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 시선집을 읽다.


개천절, 우리 민족의 탄생을 알리는 날이 있는 달. 그렇게 하나의 민족으로 수천 년을 한반도에서 지내왔다. 하나의 민족, 이것이 꼭 하나라는 의미는 아니다. 이 민족이라는 개념에 수많은 다른 사람들이 들어와 구성원이 된다. 그러니 하나의 민족이라는 말을 피의 순수성을 의미하는 말로 생각하지 말자. 하나 속에 여럿이 속해 있다.


오히려 하나의 민족이란 피의 순수성이 아니라 서로 어울리면서 공통의 무엇을 지니고 살아온 존재들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혈통보다도 문화, 함께함 등등이 어우러진 공동체. 그래서 민족을 '상상의 공동체'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 하나의 민족이 다른 민족을 억압하거나 탄압하고 쫓아낼 권리가 있는가? 다른 민족이라고 해서 배타적으로 대해야 하는가? 그러면 좀더 힘센 민족이 다른 민족을 억압하는 것을 정당화할 수 있게 된다.


어떤 민족도 다른 민족을 억압하거나 쫓아내면 안 된다. 민족끼리 이 작은 지구에서, '창백한 푸른 점'이라고 불리는 이 지구에서 어울리면서 평화롭게 살면 얼마나 좋을까. 그럴 때 민족은 공동체로서 제대로 존재하게 된다. 


우리는 한민족이라고, 평화를 사랑하는 민족이라고 배워왔다. 다른 민족을 침략한 경우가 거의 없다고... 그런 평화 민족이라고... 평화를 사랑하는 사람들.


이런 우리 민족과 달리 다른 민족을 억압하는 민족이 있다. 한쪽이 일방적으로 당하고 있는데... 그런데도 억압을 멈추지 않고 있고, 세계는 그러한 억압을 멈추게 하는데 실패하고 있는데...


수천 년을 살아온 땅에서 쫓겨난 사람들, 간신히 자치지구라고 해서 가자와 서안지구에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 그런데도 가자지구는 봉쇄되어 고립된 삶을 살고 있었는데,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가자에서 살아가기 더 힘들어진 사람들. 계속 죽어나가는 사람들.


그런 가자를 완전히 점령하겠다는 다른 민족, 자기들 말로는 선택받았다는 민족, 그 선택받았다는 민족이 수천 년 동안 다른 민족들에게 얼마나 탄압을 받아왔는지, 그런 역사적 경험을 한 민족이, 세상에 내가 당한 것 만큼 보복하겠다는 심정인지, 원.


가자지구에 구호물품을 전달하려는 사람, 단체들이 타고 있는 배를 나포해 사람들을 체포했다는 기사가 떴다.


<신문기사 링크 > 또 막힌 가자구호선단…이스라엘, 툰베리 등 500명 연행


인도적 차원에서 사람들을 돕는다는 것도 막는 민족, 그런 민족을 제재할 수 없는 세계. 이런 세계 속에서 그럼에도 희망을 잃지 않고 평화를 위해 일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 그들이 가자지구에 들어가려 노력하고, 가자지구의 참상을 알리고 있으니.


이때 팔레스타인을 응원하고 돕겠다는 사람들이 우리나라에도 있다. 평화를 위한 움직임. 이는 이스라엘이 미워서가 아니다. 지금은 이스라엘이 평화를 깨고 있기 때문. 강자는 이스라엘이다. 이스라엘의 정책에 따라서 가자지구에 평화가 오느냐 마느냐가 달려 있는데... 열쇠를 쥐고 있는 이스라엘에게 세계는 여전히 평화를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 있다고. 팔레스타인에도 평화가 와야 한다고 하는 사람들.


그런 사람들이 번역해서 펴낸 시집. [팔레스타인 시선집] 읽으면 슬프다. 마치 일제강점기 우리나라 저항시인의 시를 읽는 듯한 느낌.


번역해서 우리에게 팔레스타인 시들을 알려준 사람들의 노고에 감사하며, 개천절에 팔레스타인에도 평화가 오기를... 지구에서 살아가는 모든 민족들이 평화롭게 공존하는 그야말로 '푸른 지구'가 되기를... 개천절을 맞이하여 바라는 마음.


이 책에 실린 짧은 시. 그러나 마음에 파고드는 그런 시. 아아, 이런 바람이...


가자의 개구쟁이들아


가자의 개구쟁이들아

창가 아래서 비명을 질러 대

날 한시도 가만두지 않던 녀석들아.

우당탕탕 소란으로

매일 아침을 채우던 녀석들아.

내 화병을 깨 먹고

발코니의 홀로 핀 꽃을 슬쩍한 녀석들아.

돌아와,

마음껏 비명을 내지르고

화병이란 화병은 다 깨부수고

꽃이란 꽃은 다 슬쩍 챙겨가렴.

돌아와...

돌아만 와다오...


할레드 주마. 류송 번역. 5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