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랑과 나의 사막 ㅣ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 43
천선란 지음 / 현대문학 / 2022년 10월
평점 :
SF소설이다. 그렇게 분류한다. 하지만 그런 분류가 무색하게, 이 소설은 정서를 다루고 있다. 그것도 로봇을 주인공으로 해서.
로봇에게도 감정이 있을까? 로봇은 입력된 값만을 출력한다고 하지만, 아니다. 로봇들도 입력된 값을 넘어서 출력을 할 때도 있지 않은가. 즉, 입력한 대로만 존재하지 않는다.
인간들이 자구를 파괴해, 거의 대부분의 생명체들이 죽고 사막만 남은 상태. 함께 지내던 인간 랑이 죽자, 로봇 고고는 길을 떠난다.
과거로 가는 땅을 찾아 간다. 랑과 함게 지내던 때로 돌아가고 싶어서. 이미 자신과 함께 하던 존재가 죽었는데도, 자꾸만 고장난 영상처럼 함께 지냈던 때가 떠오른다고 로봇 고고는 말한다.
어떤 일일 있을 때마다 떠올리는 랑과의 일들. 그것은 바로 랑의 부재를 충만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랑은 곁에 없지만 영상을 통해서 고고와 함께 한다. 그리고 고고를 삭막한 사막을 넘어 과거로 가는 땅으로 향하게 한다.
랑의 죽음으로 랑과 알고 지내던 지카는 바다로 함께 떠나자고 하지만, 고고는 거부한다. 고고는 랑과 함께 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그러다 인간 버진을 만나 고쳐준다. 인간들에 의해서 예언자로 대우받던 버진. 그러나 그런 종교인에게도 지구의 멸망을 막을 수 있는 힘은 없다. 그 역시 고고와 함께 할 수 없다. 고고는 계속 길을 떠난다. 이미 떠난 랑과 함께 하기 위해.
사막을 여행하는 고고는 다른 로봇을 만난다. 알아이아이라고 하는 로봇, 트랙터로 사막에 길을 내는 로봇이다. 자신의 주인이 맡인 일을 하기 위해 망가지면서도 최선을 다해서 일을 하는 로봇. 그러나 사막에 길을 내기는 힘들다. 힘들지만 알아이아이는 포기하지 않는다. 그냥 일을 할 뿐이다. 자신의 주인이 올 때까지.
알아이아이가 일을 하는 방식은 곧 주인과 함께 하는 방식이다. 고고에게 영상으로 랑이 계속 나타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런 알아이아이에게 고고는 자신의 팔을 하나 떼어준다. 길을 제대로 내게 하기 위해서. 알아이아이와 헤어진 고고는 다시 길을 떠나다 사막의 폭풍에 휩쓸린다. 그러다 외계 생명체인 살리를 만난다.
살리가 자신을 고칠 수 있다는 점을 알지만 고고는 살리를 따라가지 않는다. 고쳐짐이 목적이 아니라 랑과 함께 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그래서 고고는 기억의 땅으로 간다. 그 곳에서 랑과 함께 할 수 있다고 믿으며... 결국 고고가 하는 여정에서 깨닫는 것은 자신에게도 그리움이라는 감정이 있다는 것. 그것을 인간의 관점에서만 재단해서는 안 된다는 것.
결국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이 서로에게 자신을 내어준다면 그것이 바로 감정이고 정서가 될 수 있음을 이 소설이 보여주고 있다.
고고가 만나는 네 인물, 지카-버진-알아이아이-살리. 이들과 만나고 헤어지면서 고고는 함께 했던 랑에게로 돌아오게 된다. 예전의 고고가 아니라 감정이 있는 로봇 고고로.
네 인물을 도식적으로 생각해 보면, 지카는 새로운 문명을 찾아 떠나는 인류가 될 테고, 버진은 길 잃은 인류가 구원받을 수 있다는 종교적 믿음을 상징하고, 알아이아이는 과학기술의 힘으로 고난을 극복하려는 상황이라고 보면 된다. 그럼에도 지구는 회복 불능의 상태가 되는데ㅡ 이때 외계가 등장한다. 지구 밖으로 눈을 돌리게 된다.
하지만 답은 그곳에 있지 않다. 바로 자신에게 있다. 그러므로 고고는 사막을 떠나 다른 곳으로 가지 않는다. 오히려 사막에 있는 과거로 가는 땅으로 간다. 과거로 가는 땅은 과거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과거와 미래를 잇는 땅이고, 그것은 부재를 충만으로 채우는 장소가 된다.
사막을 통과해가면서 다른 존재들과 만나고 헤어지는 과정을 통해서 고고는 성장해 간다. 그 성장이 인간이 통상 말하는 성장과 같지는 않지만, 자신을 발견하는 여정이니 이는 분명한 성장이다.
무척 재미있게 읽은 소설이다. 고고가 로봇이 아니라 바로 성장하고자 하는 우리들이라고 여기니 더더욱 재미있는 그런 소설. 부재, 비어 있음이 채움, 충만이 되는 것을 보여주는 소설이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