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수업의 길 찾기
안석재 지음 / 나라말 / 2010년 10월
평점 :
절판


신문에서 시를 사랑하는 국민이 많아질수록 세상은 좋은 쪽으로 변할 수 있다는 내용의 글을 읽은적이 있다. 

플라톤은 공화국에서 시인이 추방되어야 한다고 했지만.. 이 말을 거꾸로 생각해보면 시인은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대상을 자신의 방식으로 받아들이는 마음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나가 아닌 다양함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사람이 많으면 그 사람들에게 하나만을 강요할 수는 없게 될 것이다. 

그런데 문학을 사랑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그 글에서는 텔레비전에서 주인공의 방에 있는 책들을 보고 사람들이 많이 읽는다고 했다. 

누군가 마음에 드는 사람이 읽는 책, 함께 읽고 싶어지고, 읽다보면 자신만의 생각을 만들어가게 된다. 

이런 방법 말고 문학을 사랑하게 하는 방법, 그건 바로 학교 교육에 있다. 

학교에서 문학을 많이도 가르치는데, 그 많은 문학을 배우고도 문학에서 멀어진다면 그건 문제가 있다.  

그 원인을 입시교육에서 찾기도 하고, 터무니 없이 부족한 시간, 그리고 문학 작품 전편을 싣지 못하는 교과서 분량 등에서 찾기도 한다. 

문학을 시험 때문에 배우면 문학에 대한 흥미는 사라지고, 학교를 졸업하자마자 문학에서 멀어지게 된다. 

이 책은 이러한 현실 속에서 어떻게 하면 학생들에게 문학을 흥미있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할 것인가를 고민하고 실천한 기록물이다. 

현실이 이러니 하면서 포기하지 않고, 이 현실 속에서도 가능한 무엇을 찾아 노력한 결과물. 

이것이 비록 문학이라는 강을 쉽게 건네주는 큰 다리는 아니겠지만, 문학이라는 강에 놓여있는 징검다리 하나는 될 것이다. 

교사들, 자신의 수업 방식이라는 돌을 하나씩 갖고 있다. 이 돌을 강에다 놓고 징검다리를 만들어 놓는 교사도 있고, 돌을 가지고 이 돌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강가에서 망설이고 있는 교사도 있고, 아예 자신의 돌을 그 자리에 놓고만 있는 교사도 있을 것이다. 교사들이 어떤 자세를 지녀야 하는지는 스스로 질문을 해 보면 알 수 있다.

이 책은 우리가 문학이라는 강을 건너는데 하나의 징검다리가 된다. 

징검다리를 좀더 건너기 편하게 만드는 것은 이 책을 읽는, 읽은 독자의 몫이 되어야 한다. 문학을 사랑하는 사람이 많은 사회, 그것은 공감을 이루는 사회이고, 나만이 아닌 우리의 행복을 추구하는 사회가 된다. 

그런 사회를 만들기 위해 이 책을 하나의 징검다리로 이용을 하자. 그리고 또 하나의 징검다리를 놓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