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편의 서사시다. 시인이 십여 년을 환경파괴에 맞서 싸운 기록이다. 한편 한편이 독립되어 있지만 전체적으로 연결이 된다.


  자연을 파괴하려는 자들에 맞서는 시인의 마음이 이 시집에 온전히 들어가 있다.


  말이 필요없다. 그냥 읽으면 된다. 그러면 자연을 보호하자는, 환경을 파괴하지 말자는 구호보다 더 마음에 와닿게 된다.


  자연스레 자연에 마음이 쏠리고 환경을 보호해야 함을, 그것이 바로 우리를 또한 우리 미래 세대를 살리는 길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시집을 읽으면 시인의 말에서 한 '문학의 원사(原絲)는 '비애'입니다'(16-17쪽)라고 한 말이 가슴에 들어박힌다.


비애... 그렇다. 슬픔이다. 무엇에 대한 슬픔인가. 나를 둘러싼 또다른 '나'가 파괴되는 것에 대한 슬픔, 아픔이다. 이런 아픔을 무시하지 못하고 나서게 되는 것이 바로 시다. 그런 행동을 하는 사람이 바로 시인이다.


시인은 시로써 나서기도 하지만 행동으로 나서기도 한다. 하지만 행동이 행동으로 끝나지 않는다. 그 행동은 다시 시로 나타난다.


자연과 함께 했던 일들이, 보금자리를 골프장에 빼앗기고 쫓겨나게 될 운명에 처한 뱀을 보고도 징그럽다고 하지 않는다. 시인은 그러한 뱀을 보고도 슬픔을 느낀다.


       허물


골프장 쪽 둔덕을 내려온 초록색 뱀은

내 오른손 검지를 스쳐

오엽딸기나무 사이로 사라졌다

산길에 떨어진 골프공을 줍던 나도 놀라고 비탈을 흐르던 저도 놀라고

야생이 스쳐간 손에 뱀 비린내가 돋아

슬픔이 독처럼 몸에 퍼졌다


조정, 마법사의 제자들아 껍질을 깨고 나오라. 이소노미아. 2023년. 42쪽.


골프장을 만들기 위해 얼마나 많은 생명을 쫓아내야 하는지... 그 생명 중에 사람도 포함된다는 사실을 알까? 골프장이 들어서면 동네 사람들이 골프장을 이용할까? 골프장으로 더 편리한 생활을 할까?


아니다. 골프장을 관리하기 위해서 밀어버린 산, 새로 만든 웅덩이, 잔디, 이를 보호하기 위해 뿌리는 온갖 제초제들... 그리고 수시로 날아오는 골프공.


동네 사람이 아닌 먼 곳에서 오는 사람들의 편리를 위해 마을 사람은 물론이고 그곳에 자리를 잡고 살던 동물들이 집을 잃고 떠나야 한다. 한 순간에...그러니 시인이 마음에 '슬픔이 독처럼 퍼질' 수밖에 없다.


그런 슬픔을 마냥 안고 살아갈 수 없기에 시인은 슬픔을 털기로 한다. 슬픔을 이겨내기로 한다. 그것은 무엇인가? 자연을 지키는 일이다. 산황산을 지키는 일. 골프장이 들어서지 못하게 하는 일이다. 


시인이 살고 있는 곳에서 그렇다면 이는 전국으로 확대될 수가 있다. 개발 광풍으로 사라지는 자연ㅡ생명에 시인은 마음을 줄 수밖에 없다. 그들과 함께 할 수밖에 없다.


이런 시인의 마음, 행동이 시집 전체에 펼쳐져 있다. 그러니 이 시집은 하나하나의 서정시이면서도 서사시다.


자연을 파괴하려는 사람에 맞서 싸우는 사람들의 장대한 서사시. 그렇게 읽을 수밖에 없다. 자연을, 새싹들을 '마법사의 제자들'이라고 하는 시인. 이런 마법사의 제자들을 우리가 막으면 되겠는가. 마법사의 제자들은 껍질을 깨고 나와야 한다. 그들이 나오지 못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