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롱뇽과의 전쟁
카렐 차페크 지음, 김선형 옮김 / 열린책들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을 읽으면서 감탄을 하게 된다. 차페크야말로 '혜안(慧眼)'을 지닌 사람이구나 하는. 이런 소설을 쓸 수 있다는 것이 놀라울 뿐이다.


소설이라는 형식을 해체하고 있기도 하지만, 다루는 내용이 공상이라고 할 수 있지만, 현실 인간 세계에 딱 적용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도롱뇽. 말을 할 줄 아는, 도구를 다룰 줄 아는 동물. 이런 동물을 이용한다면 인류에게 얼마나 이익이 될까?


괴물로 불리는 이 도롱뇽을 상업으로 이용하는 인간이 등장하고, 도롱뇽들의 우수한 일처리 덕분에 사람들은 도롱뇽을 더욱 이용하게 된다. 인간이 하던 일을 도롱뇽에게 맡기고 (마치 로봇에게 맡기듯이, 이런 내용은 차페크가 쓴 '로섬의 유니버셜 로봇(R.U.R)'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그들에게 상어를 퇴치할 수 있는 무기까지 제공한다.


이제 적수가 없는 도롱뇽들은 무한 번식을 한다. 기하급수적으로 자신들의 수를 늘린다. 그럼에도 인간들은 도롱뇽에 대해서 위기의식을 갖지 않는다. 당장 편안한 삶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도롱뇽들이 무한 번식할 때까지 소설은 다양한 형식으로 전개된다. 신문 기사를 인용하기도 하고, 논문을 인용하기도 하면서, 소설이 기존 글쓰기의 모든 것들을 다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라고 하듯 내용이 전개된다.


그러다 이제 자신들이 살 곳이 작아진 도롱뇽들이 인간에게 땅을 요구한다. 인간의 땅을 메워 자신들의 서식지를 넓히겠다는 것. 이때부터 도롱뇽과의 전쟁이 시작된다.


전쟁, 이것은 '로섬의 유니버셜 로봇(R.U.R)'에서도 나오는 소재다. 그만큼 차페크는 전쟁의 위협을 몸으로 느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자신이 느낀 점을, 소설, 희곡을 통해서 그 과정으로 나아가지 말아야 함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럼에도 얼마 지나지 않아 인류는 세계전쟁에 휩쓸리게 된다.


다행히(?) 차페크는 전쟁의 심화과정을 보지 못하고 죽었다고 하는데... 이 소설에서도 전쟁은 어김없이 벌어진다. 그리고 인간들은 참패한다. '로섬의 유니버셜 로봇(R.U.R)'에서 로봇들에게 인간들이 참패하듯이.


소설의 마지막에는 이제 도롱뇽을 상업적으로 이용하겠다는 선장을 자본가에게 소개해준 문지기가 후회하는 내용이 나온다. 그는 사업 구상을 하는 사람에게 자금을 댈 사람을 소개해줬을 뿐이다. 그런데 그 일이 인간의 멸망이라는 결과로까지 나아가게 되는 모습을 지켜보게 된다.


작은 일이 얼마나 커다란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지, 처음 시작은 개인의 작은 욕심에서 (선장의 진주를 얻겠다는, 진주를 얻는 대가로 도롱뇽들에게 상어를 물리칠 무기 또는 수중에서 작업을 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다는, 그는 그 약속을 철저히 잘 지켰지만, 그가 세상을 떠난 다음에는?) 시작된 도롱뇽의 이용이 결국은 인간들의 무한 욕망을 자극하게 되고, 인류의 무한 욕망이 결국 인류를 파멸로 이끌게 된다.


소설의 끝에 도롱뇽에게 당하는 인간, 하지만 작가가 등장한다. 소설 속에 직접 작가를 등장시켜 작품을 어떻게 쓰라고 하는 장면을 서술하고 있는데... 도롱뇽과 도롱뇽이 전쟁을 하게 한다.


결국 지구에서 전쟁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지니고 있는 것은 아닌지... 소설 창작 당시의 암울한 현실에서 차페크는 어쩌면 전쟁이 인류를 멸망으로 이끌게 되겠지만, 그럼에도 전쟁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을 했는지도 모른다.


1차세계대전을 겪고도 인간들은 2차세계대전을 일으켰으니 말이다. 그런 다음 국제 평화를 위해서 국제연합을 창설했지만, 과연 전쟁이 없어졌는가?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전쟁이 벌어지고 있지 않은가.


인간과 인간의 전쟁만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의 전쟁도 지금 벌어지고 있지 않나? 인간의 탐욕이 일으킨 전쟁들 아니던가. 그럼에도 여전히 기술로 그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고 있으니.


차페크가 등장시킨 도롱뇽은 인간이 자연에 가한 행위의 결과가 아닐까? 그 결과를 보여주는 소설이 이미 나와 있는데, 우리는 이를 외면하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 봐야 한다.


소설을 읽어가면서 차페크의 혜안에 놀라기만 한다. 이런 소설이 1930년대에 나왔다니, 도저히 믿을 수 없는 상상력에 감탄하기만 한다. 카프카, 쿤데라에 이어 더 많은 작품을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든 체코 작가, 카렐 차페크였다.


덧글


로봇이라는 말이 '로섬의 유니버셜 로봇(R.U.R)'에 나온다. 그래서 나도 로봇이라는 말은 이 카렐 차페크가 만들어낸 줄 알았다. 그런데 이 희곡은 형 요세프(요제프라고도 한다)와 함께 썼다고 하고, 로봇이라는 말을 만든 사람은 형 요세프라고 한다. 이 소설 역자 해설에 이렇게 나온다. 명심해야겠다.


'<로봇>이라는 단어의 창시자는 카렐 차페크가 아니라 카렐과 수많은 작품에서 공동 작업을 했던 형 요세프 차페크였다. 카렐 차페크 자신이 옥스퍼드 사전 편집진에게 자필 메모를 보내 정정을  요청한 사안이니 우리로서도 명심할 필요가 있겠다.' (419쪽)


이 말에 신빙성을 더해주는 구절. 주한 체코 대사를 역임했다는 야로슬라프 을샤 주니어가 쓴 작품 해설에도 '차페크와 함께 작품을 집필한 형 요세프 차페크가 만든 단어 <로봇Robot>이 세계적인 고유명사로자리잡았기' (406쪽)이라고 나오고 있으니.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감 2023-10-24 11:4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사두기만 하고 계속 미루고 있는 책이에요.
살짝 들여다봤는데 쉽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난이도가 좀 있는 편일까요?

kinye91 2023-10-24 12:58   좋아요 1 | URL
제 생각엔 그리 어렵지 않은 소설이에요... 처음 전개가 낯설어서 그런데 읽으면서 상황이 그려지면서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소설이라고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