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 있는 줄 알았다. 너무도 유명한 시집이었고, 제목이 된 시는 자주 읽었던 시였으니까.


  그런데 시집을 갖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 그냥 그 시만 읽고 있었던 거다. 워낙 유명한 시라서 쉽게 만날 수 있던 시였으니까.


  그 한 시로도 충분하지만 시집을 구해 읽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시집은 처음 간행된 시집과 지금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시집이 다르다고 한다.


  우여곡절 끝에 시인이 시집의 시들을 바꾸기도 하고, 제외하기도 했다고. 새로운 개정판 소개가 이렇게 되어 있다.



 19권. 맑고 부드러운 언어로 전통 서정시의 순정한 세계를 펼쳐온 '우리 시대 최고의 감성 시인'으로서 독자들의 열렬한 사랑을 받고 있는 정호승 시인의 첫 시집 <슬픔이 기쁨에게> 개정판이 출간되었다. 1993년 첫 개정판에 이은 두번째 개정판이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부 가름을 다시 하고 연작시를 해체하여 작품마다 제목을 새롭게 달았으며, 초기 시 4편을 추가로 수록하였다. 1979년 초판이 출간된 지 35년이라는 오랜 세월이 흘렀어도 냉철한 현실 인식과 삶의 깊이에서 우러나오는 진정성과 '슬픔을 수반한 아름다움'이 보석처럼 빛나는 정결한 시편들이 여전히 가슴을 적시는 뭉클한 감동을 일으키며 고요한 울림을 선사한다.


내가 읽은 시집은 2004년 개정판 16쇄니, 첫 개정판일 것이다. 표지 그림이 다르다. 그렇다면 수록된 시도 조금 다를테고. 


뭐, 그런 사정이야 그렇다치고, 시집에 나오는 주된 낱말은 '슬픔''이다. 다른 낱말들 중에 빈도수가 높은 말도 있지만 '슬픔'만 취급하자.


아직도 우리는 '슬픔'에서 벗어나지 못했으니까. 시인이 그렇게 슬픔을 주겠다고 하고, '슬픔의 힘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 기다림의 슬픔까지 걸어가겠다'('슬픔이 기쁨에게' 중에서 - 13쪽)고 했지만, 아직도 우리는 슬픔에게 다가가지 못했다.


자신의 기쁨에 취해서, 슬픔을 외면하는 생활을 해왔는지도 모른다. 지금 시대에는 더더욱 슬픔의 힘이 필요하겠지만, 슬픔을 멀리하면서 기쁨만을 바라보려고 한다. 그렇게 기쁨만을 바라보려고 한다고 슬픔이 사라질까.


아니, 오히려 슬픔을 바라보고, 슬픔을 만나고, 슬픔과 함께해야 슬픔이 사라지지 않을까. 시인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람 하나 만나기 위해 / 나는 다시 슬픔으로 가는 저녁 들길에 섰다.'('슬픔으로 가는 길'에서 - 8쪽)고 했다. 


'우리가 슬픔을 사랑하기까지는 / 슬픔이 우리들을 완성하기까지는 / 슬픔으로 가는 새벽길을 걸으며 기도하라. / 슬픔의 어머니를 만나 기도하라.'('슬픔을 위하여'에서 - 9쪽)


이렇게 살다 보면 '슬픔 많은 이 세상도 살아보아라. / 슬픔 많은 사람끼리 살아가면은 / 슬픔 많은 이 세상도 아름다워라.'('슬픔 많은 이 세상도'에서 - 14쪽)라는 시구처럼, 아름다운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들을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슬픔의 시인이라고 불리는 정호승 시는 그렇다고 슬픔 속에 함몰되어 거기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정호승 시는 움직임이 있다. 가고 있다. 끝에서 멈추지 않고, 그 끝에서 움직인다. 이는 그의 시 '길이 끝나는 곳에서도 / 길이 되는 사람이 있다'(정호승의 '봄길' 중에서)라는 시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결국 그가 슬픔을 이야기하는 것은 기쁨의 세계로 함께 가기 위해서다. 나만의 기쁨이 아니라 우리의 기쁨을 만들기 위해서다.


각자도생의 사회라고 한다. '나만 아니면 돼'라는 말이 통용되는 사회라고도 한다.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서 또는 자신들의 주장을 위해서 다른 사람의 슬픔은 안중에도 없는 듯한 사람들이 많은 사회라는 생각도 든다. 아니다. 그런 사회는 결코 행복할 수 없다. 그러니 슬픔을 생각하자. 나의 슬픔, 남의 슬픔, 우리의 슬픔을 생각하면 그런 슬픔 속에서 우리는 기쁨의 세계로 나아갈 수 있지 않을까.


정호승 시집을 읽으면 그런 슬픔의 힘에 대해서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