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의 시집을 읽다가 '사람책'이라는 말을 다시 떠올렸다.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일은 당연한 일.


  그 영향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누군가에게는 반드시 영향을 주게 되어 있다.

  좋은 책이든 좋지 않은 책이든 책을 읽다보면 자연스레 영향을 받듯이 사람과의 만남도 마찬가지다.


  그냥 영향을 주지도 받지도 않으면서 홀로 살아갈 수는 없다. 그러기에 누구의 삶도 소중하다. 


  시인은 시인의 말에서 '겨우'라는 말을 쓴다. 시인이 국립국어원에서 낸 표준국어대사전을 공부하고, 그에 대해서 책도 냈지만,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뜻풀이를 그대로 가져와 본다.


'어렵게 힘들여, 기껏해야 고작'이라고 풀이해 놓았다. 그렇다면 시인의 말에서 하는 '겨우'는 무엇일까? 둘 다에 해당하겠다. 


'젊어서는 커다란 바윗덩어리를 굴리려고 했다 / 할 수 있을 것 같았고,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 돌아보니 / 겨우 옆으로 살짝 밀어놨을 뿐이다'


여기서는 '기껏해야 고작'이라는 뜻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하지만 다음 구절은 '인간이 할 수 있는 건 / 겨우에 지나지 않을지도 모른다 / 그런 겨우를 위해 당신이나 나나 참 애쓰면서 여기까지 왔다 // 앞으로 겨우를 갸륵하게 여기기로 했다 / 그런 겨우를 위해 당신이나 나나 참 애쓰면서 여기까지 왔다'고 하고 있으니, '기껏해야 고작'인 인생을 위해서 '어렵게 힘들여' 살아왔음을 생각하게 된다.


이 '겨우'를 위하여 우리는 얼마나 힘들여 살아왔던가. 그러니 겨우라고 비관하지 말자. 삶은 겨우 '여기'까지 왔을 뿐이니까.


그러니 이 '겨우'를 찾아내는 일. 이것이 바로 삶이고, 우리가 사람책을 읽는 이유 아닌가 싶다. 어떤 사람에게도 '귀를 접'을 수 있는 부분을 찾아내는 일.


시인이 우리가 보지 못하는 존재를 보고 우리에게 알려주듯이, 우리 역시 다른 사람의 삶에서 '겨우' 이룬 것들을 찾아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 


       귀를 접다


   책을 읽다 눈에 들어오는 구절이 있으면

   페이지를 넘기기 전에

   위쪽 귀를 조금 접어둔다


   삶은 읽으면서 동시에 쓰는 거라는 걸

   앞서간 이들로부터 진작 배우긴 했으나

   책을 읽다 귀를 접는 건

   읽는 힘이 쓰는 힘을 불러오기 때문이겠다


   돌아보면 내가 써 내려간 글들은

   비문투성이였는지도 모른다

   내가 마침내 한 권의 책이 되고

   표지를 덮듯 관 뚜껑을 덮고 사라졌을 때


   누군가 나라는 책을 들추다

   살짝 귀를 접는 페이지들이 있을까?


   내 귀는 잘 접히지 않아

   늘 소란이 들끓는 시간을 살며

   우물쭈물 여기까지 왔다


   접히지 않는 귀를 지그시 눌러본다

   바깥 소리 대신 내 안의 소리를 담아

   제대로 된 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습이 필요하겠다


박일환, 귀를 접다. 청색종이. 2023년. 124-125쪽.


이렇게 시인의 시를 읽다보니 내 삶에서도 귀를 접는 부분이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누군가 나를 읽는다면, '겨우' 이렇게 살아온 내 삶에서도 귀를 접고 생각을 할 수 있는 삶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나도 그런 삶을 살도록 '더 많은 연습'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내가 만나는 수많은 사람들이 책 역할을 하고, 그들에게서 귀를 접을 부분을 발견하고 내 삶에 옮겨오려고 노력하듯이, 내 삶도 누군가에게는 귀를 접고 옮기려고 노력하게 만들 수 있다면, '겨우'인 내 삶도 의미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시가 이렇게 내 삶으로 들어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