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 기후위기, 기술봉건주의


  이번 호에서 핵심으로 삼을 수 있는 말이다.


  핵은 민주주의에 반한다. 핵 자체가 거대 자본과 결합될 수밖에 없으며, 다른 곳을 희생으로 삼기 때문이다. 핵발전소가 건설된 곳을 보라. 핵발전소가 안전하다고 주장하면서도 도심에는 짓지 않는다. 


  도심에서 먼 곳에 핵발전소를 짓고, 전기를 공급하느라 먼 거리를 송전선로를 건설한다. 무엇보다도 핵발전에 관해서 시민들이 관여할 수 있는 길이 별로 없다. 그러니 민주주의와 먼 것이 바로 핵발전이다.


체르노빌, 후쿠시마 핵발전소 폭발같은 사고를 겪었으면서도 다시 핵개발을 들고 나오고 있다. 비용이 저렴하다고? 세상에 핵폐기물을 처리하는데 엄청난 비용이 들어가는데, 그것에 대해서는 이야기하지 않는다. 그러니 이러한 에너지 정책에도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사회, 그런 사회를 만들어야 하고, 그것이 바로 민주주의 사회라고 할 수 있다.


기후위기 역시 마찬가지다. 다른 여러 정책들과 기후위기가 겹쳐 있기 때문인데, 반민주적일수록 기후 정책에 관심이 없다. 미래를 끌어 현재에서 소비해버리고 만다. 그런 점을 이번 호에서 잘 지적하고 있다.


여기에 '기술봉건주의'라는 말을 처음으로 만났다. 봉건주의는 이미 지나간 시대라고 생각했는데, 새로운 영주로 등장한 것이 거대 플랫폼들과 아이티 기업들이라니... 그들이 영주가 되고 거기에 종사하는 기술자들은 기사가 되고, 그럼 시민들은? 자칫하면 농노로 떨어질 수 있다는 것.


열심히 소비하고 생산하지만 결국 이윤은 몇몇 소수에게 돌아가고, 오히려 청소년들의 정신적 위기가 심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관점이 다를 수도 있겠지만 녹색평론이 주장하는 것에 경청해야 한다. 지금 닥친 위기들이 갑자기 나타는 것이 아니라 오래 전부터 경고해왔던 일들 아닌가. 그러한 경고에 눈 감고 발전, 성장만을 외친 결과가 양극화로 나타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그냥 근본적인, 너무 급진적인 주장이라고 치부하지 말고, 왜 이런 주장을 녹색평론이 하는지 귀를 기울여야 한다. 그래야 더 나빠지는 것을 막을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