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준의 경제학 레시피 - 마늘에서 초콜릿까지 18가지 재료로 요리한 경제 이야기
장하준 지음, 김희정 옮김 / 부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8가지 재료가 나온다. 레시피라는 말이 제목에 있으니, 요리에 관한 글이 있어야 한다. 각 장을 시작할 때마다 레시피가 나온다. 그 장에 해당하는 재료를 쓴 요리의 레시피.


그러나 중심은 재료가 아니다. 그 재료와 연결된 역사, 문화, 경제, 정치다. 그야말로 어떤 재료에도 역사와 문화, 경제와 정치가 녹아들어 있다. 그러니 요리에 여러 재료가 들어가듯이, 경제학에도 여러 요소들이 빠질 수 없음을 생각하게 해준다.


어떤 음식 재료들이 나올까? 


마늘, 도토리, 오크라, 코코넛, 멸치, 새우, 국수, 당근, 소고기, 바나나, 코가콜라, 호밀, 닭고기, 고추, 라임, 향신료, 딸기, 초콜릿


총 18가지 음식 재료가 나온다. 이중에 낯선 재료들도 있다.(오크라) 또한 재료가 아니라 이미 음식이라고 할 수 있는 것도 있다. (코카콜라)


음식이든 음식 재료든 그것이 중요하지 않다. 이들에 얽힌 장하준의 경험은 수필을 읽는 느낌을 준다. 자신의 경험을 자유롭고 솔직하게 쓴 글... 하지만 곧 그런 개인의 경험에서 사회로 넘어간다.


재료와 얽힌 역사가 나온다. 가령 마늘하면 영국인이 가장 싫어하는 재료가 마늘이었다고 하는데, 또한 영국은 다른 나라 음식을 싫어했다고 한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영국은 다양한 음식을 받아들였고, 그것을 좋아하게 되었다고 한다. 즉 음식의 다양성을 확보하게 되었다고, 그렇다면 지금 영국은 마늘을 예전만큼은 싫어하지 않게 되었다는 얘기인데...


이렇게 마늘과 음식 이야기를 하다가 경제학 이야기로 넘어간다. 이 책의 머리말에 마늘 이야기나 나오는데, 영국에서 겪은 자신의 경험과 연결지어 이야기하고 있다. 그렇다. 마늘을 싫어하던 음식에서는 단일성을 고집하던 영국이 어느 순간부터 다양성을 인정하게 되었는데, 경제학은 반대로 갔다고 한다.


저자가 영국으로 유학한 이유가 경제학의 다양성이었다고 하는데, 어느 순간 영국에도 경제학은 다양한 이론들이 사라지고 신자유주의를 옹호하는 경제학 이론만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고.


그것이 문제라고 한다. 경제학은 세상을 읽는 학문인데,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어찌 단일할 수가 있겠는가? 다양한 관점들이 존재하고, 그 관점들이 부딪히면서 세상을 좀더 잘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해야 하는데, 점점 주류경제학만 살아남는다면 그 사회가 경직되는 것을 막을 수는 없다.


마늘로 경제학에 관한 이야기를 한다면, 이제 다른 재료들은 세계 여러 나라들에서 일어났던 일들을 경제학의 관점에서 풀어간다고 보면 된다.

                  

그 중에 최근에 겪은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해서 생각해야 하고, 지금도 여전히 진행 중인 문제를 이야기한다. 그 재료는 바로 '고추'다.


매운 맛, 고추... 향신료와 비슷하게 쓰이지만, 자, 고추와 경제학이 어떻게 연결이 될까? 우선 고추에 관한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한다. 또 고추의 맵기를 측정하는 단위도 알려주고. 


(여기서 고추의 맵기를 다루는 단위는 스코빌 척도라고 한다. 그냥 알아두자. 251쪽 주에 보면, 우리나라 청양고추는 1만에서 2만 5000 사이를 보인다고 한다. 맵다고 우리나라 사람들도 잘 못 먹는 청양고추가 이 정도인데, 아바네로 고추는 10만에서 75만 정도 된다고 하니, 맵기가 청양고추의 5배가 넘는다고 보면 된다. 그런데 리퍼 고추는2200만이라고 하니, 상상이 되지도 않는다. 어디 가서 한국 사람들이 매운 것을 잘 먹는다는 말을 함부로 하면 안 되겠단 생각도 한다) 


친구와 스촨 요리 전문점에 간 이야기를 한다. 스촨 요리는 맵기를 고추 5개로 표시한다고...그런데 고추 표시가 없는 요리를 시키면 과연 고추가 들어가지 않았을까?


아니라고 한다. 여기가 반전이다. 고추 표시는 맵기를 표시한 것이지, 고추가 들어갔느냐 안 들어갔느냐를 표시한 것이 아니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고추 표시가 없으면 고추가 들어가지 않았다고 착각하기 쉽다. 스촨 요리에 고추가 들어가지 않을 리가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그런 다음 장하준은 고추와 경제학이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이야기한다. 바로 고추와 같은 모습을 보이는 것이 '그림자 노동'이다. '그림자 노동'에 해당하는 일들이 많지만, 돌봄 노동으로 이야기해 보면 쉽게 이해가 된다.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돌봄 노동은 임금이 지급되지 않는다. 그래서 경제총생산에 포함되지 않는다. 노동인데 노동으로 잡히지 않는다. 수치화되지 않는다. 마치 고추가 음식에 들어갔지만 고추 표시를 하지 않는 것처럼.


고추 표시가 없다고 맵지 않은 것이 아니듯이, 그림자 노동 역시 노동이 아닌 것이 아니다. 같은 노동이다. 그것도 코로나19로 인해서 돌봄 노동, 특히 그림자 노동이 우리 사회에서 얼마나 큰 역할을 했는지를 알게 되었다. 하지만 그뿐.


코로나19의 공포가 지나가자 어떻게 되었나? 돌봄 노동에 대해서 잊지 않았나? 이것은 제도를 바꾸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장하준은 개인의 변화만으로는 세상이 변하지 않는다고 한다.


개인의 변화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제도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그 점을 요리의 재료를 시발점으로 역사, 문화, 경제, 정치를 아우르면서 설명하고 있다.


어려운 경제학 책이 아니라 우리가 요리해서 먹을 수 있는 음식 레시피처럼 경제학 레시피라고 해도 좋을 책이다.


처음부터 끝이 체계적으로 연결되지는 않지만, 각 장마다 자신만의 특색을 지니고 있어서, 그 장만으로도 무언가를 얻을 수 있는.


요리 레시피가 그렇지 않은가. 각 레시피가 독립되어 있고, 그 레시피로 요리를 할 수 있듯이, 이 책 또한 각 장들이 경제학에 관한 어떤 부분들을 설명해주고 있다. 누구나 따라할 수 있게 쉽고 간결하게 설명한 레시피가 좋은 레시피이듯이, 장하준의 이 책은 경제학과 관련된 내용들을 쉽고 간결하게 잘 설명해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