어나지 못한다.
민들레에서 기획한 이 학교를 상상하라 편은 이런 기존의 틀을 부수고, 새로운 틀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지 않았나 싶다.
그래도 무언가 배움이 이루어져야 하는 공간이라는 의미는 여전히 지니고 있고, 이런 배움이라는 공통분모조차 없으면 학교라는 말 자체가 사라져야 할테니...
학교를 아예 배움터로 바꿔버리면 안될까?
학교하면 이미 떠오르는 것들이 많아서 그곳에서 벗어나기 힘든데... 많이 쓰이기 시작한 말인 배움터란 말을 쓰면 배우는 공간이라는 의미가 있지, 어떻게, 무엇을, 누가, 언제라는 말은 이 말에서 우선 배제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다양한 배움이 있는 곳들이 하나하나, 또 여럿이 각자 존재하되, 이들이 필요하면 서로 교류하고 묶일 수 있는 사회, 그런 사회의 학교, 배움터를 꿈꾸어야 하지 않을까 한다.
이런 배움터들이 많아지면 지금의 학교라는 존재도 변하게 되겠지...
그런 의미에서 열린마당 꼭지에 실린 '위험하지만 아이들에게 허락해야 할 다섯 가지 일들'이 배움터라는 말에 더 가깝지 않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통제하지 않고 지켜볼 수 있는 것...길을 정하고, 따라오라고 하지 않는 것...
배움터라고 해도 고정된 공간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배움이 이루어지는 장소면 그 곳이 어느 곳이건 배움터가 되니까. 그래서 배움터는 학교라는 개념이 교사를 중심에 놓은 개념으로 다가온다면, 이 배움터란 말은 학생이 중심에 놓여 있는 개념으로 다가오게 된다.
다음 기획은 뭘까? 나는 민들레를 통해 무엇을 생각하고 실천할까 고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