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무: 삶과 죽음의 이야기 - 모든 존재의 유의미함, 무해함 그리고 삶에 관하여
데이비드 스즈키.웨인 그레이디 지음, 이한중 옮김 / 더와이즈 / 2024년 3월
평점 :
한 나무로부터 시작한다. 아니 모두 불에 타버린 공간에서 시작한다. 대화재가 난다. 숲이 모두 타버린다. 이제 잿더미가 된 그곳은 폐허다. 그렇게 말해야 하지만 폐허가 아니라 생명이 시작하는 곳이라고 해야 한다.
무에서 유가 나온다고 할 수 있겠지만, 불타버린 폐허는 무가 아니다. 모든 것을 지니고 있는 존재다. 마치 빅뱅 이전처럼 불타버린 숲은 존재한다. 이제 빅뱅이 시작된다. 빅뱅처럼 순식간에 일어나는 일이 아니라, 강력하게 일어나지 않고 눈에 띄지 않게 서서히 일어난다. 우리가 미처 알아차리지 못하게.
이런 폐허에서 '더글러스퍼' 나무의 씨앗이 자라난다. 불에 탄 자리. 아무런 생명도 없을 것 같은 그 자리에 더글러스퍼 씨앗은 자리를 잡는다. 그리고 자신 주변의 모든 것들과 함께하기 시작한다. 땅에서 공기에서 또다른 생명체와 함께 싹을 틔우기 시작한다.
이제 탄생이 된 더글러스퍼는 뿌리내리기 시작하고, 뿌리가 내린 다음에는 위로 성장하기 시작한다. 성장하여 성숙한 단계에 이르면 온갖 생명체들과 함께 하기 시작한다. 한 개체가 아니라 군락의 일부가 된다. 전체의 일부로 살아간다. 서로 주고받으면서.
나무는 나무 하나로 존재하지 않는다. 나무들끼리도 함꼐하지만, 숲 속에는 온갖 생명체들이 깃들어 있다. 그들이 모두 숲을 이루는 요소다. 인간도 마찬가지다. 결코 독립된 존재가 아니다. 홀로 존재할 수가 없다.
이렇게 더글러스퍼의 성장, 성숙으로 이룬 숲에 얼마나 많은 생명들이 있는지를 이 책에서 저자는 잘 보여주고 있다. 생명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도.
그러나 생명은 한계가 있다. 모든 생명이 죽지 않는다면 지구는 존재할 수가 없다. 탄생이 있으면 죽음이 있어야 한다. 별들도 그러하지 않은가.
거대하게 자란 더글러스퍼는 이제 수백 년이 지나서 더이상 자랄 수가 없다. 더이상 다른 생명체를 받아들일 힘이 없다. 면역체계가 붕괴된다. 내부에서부터 비어간다. 고사목이 된다.
고사목이 되어서도 몇 년 혹은 몇 십년은 꼿꼿하게 서 있다. 우리가 주목이라는 나무를 살아 천 년, 죽어 천 년이라고 하듯이, 더글러스퍼 역시 죽어서도 다른 생명체가 깃들어 살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한다.
자신은 죽었지만 다른 생명들을 살리는 역할을 한다. 이것이 바로 생태계다. 그러다 고사목이 모진 바람에 쓰러진다. 쓰러짐, 이것이 결코 끝이 아니다. 쓰러져서도 다시 새로운 생명들을 받는다. 그들에게 자신을 기꺼이 내어준다. 또한 더글러스퍼가 있던 숲은 다른 숲으로 대체가 된다.
다시 대화재가 나고 더글러스퍼가 생장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이 되면, 그곳에서 더글러스퍼는 뿌리내기고, 성장, 성숙, 죽음의 과정을 거치리라.
이렇게 한 나무의 삶을 통해서 자연의 순환을 보여주는 책이 이 책이다. 한 나무에 국한되지 않고, 나무와 관련하여 다양한 생명체들과 무생물들이 어떻게 얽혀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결코 홀로는 존재하지 않음을, 서로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그래서 어느 하나를 제거하면 생태계 자체가 무너짐을 한 나무의 삶을 통해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길고 긴 역사였지만, 이것이 바로 자연 아니던가. 100년을 살아가는 우리 인간에게 좀더 긴 시간을 두고 생명을 바라볼 수 있게 해주는 것이 바로 나무라는 생각. 그런 나무를 통해서 인간이 자연과 어떤 관계를 맺고 살아야 하는가를 생각하게 해주는 책이다.
인간은 자신들이 벌목해서 없앤 많은 삼림들을 인공조림을 통해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는 그것은 불가능한 일임을, 또한 그렇게 하면 안 됨을 말하고 있다.
'자연적인 극상림은 나무 묘목에서 고사목에 이르기까지 모든 연령의 나무들을 다 포용하며 숲 바닥에 쓰러져 있는 나무와 낙엽을 포함에 연어의 개체군과 그들의 모든 포식자를 다 먹여살린다. 인공적인 재조림(reforestation)은 단일경작을 하는 농경과도 같다. 생명다양성과는 정반대의 방법인 것이다.'(277쪽)
이 주장을 하기 위해 더글러스퍼 나무의 생애를 책 한 권을 통해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지금 개발이냐 보존이냐 하는 문제로 갈등 중인 많은 열대우림, 또 삼림지역에서 우리 인간의 생존을 위해서도 고려해야 할 점이다.
인간 역시 자연과 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인간 역시 자연의 순환고리 중 하나이기 때문에. 고리 중 어느 하나가 끊어진다면, 그 영향은 인간에도 크게 미치기 때문이다.
이 책은 더글러스퍼 나무의 일생으로 자연 순환의 이치를 보여주고 있어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생각하기에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