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예보: 핵개인의 시대
송길영 지음 / 교보문고(단행본)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가족이 해체되면서 핵가족이 대세가 된 지가 꽤 오래 되었다. 그러다가 이제는 핵가족이라는 말보다는 핵개인이라는 말이 더 어울린다는 이 책의 주장이 나왔다.


기존의 가족 개념에 매달릴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시대가 변하면 언어가 변하고, 그 언어의 변화를 잘 따라가야 한다고, 그래서 제목이 시대예보인데, 일기 예보처럼 시대를 예보하고자 하는 글이니만큼, 앞으로의 사회는 우리가 알던 가족의 개념이 달라진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고 한다.


이런 주장에서 '정상 가족'이라는 말은 설 자리가 없다. 가족에서 '족(族)'을 빼려고 하는 시대에 가족의 형태를 놓고, 정상이다 아니다를 이야기하는 것 자체가 시대에 뒤떨어진 일이다.


그러므로 저자는 핵개인이라는 말을 쓴다. 자유로운 개인이 자유로운 개인을 만나 살아가는 세상. 그런 세상은 기존의 가족 개념과 같을 수가 없으므로, 우리 사회를 핵가족의 시대라고 하는 것은 이미 오래 전에 지난 일이 된 것이다.


핵개인의 시대는 많은 것이 변한 시대이다. 기존에 고수하던 많은 것들을 버려야 한다. 어떤 것을 버리고 어떤 것을 받아들여야 할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그 판단을 조직이, 가족이 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자유로운 개인이 해야 한다.


혼자 하기 힘들다면 자신처럼 자유로운 개인들과 연결해서 하면 된다. 그 연결이 바로 핵개인 시대의 핵심이기도 하다. 핵개인이라는 말에서 홀로인 개인을 생각하면 안 된다. 핵개인은 자유로운 존재지만 다른 존재와 연결된 '네트워크'를 필요로 하는 존재다. 다만, 이 네트워크가 고정되고 변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유동적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이것은 직장에서도 마찬가지다. 평생 직장이라는 말이 사라졌다. 그런 말이 통하지도 않는다. 언제든 직장을 옮길 수 있어야 하고, 여러 직장을 옮기면서 소위 말하는 '스펙'을 쌓는다고도 한다. 그렇게 직장을 옮길 수 있으려면 그만둘 수 있어야 한다.


그만둘 수 있음은 무기가 된다. 자신을 함부로 대하지 못하게 하는 권위를 부여하기도 한다. 다만, 그렇게 되기까지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신만의 전문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남에게 의존하는 전문성이 아닌 스스로 서는 전문성, 이것이 핵개인이 지녀야 하는 기본 요소가 된다.


따라서 핵개인의 시대에는 과거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정서가 깔려 있다. 새로운 권위, 자기에게서 나온 권위가 필요한 시대가 된 것이다. 단지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직책이 높다는 이유로, 돈이 많다는 이유로는 권위가 생기지 않는다. 그것은 남에게 인정받고 싶어하는 욕구이지만, 새로운 세대에게는 무시당하기 쉬운 인정 욕구에 불과하다. 소위 '꼰대' 소리를 듣는 권위다.


사회, 직장, 가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 사회가 변화에 처한 현실을 이야기하면서, 그러한 변화의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이 지녀야 자세를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가 눈 감고 있다고 사회의 변화가 멈추지는 않으니, 변화를 직시하고, 그 변화를 내 것으로 만들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읽으면서 명심할 말들이 많았다. 나를 돌아보기도 했고. 나는 핵개인의 시대에 과연 핵개인으로 살아가고자 하는가?


이 책에서 저자가 말하는 '미정산 세대'에 속하고 있지 않은가. 그렇다면 미정산 세대로서 더 할일이 많다는 생각을 한다. 저자가 말하는 미정산 세대는 '앞으로는 다 돌려받지 못하거나 원하는 만큼 다 돌려받지 못했다고 스스로 느끼는 세대'(306쪽)라고 한다.


소위 '낀 세대'라고도 할 수 있는데, 변화는 이런 '미정산 세대-낀 세대'로부터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그들은 변화의 중심에 있는 세대니까. 그러니 새로운 세대를 우리와 다르다고만 하지 말고, 과거 세대와 새로운 세대를 이을 수 있는 다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양성은 형평성과 포용성을 바탕으로 맺은 열매입니다. - P64

어떤 것도 반드시 지킬 것은 없다는 사실을, 모든 것은 우리가 지금 만들어 나가고 있다는 명제를 잊지 말아야 합니다. - P77

언어에는 바뀐 세계의 질서가 담겨 있습니다. - P78

언어 표현은 현행화를 게을리 하면 다음 세대의 혐오를 받습니다. 세상을 타자화시키지 않도록 계속 사유해야 합니다. - P85

로봇의 핵심은 물리적, 정서적 행위의 자동화입니다. AI의 핵심은 지능적, 창조적 활동의 자동화입니다. 결국 인간은 창조적 활동, 지능적 활동,, 육체적 활동, 정서적 활동 그 모든 영역에서 로봇, AI와 함께하게 될 운명입니다. - P104

모든 산업 분야에서 부가가치 상승의 수준은 비슷합니다. 첫 번째 전제가 연결성, 두 번째 전제는 지능화입니다. - P129

앞으로 일을 잘하는 사람은 일을 열심히 하거나 숙련하는 사람이 아니라, 일을 없애는 사람이 될 것입니다. 문제는 그의 직업이 일을 없애는 것이라면, 그 사람은 본인은 그 다음에 무엇을 할 것이냐는 모순이 남아 있다는 것입니다. - P145

앞으로의 과업은 지금의 일을 지켜내는 데에 있지 않고, 새로운 기술을 발판으로 파괴적 혁신을 해 나가야 한다는 사실을 빠르게 인정하고 변화에 적응하는 것입니다. - P146

권위 빅뱅으로 탄생한 핵개인은 자기 삶의 결정권을 가진 성인입니다. ~ 자체 역량 강화가 가능한 시대에 스승은 유튜브이고, 그것을 돕는 조교는 AI입니다. - P175

하이엔드(가격에 대한 고려없이 만든 최고의 디자인, 성질, 품질을 지닌 상품)는 개별성과 고유성이 교차되는 장소입니다. ~ 소량을 만들고, 단가는 높이고, 세계로 가는 것이 옳습니다. - P197

한국 사회의 가장 큰 특징은 ‘이연된 보상‘입니다. ~ 연공 서열과 기수 문화 모두 이런 이연된 보상의 산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 P223

인구집단의 유지와 번성을 위해서라도 생로병사에 필요한 비용과 노동을 ‘공적 시스템‘으로 세밀하게 설계하는 일이 시급합니다. ~ 시대의 어려움으로 인해 자립의 힘을 가지지 못한 사람들에 대해 사회가 지원과 협력의 체계를 갖춰야 한다는 것입니다. - P237

나이듦을 판정하는 중요한 기준 중의 하나가 바로 완고함입니다. - P240

돌봄의 끝은 자립이고, 자립의 끝은 ‘내가 나의 삶을 잘 사는 것‘입니다. 각자 잘 사는 사람들이 예의를 지키며 교류할 때 의무는 경감되고 우리의 삶은 더 다채로워질 것입니다. 그렇게 함께 현명해지고 함께 도움을 줄 수 있는 각자 ‘나‘를 가질 수 있는 핵개인들의 사회를 꿈꿔봅니다.
- P 263

핵개인의 시대, ‘가(家)‘는 있지만 ‘족(族)‘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 P285

가장 경쟁력 있는 상품은 ‘서사(narrative)‘입니다. 각자의 서사는 권위의 증거이자 원료입니다. 성장과 좌절이 진실하게 누적된 나의 기록은 유일무이한 나만의 서사입니다. - P286

탁월한 사람은 그렇게 매일 자신을 선배의 자리, 권위자의 자리가 아니라, ‘신인(新人)의 자리‘에 세우는 사람이 아닐까 합니다. - P289

세계의 누구도 하지 않은 고민을 계속하면 적어도 그 누구보다 앞에 선 나를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 결국 인정의 정점에는 나 자신으로부터의 인정이 있습니다. - P297

이 전선의 앞에 서기 위해서는 희귀함을 추구하는 것이 옳습니다. 희귀함이 쌓이면 고유성을 갖습니다. 그러나 고유성이 진정성까지 가기 위해서는 축적의 시간이 다시 요구될 수 있습니다. 고유함은 나의 주장이고, 진정성은 타인의 평가이기 때문입니다.

- P 299

앞으로는 다 돌려받지 못하거나 원하는 만큼 다 돌려받지 못했다고 스스로 느끼는 세대가 나올 것입니다. 이들을 ‘미정산 세대‘라 부르고자 합니다. - P306

미정산 세대는 본인 몫을 미래 세대에게 요구하지 않고 스스로의 삶을 준비하는 새로운 핵개인의 모습과도 같습니다. - P307

권위자와의 직거래가 가능해진 것이 바로 달라진 세계의 특징입니다. - P313

지금 세대에게 더욱 필요해진 능력은 ‘리터러시literacy‘, 다시 말해 문해력입니다. ~ 새로운 시대의 문해력은 문자에만 머무르지 않고 숫자, 이미지, 영상을 포괄한 디지털에 대한 이해로 확장됩니다.

- P314

이런 핵개인의 시대에 더욱 중요해지는 것은 ‘네트워크‘입니다. ~ 협업이 전제가 됩니다. 그리고 협업에 있어 충분한 자기 위치와 역할을 찾아가려면 연결성을 유지하기 위한 자기 역량을 확보하고 있어야 합니다. - P315

그만두어서 평등해지는 것이 아니라 그만둘 수 있기 때문에 대등해지는 것입니다.

- P320

이기려는 경쟁에서 내려오고 보여지는 것의 구속을 벗어던질 때 스스로를 인정할 수 있도록 자신을 돌아볼 수 있습니다. 스스로가 스스로의 권위를 자신 있게 인정하는 사회로의 변화를 꿈꿔 봅니다. - P33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