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만의 꿈들 - 장소, 풍경, 자연과 우리의 관계에 대하여
리베카 솔닛 지음, 양미래 옮김 / 반비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솔닛의 글들은 여러 생각할거리를 준다. 단지 생각할거리가 아니라 실천해야만 하는 문제들을 제기한다. 그는 걷는다. 그냥 걷는 것이 아니다. 걸으면서 문제를 만나고, 문제에 대응을 한다. 걷기는 개인적인 행위이기도 하지만 공동체의 행위이기도 하다.


이 책은 네바다 사막과 요세미티 공원을 장소로 하고 있다. 물론 솔닛은 이 장소에 머물지 않는다. 이 장소들을 걷는다. 자신의 신념을 관철하기 위해서.


솔닛에게 걷기는 '문제를 향해 걷는 행위는 책임을 지는 행위, 되돌리는 행위, 기억하는 행위다. 걷기 운동가들은 과거의 짐을 자신의 어깨에 짊어진 채 핵폭탄 수백 개의 낙진이 있는 고국으로 걸어간다.(492쪽)'고 하듯이, 문제를 알고 해결하려는 행위다.


네바다 사막을 장소로 택한 이유는 간단하다. 네바다 사막은 미국이 핵실험을 한 공간이기 때문이다. 핵실험을 하기 전에 이곳에는 사람이 없었을까? 아니다. 단지 모래만이 펼쳐진 자연이 아니라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던 장소였다.


하지만 정부는 네바다에서 사람들을 소거했다. 그곳은 사막이어야 했다. 먼저 살고 있던 사람들이 없는 그런 사막. 그래야만 핵실험을 자유롭게 할 수 있었다. 방사성의 위험을 알릴 필요도 없이. 하지만 아무리 넓은 사막이라도 방사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까? 방사능이 한 곳에만 머무를까? 그렇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솔닛은 네바다로 간다. 네바다를 자유롭게 걷고자 한다.


핵실험장으로 다른 사람들이 들어올 수 없게 울타리 처놓은 곳으로 솔닛은 간다. 울타리를 넘는다. 체포된다. 또다시 걷는다. 체포된다. 그곳은 사람들이 걸을 수 없는 곳이 아니다. 사람들이 살지 않던 곳이 아니다.


단순한 공간이 아니라 사람이 살아가던 장소였다. 그런 장소를 다시 회복하기 위해서 솔닛은 걷는다. 혼자가 아니라 함께...


요세미티 공원도 마찬가지다. 풍경으로만 존재하는 곳이 아니다. 그곳에는 오래 전부터 살아오던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을 원주민이라고 불러도 좋다. 미국 정부가 그들의 존재를 부인하려고 해도 존재했던 사람들이 사라지지는 않는다. 그러니 또 솔닛은 걷는다. 이들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서라도.


이렇게 한 장소는 불모의 사막이라고 할 수 있고, 또 한 곳은 자연이 살아 있는 공원이기는 하지만, 솔닛은 이 두 장소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사라지게 되었는지를 우리에게 알려준다. 아니 사람들이 사라진 것이 아니라 그들이 없는 것처럼 두 공간을 인식하도록 했는지를...


따라서 솔닛과 다른 사람들이 그 공간을 걷는 행위는 그 공간에서 사람들을 인식하는 행위이다. 공간을 장소로 만드는 일이다. 그렇기에 솔닛의 글을 읽으며 우리는 네바다와 요세미티에서 사람들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걷기는 문제와 대면하는 행위라고 했다. 솔닛의 이런 걷기가 끝났으면 좋겠지만, 세상은 그렇지 않다. 걷기는 지속되고 있다. 우리나라만 봐도 그렇다. 


삼보일배, 오체투지... 그냥 걷는 것이 아니다. 온몸을 던지면서 걷는다. 왜? 그냥 걸으면 봐주지 않기 때문이다. 이렇게 온몸을 던져야 겨우 그제서야 아, 사람들이 있구나! 사람들이 걷고 있구나! 무슨 문제가 있구나! 한다.


솔닛이 걷고 또 걸었지만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는 않았듯이 우리나라 사람들이 온몸을 던지면서 걸어도 문제를 없는 것처럼 나 몰라라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홀로 걷지 않고 함께 걷는다면 눈길을 주지 않을 수 없다.


문제가 보이지 않을 수가 없다. 문제가 보이면 해결책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렇게 걷기는 문제를 우리 앞에 가져다 놓는다. 


솔닛이 말하듯이 걷기는 바로 책임을 지는 행위, 기억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현대를 이끌어간다고 하는 과학자들, 기술자들 역시 걷기에 대해서 생각해야 한다. 솔닛이 이 책에서 언급하고 있는 걷기의 장점이 현대 과학자들에게도 해당되기 때문이다.


'그 시대의 유럽 물리학자는 고전 교육을 받는 것에 그치지 않고 과학은 물론 정치, 시, 음악에도 일가견을 가진 엄청난 교양인이었다. 그들의 산책은 풍경 감상, 낭만주의적이고 괴테적인 전통에 따른 자연 숭배, 허물 없고 위계적이지 않은 소크라테스적 전통에 따른 걷기, 사무실이나 교실에서가 아니라 길 위에서 걸으며 나눈 대화 등에 대한 취향을 분명히 보여주기도 했다.'(180쪽)   

   

단지 과학 분야만 그럴까? 우리 사회 전반에 걸친 문제들, 걷기를 통해서 공간과 시간, 인간이 합쳐진 장소를 발견하게 된다. 그 점을 솔닛의 글이 다시금 깨우쳐 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레이스 2024-01-16 09:4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 공간은 걷는 행위는 그 공간에서 사람들을 인식하는 행위이다. 공간을 장소로 만드는 일이다˝
이 문장에 꽂혀서 장바구니에 넣었습니다.

kinye91 2024-01-16 10:2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솔닛의 글을 읽으면서 많은 생각을 해요. 특히 ‘걷기‘에 대해서는 더더욱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