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은의 '만인보'
한때 우리나라를 대표했던 시인인 고은이 자신이 알고 있던 사람들을 시로 표현했다. 역사적 인물부터 동네 사람들까지. 그리고 제목을 '만인보'로 붙였다.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 그런 이야기들이 우리에게 다가와 우리들의 삶을 보여주고 있던 시였다. 고은이 추문으로 배척당하기 전까지는.
사실 여부를 떠나 그러한 추문에 휩싸였다는 사실 자체로도 고은에게는 치명상이었다. 그래서 '만인보'도 만 사람을 채우지 못하고 끝나고 말았다고 기억하고 있다.
그러다 이 시집을 만났다. '입국자들'
제목에서 벌써 이주민임을 알게 된다. 입국이라는 말이 나라에 들어온다는 뜻이고, 이는 해외여행을 갔다고 왔다는 말이 아니라, 국적이 다른 사람이 그 나라에서 우리나라로 들어왔다는 뜻으로 해석이 되기 때문이다.
1부 '국경 너머'에서는 북한에서 온 사람들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한 민족이라고 하지만 지금은 두 나라가 된 북한. 한 민족이라고 하기엔 너무도 갈등이 심한 지경에 처해 있으나, 여전히 북한에서 남한으로 넘어오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 그들에 대한 이야기
2부 '사막 대륙'은 몽고에서 온 사람들 이야기. 우리와 외모가 비슷하지만 점점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는 나라. 그런 나라에서 살기 힘들어 우리나라에 온 사람들 이야기.
3부 '이주민들'은 주로 동남아시아에서 온 사람들 이야기다. 우리나라에 입국한 사람들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특히 농촌으로 시집온 사람들이 많다. 그들의 이야기를 이 시집에서 만날 수 있다.
4부 '귀환자들'은 자신들의 나라로 돌아간 사람들 이야기다. 그들이 금의환향을 했느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여기서 부상을 당해 돌아간 사람들, 기껏 송금했으나 그 돈이 남아 있지 않은 사람들, 그래서 다시 한국으로 오고 싶어하는 사람들 이야기가 실려있다.
이렇게 이 시집에는 여러 나라에서 온 사람들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그런데 내용이 밝지가 않다. 우리가 이주민을 어떻게 대하고 있는지를 볼 수 있는 시들이 대부분이다.
이주민들을 같은 사람으로 대우했는가? 그렇지 않음이, 그들을 이윤을 생산하는 도구로, 또는 가족을 잇는 존재에 더 우선을 두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한다.
이제는 이주민들을 막을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다문화 사회로 전환이 된 지 오래다. 그렇다면 이주민이라고 하기 전에 우리나라에 사는 같은 사람이라는 생각을 먼저 해야 한다. 그래야만 그들과 함께 공존할 수 있다.
우리 사회 역시 더 풍요로워지고. 그런 점을 생각하게 하는 시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