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러피언 드림 - 아메리칸 드림의 몰락과 세계의 미래
제레미 리프킨 지음, 이원기 옮김 / 민음사 / 2005년 1월
평점 :
리프킨의 글들은 늘 신선한 충격을 준다.
그가 쓴 육식의 종말부터 노동의 종말, 수소혁명, 바이오테크 시대 등
읽을 때마다 새로운 생각을 하게 하고 있다.
이 책도 처음 나온 지는 좀 되었는데 그래도 꾸준히 읽히고 있는 책이다.
유러피언 드림이라? 유럽의 꿈이라고 번역을 해야 하나?
우리가 추구해야 할 사회는 아메리칸 드림이 아니라, 유러피언 드림이라고 리프킨은 주장한다.
미국식 꿈이 개인주의에 진보주의, 계몽주의 그리고 신에 대한 복종이라면 유럽식 꿈은 집단을 중시하며 진보주의에서 탈피하여 조화를 이룬 삶을 추구하고, 신에 대한 복종보다는 신이 꿈꾸었던 세상을 이 땅에 만들어가는 세속주의가 강하다고 한다.
즉 네트워크, 시스템, 생태, 관계를 중시하며 지금까지 살아왔던 삶의 방식에 대해 반성하고, 다른 삶을 꿈꾸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미 오래 전부터 이대로 미국식 개발을 추진하다간 지구가 멸망하고 말리라는 위험에 대한 신호기 있었다. 그리고 어떻게 하면 우리가 좀더 지속가능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을까 하는 대안에 대한 모색이 있었다.
이 대안의 모습을 리프킨은 미국이 아닌, 유럽에서 찾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글 중간중간에 동양적 세계관에 대한 이야기도 나온다. 유럽식 꿈과 동양의 사고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하고 있으니, 동양적 사고방식이 몸 속 깊이 박혀 있는 우리나라는 더 나은 세상을 오히려 쉽게 꿈꿀 수 있지 않을까.
그러기 위해서는 미국에 경사되어 있는 우리네 관점을 바꾸어야 한다. 리프킨의 말대로 아메리칸 드림이 아니라 유러피언 드림을 추구해야 한다.
미국에 집중되어 있는 유학이 유럽으로 더 많이 분산되어야 하며, 미국하면 무엇보다 우수하다고 생각하는 자세도 고쳐야 한다.
이미 한계를 드러낸 미국의 교육제도, 의료제도, 사회제도, 경제제도를 맹목적으로 추구하면 안 되고, 나름대로 돌파구를 마련해 가는 유럽을 공부해야 한다.
그렇다고 유럽이 무조건 옳다는 생각을 지녀서는 안된다. 유럽도 이민자들, 그리고 종교 문제 때문에 많은 갈등이 있고, 이들이 이렇게까지 성장하고, 또다른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기반은 옛날 식민지 때문이라는 사실도 기억해야 한다.
유러피언 드림을 공부하되, 우리 실정에 맞게 그리고 우리나라가 속한 동양의 현실에 맞게 적용해야 한다.
이미 우리는 관계 중심의 사고에 익숙하지 않은가. 이 관계 중심의 사고를 사회 전 분야에 적용하려고 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자연스레 무상급식이 의무급식으로, 무상진료가 의무진료로 지칭하는 말 자체의 변화가 있게 될 것이다.
관계 중심의 사회에서는 다른 존재의 불행이 내 행복이 될 수 없으며, 다른 존재의 불행은 곧 내 불행이 되기 때문이다. 내 행복과 다른 존재의 행복이 연결되어 있다는 사고 방식은 오랫동안 이어져 온 우리 동양적 사고 방식이다.
이 사고 방식이 미래에 필요하다는 사실을 다시 일깨워준 책이다.
리프킨의 저작을 읽으면서, 어떤 사회를 우리가 추구해야 하는가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었다고나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