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늘나라 가게 ㅣ 마음이 자라는 나무 12
데보라 엘리스 지음, 곽영미 옮김, 김정진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아프리카가 배경이다. 에이즈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곳. 에이즈가 무슨 천형인양 취급되던 때가 있었는데, 이제는 그런 편견은 사라졌다. 그럼에도 여전히 에이즈 환자는 많이 발생하고 있으니 (HIV바이러스 보균자라고 할 수 있지만, 편의상 그냥 에이즈라는 말을 쓴다),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
특히 부유한 나라에서는 치료제 등을 쉽게 구할 수 있어서 만성질환처럼 관리가 되지만, 부유하지 않은 나라에서는 치료제를 구하기 힘들 뿐더러, 에이즈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힘들다. 지금은 좀 나아졌겠지만, 이 소설이 쓰일 때는 더 심했으리라.
말라위라는 나라에서 관을 만드는 일을 하는 아빠와 함께 살고 있던 빈티 가족은 아빠의 죽음으로 어려움을 겪는다. 아빠 역시 에이즈로 죽었다고 하고. 이때문에 친척들에게로 간 빈티 남매들은 친척들에게 구박을 받는다.
죽은 형제의 재산을 얻어가는 친척들. 그들에게는 남겨진 아이를 소중하게 키우겠다는 생각은 없다. 오로지 짐일 뿐이다. 결국 할머니 집으로 탈출하고, 할머니 집에서 에이즈로 고통받는(부모들이 에이즈에 걸렸든, 자신들이 걸렸든) 아이들을 만나게 된다.
할머니와 다른 메모리라는 이름을 가진 아이와 함께 다른 아이들을 돌보는 빈티. 그러면서 에이즈의 현실에 눈을 떠간다. 그것은 누구의 잘못도 아니고, 에이즈에 걸렸다고 무조건 피해야 할 사람도 아니며,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질병이라는 것.
말라위가 가난한 나라라서 제대로 치료하지 못할 뿐이니 그들을 잘 돌본다면 그렇게까지 호들갑을 떨 필요는 없는 질병이라는 사실을 깨달아간다. 다른 아이들을 도우면서, 자신이 무엇인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가면서 성장하는 빈티의 이야기가 이 소설의 줄거리다.
에이즈. 천형이 아니다. 인간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하여 소설 속에서는 예레미야라는 이름을 가진 이는 자신도 보균자지만 어떻게 하면 에이즈를 예방할 수 있나, 또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를 알려주는 일을 한다.
그렇다. 인간이 함께 하면서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문제인데, 이를 그 나라의 경제-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서 더 큰 비극을 불러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이 소설의 배경이 되는 말라위도 마찬가지다. 국가적인인 의료체계를 갖추고, 예방과 치료를 잘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을 만들어야 하며, 개인들에게도 지켜야 할 수칙들을 명확히 알려준다면 더 큰 비극은 막을 수 있다.
문란한 성생활이 원인이라고 생각하지만 그것만이 아니다. 오히려 수혈을 통해서 또 부모를 통해서, 그리고 모유 수유를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으니, 이 질병은 개인의 책임도 책임이지만 사회, 국가의 책임도 크다고 할 수 있다.
국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고, 이미 감염된 사람들도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이 소설에서처럼 개인이 해결하게 해서는 안된다. 개인의 힘만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이다. 어쩔 수 없는 상황에 놓여서 감염되는 사람들... 빈티의 언니가 그런 상황에 처하지만 이들은 이제 혼자가 아니다. 함께 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래서 소설은 희망을 보여주면서 끝난다. 하늘나라 가게라는 이름은 관을 만드는 가게 이름이다. 어쩔 수 없어서 죽은 사람, 잘 보내주기 위한 가게. 그러한 일들.
그들을 잘 보내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렇게 되지 않게 하는 일도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이 소설은 빈티의 성장을 통해서 에이즈가 빈곤한 국가들의 사람들을 어떻게 어려움에 빠뜨리는지를 잘 보여준다.
에이즈에 대한 편견을 깨뜨릴 수 있는 좋은 소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