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따스해지는 시다. 어떤 시를 읽어도 마음이 편안해진다. 그냥 우리들 생활이 시로 표현되었다고 할 수도 있다. '생활시'라는 이름을 붙이고 싶어진다. 아니면 '삶시'라고 하던지.
서정홍 시인의 시들도 이렇게 생활이 잘 드러나 있는데, 이번 김용만 시집도 마찬가지다.
시골에 살고 있는 시인의 삶이 눈 앞에 보이는 듯하다. 따스하고 또 따스하다.
요즘같이 척박한 시절에 이런 따스한 시들은 우리 마음을 한결 너그럽게 만들어준다.
각박한 시절, 시가 왜 필요한지, 또 시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는 시집이다.
이러한 시들은 땅에 발을 디디고 있어야 한다. 발이 허공에 떠 있으면 이런 시가 나올 수가 없다. 시인들이 하늘의 별을 따듯이, 소위 구름 따 먹는 소리를 하는 시들이 많은 시대에, 흙냄새가 물씬 나는, 또 흙에 발이 닿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 시집은 참 소중하다.
머언 우주를 바라보게 하는 역할을 시인들이 할 수도 있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땅을 바라보게 하는 역할도 시인은 해야 한다.
그런 시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는데, 이 시집에서 시인은 이러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시인
아름다운 것들은
땅에 있다
시인들이여
호박순 하나
걸 수 없는
허공을 파지 말라
땅을 파라
김용만, 새들은 날기 위해 울음마저 버린다. 삶창시선. 2021년 초판 2쇄. 70쪽.
그래, 현실과 동떨어진 말들이 난무하는 요즈음, 이렇게 땅을 파라는 시인의 외침. 단지 시인에게만 해당하지 않는다.
땅을 파는 일을 우선 해야 하는 사람들은 정치인들이다. 그들은 허공을 파는 일을 많이 한다. 자신들은 땅을 판다고 하지만, 가만 보면 그들은 전혀 땅을 파지 않는다. 땅에 발을 디디지 않고 있다. 그냥 땅을 판다면서 허공만 들입다 파고 있다.
발이 땅에 닿지 않고 있으니, 그런 일이 생긴다. 그러니 이 시에서 시인을 정치가로 바꿔도 무방하다. 우리에게는 우리 땅을 딛고 서서, 우리 땅을 파는 정치가가 필요하니까. 하여 시인의 말은 누구에게나 통하는 말이 된다.
우리 생활을 풍성하게 하는 일이 무엇인가 생각해 보게 한다. 허공을 파는 일이 아니라 땅을 파는 일이 우리 삶을 풍요롭게 하고, 그것이 바로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들이 해야 할 일임을 깨닫게 한다.
참 마음이 따스해지고 편해지는 시집이다. 마음이 어지러울 때 한 번씩 꺼내 읽으면 좋을 시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