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공약 사항이었는데, 공약을 실천하지 않으면 오히려 정치권에서 부끄러워 하고, 책임을 져야 할텐데, 아무도 책임을 지지 않는다. 

게다가 학생들이 견딜 수 없다고, 등록금을 반값으로 내리라고 의사표현을 하는데, 불법이란다. 

세상에 집회 결사의 자유가 헌법에 보장되어 있는 나라에서, 우리나라 집회는 신고제가 아니라, 허가제인지, 원, 함께 모여 의사표현이라도 할 양이면 불법, 불법이라고 하니... 

대학생들이 여러 단체와 연계해서 6.10민주화 투쟁을 벌였던 오늘 대대적인 반값 등록금 투쟁을 하기로 했단다. 

서양에서는, 아니 교육이 제대로 된 나라에서는 학비라는 개념이 없다시피 한데, 돈이 없어서 공부를 하지 못한다는 말을 이해하지 못한다는데, 우리는 전액도 아니고, 반값으로 내리자고 하는데도 하지 않으려 하니... 

학문을 하는 공간이 대학이 아니라, 돈벌이 수단이 대학이 된 지가 오래되었다고 해도, 이건 너무하다. 

공약(公約)이 공약(空約)이 된 지 꽤 오래되었지만, 학생들이 들고 일어나고, 부모들도 들고 일어나는데, 최소한 반값등록금은 보편적으로 실시되어야 하지 않나. 

그게 복지국가 논쟁을 벌이는 모습을 보이는 우리나라에서 지녀야 할 태도 아닐까. 

언제까지 아이들이 대학에 입학하는 순간, 부모들이 빚더미를 떠안는 악순환을 벗어날 것인가. 

반값 등록금이 아니라, 전액 학비 무료를 위해 모여야 하지 않나. 

그 정도는 되어야 대학생이 대학생이라고 할 수 있지 않나. 

가끔 허황된 꿈을 꾼다.  

만약에 전국에 있는 모든 대학생이 이런 대학, 나는 다닐 수 없다고 거부하고 모두 대학에서 나온다면... 하는...  

그리고 나는 꼴찌도 대학 가는 세상이 아니라, 일등도 대학 가지 않는 세상을 꿈꾼다.

김예슬의 대자보, 아니 책이 생각나는 날이다. 

김예슬 선언-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 아니 거부한다, 느린걸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